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노란들판의꿈

: 그 날, 그 시간 

 

 

 박정숙

사단법인 노란들판 활동가

 

 

 

권리중심행진_2.jpg

 

  노란들판의 꿈은 ‘대항로사람들’이자 ‘평등한 밥상’이다. 서울의 중심 종로구 혜화동 마로니에 공원. 일 년에 한 번 축제로 만나는 그날. 반가움과 기쁨이 교차하는 시간들이 쉴새 없이 흐른다.아침 일찍 모인 상근활동가들과 자원활동가들의 분주한 손길 속에 공원 한가득 몽골 텐트가 세워지고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제법 파티 분위기가 살아나고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한다. 코로나19로 제한됐던 시절을 지나 자유를 온전히 누리는 시간의 기쁨. 가을 날씨도 축제를 한껏 도와주고 있었다.처음 공연은 언제나 그랬듯 종로구 동네 노래자랑. 야학 학생들과 유리빌딩 동지들은 연습과 오디션 하느라 열심이었는데 결선의 날이 온 것이다. 노래를 들으니 즐겁고 상을 누가 탈지 점쳐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누구 할 것 없이 잘해서 모두 상을 주고 싶었다.

 

 

노란들판의꿈_노들싱어.jpg

 

노란들판의꿈_노들싱어2.jpg

 

  중증장애인고용촉진특별법 제정을 위한 행진(Disability Pride)과 중증장애인고용촉진특별법 제정 촉구 한마당 ‘이것도 노동이다’에서는 7개 문화예술공연팀의 한 해의 성과를 소개하며 자랑하고 공연하고 흥을 돋우는 행복한 시간을 선사했다.2022년 노란들판의꿈 “노들 해방 일지”노란들판을 소개하는 영상으로 문을 활짝 열었다. 사단법인 노란들판에는 6개의 단위가 모여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며 장애해방 그날까지 함께 투쟁하고 있다. 노들야학 권리중심 일자리 노래만들기 팀 공연과 노들야학 민중가요반 공연이 있었다. 나는 민중가요반이었는데 부스 지키느라 무대에 올라가지는 못했지만 정말 목 터져라 따라부르며 즐거웠다. 노들센터 20주년과 센터판 10주년 기념행사, 왁자지껄 음악단 공연, 노들 예술로의 영상 상영, T4 노래 합창, 노들 해방일지 영상, 노들테크노전사음악대의 공연. 2시간 동안 흥으로 감동으로 웃었다 울었다 2시간이 쏜살같이 지나버렸다.

 

 

대항로사람들2.jpg

 

  어느새 어둠이 드리우고 하나둘 백열전구가 공원 여기저기에 들어오고 대항로사람들의 시간이 되었다. 인트로 영상 대항로사람들을 소개하는 영상으로 포문을 열더니 뮤지컬 ‘누가 죄인인가?’ 공연이 대항로 활동가들의 열연으로 성황리에 마쳤다. 이어 뮤지션 신승은, 몸짓 선언의 ‘어떤 문명’과 평화의나무합창단의 합창 ‘차별 그만해’가 이어졌다. 모든 공연이 멋지고 멋져 자랑하고 싶었다.

 

  마로니에 공원을 가득 메운 사람들과 부스들, 먹거리들, 온몸이 들썩들썩 행복했다. 전장연, 발바닥, 전장야협, 노란들판,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부스, 노들야학 평등한밥상 부스, 의료부스까지 온통 노란들판의 물결이었다. 

 

  평등한밥상 메뉴를 올해는 완전 비건식으로 하기로 했다. 준비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견들이 진통을 겪기도 했지만 음식에 대해 진심인 나는 걱정 반 기대 반이었다. 메뉴는 떡꼬치, 비빔만두, 들기름 파스타, 토마토스튜, 경장균슬, 마른안주 그리고 주류, 비건 치킨, 기타 등등. 처음 먹어보는 메뉴도 있고 입맛에 맞지 않는 메뉴도 있었지만 떡꼬치와 비건 치킨이 있어서 맛있게 먹었다. 비건음식이 맛이 없을 거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생각을 달리하게 되었다. 

 

 

과일.jpg

 

  전장야협의 과일가게 또한 아주 좋았다. 귤과 바나나, 샤인머스캣을 시세보다 싸게 정말 많이 먹었다. 22년 평등한밥상과 노란들판의꿈 그리고 대항로사람들.조금씩 양보하고 한 발짝 다가서고 살짝 손 내밀고 꼭 잡아주고 어깨를 토닥이며 하나 되는 사랑의 한마당이었다. 밤이 늦도록 참으로 즐겁고 행복했다.2023년에도 축제는 계속될 것이고 오늘보다 더 재미지고 맛나는 꿈의 마당을 기대하고 또다시 하늘 맑은 가을을 기다린다.

 

 

 

평등한밥상.png

 

노들장애인야학입니다.

10월 14일 노들장애인야학 후원마당 〈평등한 밥상〉은 후원인 분들 덕분에 잘 마쳤습니다.

한 분, 한 분이 후원해주신 밥 한 끼, 한 끼를 꼭꼭 씹어먹고, 공부하며 세상을 바꾸기 위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매일 펼쳐지는 노들 밥상 공동체, 이 일상을 가꾸는 일에, 평등한 밥상을 함께 차려주심에 깊은 감사 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2년 겨울 133호 - 2022노란들판의꿈 - 그 날, 그 시간 / 박정숙 2022노란들판의꿈 : 그 날, 그 시간       박정숙 사단법인 노란들판 활동가           노란들판의 꿈은 ‘대항로사람들’이자 ‘평등한 밥상’이다. 서울의 중심 종... file
963 2022년 겨울 133호 - 제7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엔 나의 손길이 닿아있다 / 남대일 제7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엔 나의 손길이 닿아있다      남대일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매번 영화제에 관람객으로 참가만 했던 나에게도 기... file
962 2022년 겨울 133호 - 센터판 권리중심맞춤형공공일자리 평가 워크숍을 가다...!! / 제갈진숙 센터판 권리중심맞춤형공공일자리 평가 워크숍을 가다...!!      제갈진숙 센터판의 공공일자리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제갈진숙 활동가입니다.             안녕하... file
961 2022년 겨울 133호 - 센터판의 10주년 기념식 갈무리 / 서기현 센터판의 10주년 기념식 갈무리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아래 센터판)의 10주년 기념식은 조직의 주요 이정표... file
960 2022년 겨울 133호 - 시설말고 집! 쪽방말고 집! 집집집! 우리집! / 민푸름 시설말고 집! 쪽방말고 집! 집집집! 우리집!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노들센터는 2022년부터 "종로구 주거권 옹호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쪽...
959 2022년 겨울 133호 - 종로구 장애인 3대 조례 개정·제정 캠페인 / 소리 종로구 장애인 3대 조례 개정·제정 캠페인      소리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2022년 5월 16일, 종로420 출범식에서 종로구 장애인 조례 개정/제정에 ...
958 2022년 겨울 133호 - 성북구 장애인권리정책 및 예산투쟁 / 조재범 성북구 장애인권리정책 및 예산투쟁     조재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6월 지방선거를 대비(?)해서 서울지역 IL센터들은 장애인권리예산쟁취를 위... file
957 2022년 겨울 133호 - [욱하는 女자] 아니 무슨 출입제한 구역이야??? / 박세영 욱하는 女자 아니 무슨 출입제한 구역이야???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며 나름 잘하...
956 2022년 겨울 133호 - 우리의 대응과 투쟁은 한국에서도 계속된다 / 최한별  우리의 대응과 투쟁은 한국에서도 계속된다  한국 장애계, 제네바에 가다 2      최한별 다른 나라에서도 우리처럼 장판 운동이 뜨거울까?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 file
955 2022년 겨울 133호 -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한 약속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 조상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한 약속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조상지 노들야학 학생회 부회장.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들야학 권익옹호 ... file
954 2022년 겨울 133호 - 이태원 참사, 참사‘들’, 그리고 사회적 애도의 가능성 / 정창조 이태원 참사, 참사‘들’, 그리고 사회적 애도의 가능성   애도를 거부한 사람들을 위한 변명      정창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 노들장애학궁리소...
953 2022년 겨울 133호 - 내가 잘 그려줄게 / 신현상 내가 잘 그려줄게      신현상 신현상. 나는 작가다. 인터뷰도 했고. 탈시설. 인강원                 file
952 2022년 겨울 133호 - 연극 〈등장인물〉 이야기 조각모음 중 / 박임당 연극 〈등장인물〉 이야기 조각모음 중     박임당 권리중심공공일자리 문화예술노동을 지원하기 우해 문화예술 소양을 쌓는 중               2022년 하반기 노... file
951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예술로 활동기(1) 노들은 나에게도 학교였다 / 오혜린 노들예술로 활동기 (1) 노들은 나에게도 학교였다       오혜린 리더예술인         2022년 3월의 어느 날, 겨우내 서울에 잘 가지 않아서 오랜만에 지하철을 타... file
950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예술로 활동기(2) 듣기 위해 기울여지는 / 자청(이선화) 노들예술로 활동기 (2) 듣기 위해 기울여지는       자청(이선화) 참여예술인         “노들”의 이름을 알게 된 지는 꽤 되었다. 지금은 멀어진 친구가 야학에서 ... file
949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 책꽂이] 깨지는 말들 / 이지훈 노들 책꽂이 깨지는 말들  정용준 소설, 『내가 말하고 있잖아』, 민음사, 2020     이지훈 국문학 연구자. 대학원에서 한국소설을 공부하고 있다. 장애를 재현하... file
948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성장통, 가장 큰 배움이 된 노들 / 김명학,해방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성장통, 가장 큰 배움이 된 노들 20년 전 노들을 지키던 해방, 현 김포야학 활동가 인터뷰      인터뷰 * 명학 〈노들바람〉 편집위원      ... file
947 2022년 겨울 133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2년 12월 31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은 강남훈 강명...
946 2022년 가을 13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선생님 이제 이거 말고 가을 꺼…” 제가 야학에서 <노들바람>을 함께 읽는 수업을 맡은 뒤로 <노...
945 2022년 가을 132호 - 8월 8일 삼각지역 86차 삭발 결의자 / 박주원 2022.8.8. 삼각지역 86차 삭발결의자     박주원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리중심공공일자리 노동자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리중심공공일자리에서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