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타인의 고통, 구체적 사랑 ‘당신은 괜찮은지.....’

 

장선정│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느닷없이 ‘젖’ 이야기로 시작해 보자면, (19금 아님....^^) 임신 중에 말도 못 하게 체중이 늘었다가, 출산 후 모유수유를 하다 보니 저절로 살이 빠졌다면서 핼쓱한 얼굴로 등장하는 여자 연예인들이 많지만, 사실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아요. 일단, 아이를 낳자마자 내가 포유류임을 인정해야 하는 놀라움을 시작으로, 초기에는 하도 자주 먹여야 하니까 그냥 윗도리는 반탈의 상태로 있는 게 오히려 편하고, 젖을 만들기 위해 국이든 무엇이든 액체류를 계속 먹어줘야 하고, 젖몸살이라도 오게 되면 마음 속 깊이 간직했던 각종 거친 단어를 입으로 말할 수 있는 순간이 와요.

 

모유수유를 길게 해서 아이에게 이가 나기 시작하면 더 큰 재앙이 오는데, 잇몸이 간지러운 아이는 젖꼭지를 깨물고, 상처가 나도 젖을 계속 먹이려면 항생제나 연고를 쓸 수 없기 때문에, 말 그대로 까인 상처가 계속 까이면서 신체의 한 부위에서 젖과 피와 혈장을 동시에 목격하는, 그러니까 내 몸에서 나는 각종 체액이 함께 난무하는 기이한 순간을 맞기도 하죠. 그 뿐이 아니라, 갓난아이가 대략 돌이 될 때까지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건 어디서 무슨 일을 하고 있건 ‘1인 집중 체제’ 안에서 충실하게 헌신하며 사는 수밖에 없는 구조가 돼요.

 

지금은 커다랗고 냄새나는 중2가 되었지만, 오래 전, 큰 아이는 기는 것도, 걷는 것도, 말하는 것도 늦어서 주변 어르신들에게 국가존폐에 버금가는 근심거리였어요. 여러 상황과 사람이, 15개월이 넘도록 걷지 않는 아이를 태평하게 두지 않았었죠. 그러다 어느 날, 소파에서 깜박 잠이 들었다가 누군가 얼굴을 건드리는 느낌에 깨 보니 아이가 두 발로 서서 외계어를 중얼거리며 감히 ‘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는’ 어머니의 뺨을 때리고 있었어요. ‘저 좀 보시죠?' 하는 얼굴로요.


흔들흔들하는 아이의 다리를 보니 비몽사몽간에도 속이 뭉클하면서 ‘너도 크느라 꽤 애쓰는구나.’ 하는 연결의 느낌이랄까, 이 기억은 지금부터 영원히 이 아이와 나의 둘 만의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돌아보면, 아마 그것이 제가 느낀 최초의 현실적 모성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좀 사는 집 좀 노는 아들로 어지간히 속을 썩이다가 급기야 행글라이더를 달고 추락해서 척추를 다치고, 뭘 잘 했다고 몇 년이나 방구석에 틀어박혀 시들시들하던 아들을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한 건, 살아서는 다시 움직일 수 없는 아들의 다리를 매일같이 주무르던 어머니의 ‘구체적 사랑’ 때문이었다고, 故신지균 여사님의 추모사에 박경석은 적었죠.…

 

그 후로 한 동안 ‘구체적 사랑’이라는 말이 계속 생각났어요. 그 말엔 명단에서 빠졌던 중요 손님 같은, 아니 어쩌면 진작 알았어야 할 주인을 이제 발견한 것 같은 새삼스런 타격감이 있었어요. (음.....바꿔 말해보고 싶지만......) 어디서 어떻게 살아도 무슨 일은 일어나죠. 일상다반사는 하루도 빈틈없이 엄중하고, 내 곁의 문제는 단 한 순간도 내게 가볍지 않아요.


조금 더 도덕적으로 살고자 한다거나 조금 더 민주적인 조직이 되려는 노력을 계속하는 중에도 우리의 인간성은 계속 시험에 들고 내 안의 갈등은 늘 뜨거워서 종종 분리 된 자아를 발견하며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좀 더 나은 세상에선 나도 좀 더 나아지긴 하는 건지 긴가민가하는 순간마저 있어요. 우리가 진심을 다해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생각’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해도 실상 인간은 타인의 고통에서 절대적으로 배제될 수밖에 없어요. 고통은 나누어지지 않죠.

 

뭐라고 항변하고 싶어 가슴이 벌렁거려도 고통은, 온전히 그 한 몸과 정신에서 발생하고 이뤄지는 단독의 것으로 나눌 수 없어요. 그래서 이것은 어쩌면 다짐인 것 같아요. 내가 너의 고통을 나눌 수 없어도 곁에 있겠다는, 내가 너의 고통에 닿지 못하더라도 나아지기를 바라겠다는, 고통으로 네게 흐르는 피와 땀과 눈물을 닦아도 좋겠냐는, 다시 서지 못 하는 너의 다리를 매일같이 주무르는 ‘구체적 사랑’의 방법을 늘 마음에 두겠다는 스스로 하는 질문이자 답이기도 하고요. 밥은 먹었는지 감기는 좀 어떤지 속 썩이던 치통은 해결을 보았는지 이사 준비는 잘 되고 있는지 요즘 그럭저럭 지낼 만한지,

 

그래서 당신은 괜찮은지

 

오래 궁금해 할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480 2018년 겨울 117호 - 11월 장애경     11월 장애경     학교에 다닌 적이 없어요. 엄마 아빠는 직장에 가고 동생들은 학교에 가니 집에 사람 하나 없어 혼자 지내야했지요. 한 친척이 와서 애경이... file
479 2018년 겨울 117호 - 애경 이야기 / 김유미 애경 이야기   2019년 달력을 준비하며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인터뷰·정리 김유미     장애경. 1964년에 한 집안의 맏딸로 태어났다. 부모가 아이를 낫게 하려고 ... file
478 2018년 겨울 117호 - 12월 박경석     12월 박경석       내가 가장 좋아하는 노들야학은 공부하는 모습이에요. 학교에서 공부하고 거리에서도 공부하고, 시도 때도 없이 공부하지요. 지하철 철로... file
477 2018년 겨울 117호 -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 최한별 [2018 여름 <노들바람> 115호 中]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최한별 │비마이너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고양이,떡볶이를 좋아합니다.  사주는 거... file
476 2018년 겨울 117호 - <부싯돌> 그리고 다시 박경석 / 장선정 [2018 여름 &lt;노들바람&gt; 115호 中]   &lt;부싯돌&gt; 그리고 다시 박경석   장선정│사회적기업 노란들판     &lt;부싯돌&gt;을 다시 읽으면서 저는, 순수하게 몰입하는 사람을 ...
475 2018년 겨울 117호 - [노들 후원자님께]     file
474 2018년 겨울 117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8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장경주 장귀분 장근영 장명희 장미희 장상순 장선영 장선정 장성권 장성아 장순임...
473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눈을 감고 이불을 쓰고 누워있는데 말들이 웅성대는 밤이 있습니다. 말들이 떠다니는데 붙잡기 어렵고 이 말 저 말이 소리가 들리는... file
» 2018년 가을 116호 - 타인의 고통, 구체적 사랑 ‘당신은 괜찮은지.....’ 장선정 타인의 고통, 구체적 사랑 &lsquo;당신은 괜찮은지.....&rsquo; 장선정│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느닷없이 &lsquo;젖&rsquo; 이야기로 시작해 보자면, (19금 아님.......
471 2018년 가을 116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차라투스트라의 첫 번째 길동무- 고병권 차라투스트라의 첫 번째 길동무 고병권│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 file
470 2018년 가을 116호 - 홍철과 지민의 치열한 내 집 입주기 / 승천·지민·홍철·명희    홍철과 지민의 치열한 내 집 입주기 집으로 다시 돌아오기 까지   정리 : 「노들야학」 명희 인터뷰 : 「노들야학」 승천, 지민, 홍철   STEP 1 내가 머무르... file
469 2018년 가을 116호 - 선심언니의 폭염투쟁 이야기 부족한 활동지원 시간, 폭염의 밤 속 혼자... / 강혜민 선심언니의 폭염투쟁 이야기 부족한 활동지원 시간, 폭염의 밤 속 혼자... 강혜민│비마이너 기자와 야학 시사반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 너무 바빠서 일만 합... file
468 2018년 가을 116호 - [장판 핫이슈] 목숨을 걸고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 / 애린            목숨을 걸고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   애린│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위의 지하철 노선도에 표시된 내용들은 장애인들이 지하철... file
467 2018년 가을 116호 - 누구도 남겨 두지 않는다 프로젝트 : 상상력이 우리를 구한다 / 박은선   누구도 남겨 두지 않는다 프로젝트 : 상상력이 우리를 구한다     박은선│리슨투더시티에서 일하고 모 대학 재난연구소에서도 일함. 일복이 터짐.     ‘누구도 ... file
466 2018년 가을 116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대학로 편의시설 설치기 / 김필순           대학로 편의시설 설치기     김필순│경사로는 이제 그만, 그만 보이길.. 이제 휠체어그네만 보자(^^)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지역사회 편의시설 개... file
465 2018년 가을 116호 - “권영진 시장님, 마음 푸세요~”라고 하면 풀리실 건가요? / 전근배    “권영진 시장님, 마음 푸세요~”라고 하면 풀리실 건가요?   전근배│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잘못하면 규탄하면 된다. 이해 못하면 설득하면 된다. 안 ... file
464 2018년 가을 116호 - 1842번의 하루를 새기다 광화문 농성 기념 현판식 / 진수 1842번의 하루를 새기다 광화문 농성 기념 현판식     진수│낮엔 따뜻하고 밤엔 쌀쌀한 요즘. 환절기라고 하는데, 계절이 바뀌는 거라고 하는데, 이 즈음의 날씨...
463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과 베델 - 배움의 공동체, 운동의 공동체, 연구의 공동체 / 유기훈   노들과 베델 - 배움의 공동체, 운동의 공동체, 연구의 공동체     유기훈│노들장애인야학 교사. 함께 살아가는 의미를 찾아 공학, 인류학, 의학 등을 떠돌다가... file
462 2018년 가을 116호 - 박종필 감독 1주기, 그를 기억하는 우리의 방법 /조한진희 박종필 감독 1주기, 그를 기억하는 우리의 방법   조한진희(반다) │2005년부터 다큐인에서 활동했었다. 건강 때문에 휴직을 했고, 수전증이 생긴 이후 영상언어 ... file
461 2018년 가을 116호 - [형님한말씀] 「노 들 야 학」 / 김명학 「노 들 야 학」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노들장애인야학이 25살이 되었습니다. 세월이 참으로 빨리갑니다. 이제 장년이 된 노들야학 많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