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11.29.

삼각지역

139차 삭발결의자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김도현_삭발후.jpg

 

  이제 읽으려는 이 글은 투쟁결의문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긴 한데요, 단어의 본래적인 의미에서 보자면 이번 삭발을 제가 ‘결의했다’고 말하는 건 정확하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3월 말부터 시작된 이 릴레이 삭발 투쟁이 50회 차를 넘어가고 100회 차에 다가서면서, 만일 이 투쟁에 어느 날 구멍이 생긴다면 그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마다하지는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었던 것이죠. 그러고 보면 저에 앞서 일백 서른여덟 번의 삭발을 주말과 휴일을 빼면 하루로 거르지 않고 이어온 동지들의 투쟁이 저를 ‘결의시킨’ 것에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000년대 초반 이동권 투쟁을 시작하던 당시, 지하철 선로도 여러 번 점거했고, 또 지하철 타기 투쟁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20년이 지나 같은 방식의 투쟁을 같은 요구를 걸고 하게 되리라고는 사실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만큼 한국 사회의 변화는 형식적이었고,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기만하고 회피해 왔던 것이죠. 저는 과거 전장연에서 상근할 당시 주로 정책을 담당했었는데요, 그때 자주 했던 얘기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정책이 없어서 장애해방이 안 이루어지냐!’라는 말이었죠. 사실 우리의 요구는 매우 간명하고 또 단순합니다.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살아가는 것’, 여기에 무슨 엄청나게 대단한 정책이 필요할까요.

 

  그런데 그 당연한 시민의 권리를 장애인이 보장받기 위해서는, 단지 정책 같은 차원의 것이 아니라 이 사회의 기본 질서 자체를 재구축해야 한다는 것, 그 질서를 규정하는 자본의 권력과 비장애중심주의적 권력을 해체해 나가야 한다는 것, 고병권 선생님 말을 빌리자면 “사회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학교조차 갈 수 없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지난 20여 년간 투쟁하면서 배우고 깨달아 온 사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2001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요구를 20년 넘게 외치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분명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고, 또 커다란 발전을 이루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당시에는 시설민주화를 이야기했다면 이제 우리는 ‘탈시설’을 이야기하고 있고, 당시에는 우리조차 상상하지 못했던 최중증장애인의 노동권을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통해 요구하고 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당시에는 한 달의 천막농성을 지킬 실무자가 없어 힘겨워 했지만, 이제는 1,842일간의 농성을 ‘조직적으로’ 사수해 낼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고, 또 이렇게 8개월에 걸친 삭발 투쟁을 매일 같이 결의해 낼 수 있는 동지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의 손을 맞잡은 단단한 우리가 있기에,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장애인권리예산을 기필코 쟁취해낼 수 있을 거라고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될 때까지 할 테니까요.

 

  저는 현재 노들장애학궁리소라는 곳에서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장애인운동에 결합하고 있습니다만, 이번처럼 제게 요구되는 역할이 있다면 언제든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 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투쟁이 장애해방을 향한 새로운 질서를 열어가는 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더 치열하게 읽고, 고민하고, 쓰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투쟁하겠습니다. 투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996 2023년 봄여름 134호 -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다큐 「일로 만난 사이」로부터 / 박임당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다큐 「일로 만난 사이」로부터      박임당 권리중심 공공일자리의 각종 미션 수행 중           태... file
995 2023년 봄여름 134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서울시의 악질적인 장애인단체 표적 조사를 바라보며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서울시의 악질적인 장애인단체 표적 조사를 바라보며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최근 서울시가 장애인의 권리를 ... file
994 2023년 봄여름 134호 - 그 봄, 우리가 경찰서를 드나들었던 이유 / 남호범 그 봄, 우리가 경찰서를 드나들었던 이유 서울시 경찰서 편의시설 전수조사 후일담      남호범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           지난 2월 20일 오전 9시, ... file
993 2023년 봄여름 134호 - 중증장애인 당사자의 힘으로 차별 없는 세상을! / 이수미 중증장애인 당사자의 힘으로 차별 없는 세상을!      이수미 노들장애인야학 학생이자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이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개...
992 2023년 봄여름 134호 - 화살을 같이 맞아줄 정치가 그리워집니다 / 박경석 화살을 같이 맞아줄 정치가 그리워집니다  제4회 노회찬상 수상 소감문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 file
991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들 책꽂이] 도대체 전장연이 왜 그러는지 궁금하다면 / 장혜영 노들 책꽂이 도대체 전장연이 왜 그러는지 궁금하다면       장혜영 탈시설 발달장애인 동생과 함께 살고 있는 비장애 형제자매. 다큐멘터리 「어른이 되면」을 ... file
990 2023년 봄여름 13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지은이 이규식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지은이 이규식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 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둘러... file
989 2023년 봄여름 134호 - 그들의 투쟁이 우리의 대의를 일깨우고 있다 그들의 투쟁이 우리의 대의를 일깨우고 있다         *편집자 주: 국내의 진보적 연구자들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의 지하철 행동을 지지하는 선... file
988 2023년 봄여름 134호 - 좋아하는 사람, 하늘, 고양이 / 박소민 좋아하는 사람, 하늘, 고양이      박소민 작가는 도구에 따라 그림의 형태를 다르게 합니다. 색연필 혹은 사인펜으로는 주로 형태가 있는 대상을, 물감으로는 도... file
987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들야학 30주년 슬로건이 정해졌어요! / 남호범 노들야학 30주년 슬로건이 정해졌어요!   “노들오래대다노들좋다노들쭉가자”      남호범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 file
986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란들판이 세상을 구한다! / 허신행 노란들판이 세상을 구한다!   2023 노란들판 활동가 전체 워크숍 보고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노란들판은 노들장애인... file
985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란들판에도 성평등 내규가 만들어졌습니다! / 노란들판 성평등위원회 노란들판에도 성평등 내규가 만들어졌습니다!     노란들판 성평등위원회         성폭력은 성별 권력관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폭력 행위를 말하며, 개인의 동의 ...
984 2023년 봄여름 134호 - 권영진 노들야학 동문을 추모하며 / 양현준 권영진 노들야학 동문을 추모하며      양현준 사단법인 노란들판 이사장             2000년 무렵, 호리호리한 몸에 수동휠체어를 타고 자가용을 운전해 노들장... file
983 2023년 봄여름 134호 - [욱하는 女자] 내 말에 집중을 하라고!!! 쫌!!!!! / 박세영 욱하는 女자 내 말에 집중을 하라고!!! 쫌!!!!!      박세영 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며, 나름 잘하...
982 2023년 봄여름 134호 - '공동체들의 공동체'들의 공동체 / 김상혁 '공동체들의 공동체'들의 공동체  장애인문학 강좌 참여 후기     김상혁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제가 노들장애학궁리소에서 진행된 ‘포스트코로나 ... file
981 2023년 봄여름 134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평범한 일상 그 어딘가에서 / 임미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평범한 일상 그 어딘가에서      임미자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말이 있는데, 친구의 꼬임에(?) 활동지원사 일을 시작하게 되었지만 지금... file
980 2023년 봄여름 134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년 6월 30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은 강명순 강미...
979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1. 노들야학에서 활동하며, 인생 예정에 없던 다양한 일을 해보게 되는데요. 2022년에는 큰 극장...
978 2022년 겨울 133호 - 11월 23일 삼각지역 135차 삭발결의자 / 방재환 2022.11.23. 삼각지역 135차 삭발결의자     방재환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안녕하세요, 지역사회에서 노동하고 있는 방재환입니다.     제가 오늘 삭... file
» 2022년 겨울 133호 - 11월 29일 삼각지역 139차 삭발결의자 / 김도현 2022.11.29. 삼각지역 139차 삭발결의자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이제 읽으려는 이 글은 투쟁결의문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긴 한데요,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