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1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병권의 비마이너]

약자의 눈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투의 최전선인 노들장애학궁리소에서 자리를 잡고 공부하고 

있다. 앞으로 국가의 한계, 자본의 한계, 인간의 한계에 대한 공부를 오랫동안 할 생각이다.

 

 

 

 

 

 

 

   얼마 전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했다.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는데 주관 단체 이름이 눈에 띄었다. ‘약자의 눈’. 의원들이 만든 연구단체라고 한다. 7월 하순에 출범했다고 하니 말 그대로 신생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소개 리플릿에는 노인과 어린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행복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당찬 포부가 담겨 있었다. 그리고 겉면에는 큰 글씨로 이렇게 쓰여 있었다.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발표 자료도 아닌, 단체 소개 문장을 내가 이렇게 뚫어져라 본 적이 있던가.

   

   약자의 눈. 이 말을 몇 번인가 되뇌었더니 한 사람이 떠오른다. 이종강 선생. 가톨릭 사회복지회에서 운영하는 장애인시설에서 지내는 최중증장애인이다(그의 이야기는 『나, 함께 산다』(오월의봄, 2018)에 실려 있다). 열아홉의 나이에 열차 연결 통로에서 떨어져 몸이 으스러지고 목 위로만 생명을 건졌다. 퇴원 후 마리아수녀회가 위탁 운영하던 갱생원에서 지냈다. ‘세상의 맨 끝’이라고 불리던 그곳에서 그는 부랑인, 알코올중독자들과 수십 년을 지냈다. 나중에 해당 시설이 가톨릭사회복지회로 이관되고 전문요양시설로 바뀐 뒤에도 그는 그대로 남았다.

   

   이상한 말이지만 그는 현재 탈시설장애인으로서 시설에 남은 사람이다. 그는 2007년 처음으로 탈시설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장애인시설 실태조사를 나온 사람이 명함을 건네며 생각이 있으면 연락을 달라고 했다. 누군가 몸을 옮겨주고 뒤집어주고 떠먹여주어야만 살 수 있는 사람. 그때까지 그는 시설을 떠난다는 생각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2년의 시간 동안 탈시설이라는 말이 자라나 머리를 완전히 덮어버렸다. 2009년 그는 전화를 걸었고, 탈시설 활동가들을 만나 장애인 인권에 대해서, 그리고 무엇보다 ‘시설 밖 세상’에 대해 들었다. 

“뭐랄까요… 박살 난 느낌?”

   

   그런데도 그는 지금 시설에 남아있다. “하하, 이런 몸이다 보니.” ‘이런 몸’으로는 시설을 나가도 치료받는 일에 시간을 다 써야 할 거라고 했다. 휠체어를 타기 위해 몸을 조금만 일으켜도 고산증 같은 게 나타났다. 항상 누워 지내기에 몸을 세우면 어지럽고 곧잘 호흡곤란 상태에 빠져들었다.

   

   그러나 그가 시설에 남은 이유가 ‘이런 몸’ 때문만은 아니다. 탈시설을 열망한다고 전화했을 때도 ‘몸’은 ‘이런 몸’이었다.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시설에 남은 더 중요한 이유, 어쩌면 시설 밖 세상을 알고, 장애인 인권을 알고 난 뒤에 더 강해진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여기 남은 이유요? “저는 저기 동산 모퉁이에 던져진 돌멩이 같은 사람입니다.” 울창하고 아름다운 저 성모 동산은 갱생원 시절의 부랑인들, 알코올중독자들이 꽃나무를 심어 봉헌한 곳이다. 폐지를 줍고 봉투를 접은 돈으로 묘목들을 직접 사서 심었다. “그 사람들이 하나씩 떠나는 모습을 이곳에 심어진 나무 한 그루, 던져진 돌멩이 하나가 다 지켜보았겠죠.” 거기 나무와 돌멩이만 본 게 아니다. 사람들이 옮겨놓은 자리에 나무처럼, 돌멩이처럼 놓여있던 그도 보았다. 그는 눈을 가진 나무, 기억을 가진 돌멩이였다. “여기서, 잊지 않고, 이 사람들을 기억하는 일이 세상에 온 제 역할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고 나서 이유를 하나 더 말한다. “비록 모퉁이 돌멩이 하나로 굳어진 나이지만 모든 걸 지켜보았잖아요? 또 (활동가들을 통해) 알게 되었잖아요?” 모든 것을 보고 많은 것을 새로 알게 된 돌멩이. “저는 여기서 환영받는 존재가 아닙니다.… 관리자들에게 불편한 사람이에요. 그런데 그 불편이 바로 제가 여기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하나의 존재 이유에요.” 시설이 텅 빌 때까지 시설에서 일어나는 일을 목격하는 눈으로서, 또 장애인 인권과 탈시설에 대해 알지 못하는 동료들에게 앎을 전하는 머리로서,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을 말하지 못하는 동료” 곁에서 함께 말하는 입으로서, 그는 시설에 남기로 했다.

    

   이것이 누군가 옮겨놓아야만 장소를 바꿀 수 있었던 사람 이종강이 자기 의지로 시설에 남겠다고 한 이유이다. ‘약자의 눈’이란 이만큼이나 강한 것이다.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근사한데 모호한 문장이다. ‘눈’을 통해 ‘눈’이 된다는 게 무슨 말인가. ‘약자의 눈’에 ‘미래의 눈’까지, 좋은 눈 두 개를 더해 문장은 화려해졌는데 뜻은 되레 선명함을 잃었다. 그냥 ‘약자의 눈’만 있어도 좋은 정치이고 어려운 다짐이다. 의원들의 연구단체 ‘약자의 눈’에 이종강 선생의 이야기를 출범 축하 선물로 보낸다. 부디 이 눈을 연구하고 이 눈으로 연구하길 바란다.

 

 

 

 

 

고병권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20 2020년 겨울 125호 -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 장주연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장애해방열사 교육을 듣고 나서         장주연 노들센터 주연. 안녕하세요, 하루하루 활동이 무엇인지 ...
719 2020년 겨울 125호 -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 치명타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2020년 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이야기                                               치명... file
718 2020년 겨울 125호 -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 <장기자랑> 관람 연대기 / 천성호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lt;장기자랑&gt; 관람 연대기       천성호 노들야학의 국어 선생님. 더 넓고, 큰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살고 있다.            ...
717 2020년 겨울 125호 -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박정수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그냥, 사람』 북토크 참관기           박정수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 file
716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 김도현         노들 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킴 닐슨, 『장애의 역사』, 김승섭 옮김, 동아시아, 2020         김도현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 file
715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 김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미래로 가는 희망버스 : 행복한 장애인』 펴낸 김혜옥 동문 인터뷰     인터뷰, ... file
714 2020년 겨울 125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님 / 김유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 님     인터뷰, 정리 : 김유미 편집위원                지난 11월 20... file
713 2020년 겨울 125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남훈 강병완 강섬 강수혜 ...
712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lt;노들바람&gt;편집인               코로나19로 수업을 못한 지 삼주쯤 되었을까, 저녁 8시반 사무실로 전화가 왔습니다. ...
711 2020년 가을 124호 - 박종필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 / 정창조           박종필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 : ‘차별에저항한영상활동가’ 고 박종필 3주기 추모제 후기                    정창조  나도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 잘 모... file
710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1] 일을 할 수 없는 자란 없다 / 박경석       특집기획  공공일자리   [공공일자리 1] 일을 할 수 없는 자란 없다 박경석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김필순 [공공일자... file
709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 김필순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김필순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일자리 담당자 아님, 하지만 선배담당자의 마음으... file
708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3] 권익옹호 활동이 처음입니다만 / 김민정             [ 공공일자리 3 ] 권익옹호 활동이 처음입니다만                  김민정   이것이 나의 막다른 길에서 한줄기 희망이라는 마음으로 장애인 일자리 ...
707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4]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 여덕용             [공공일자리 4]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여덕용             과거 트라우마를 잊고 다시 잘 살아보려 맘먹은 종로구청 파견근무자인 33세 ... file
706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5]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출근기       [ 공공일자리 5 ]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출근기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이야기        질문과 정리_ 유지영        1. 나는 누구?       ... file
705 2020년 가을 124호 - [형님 한 말씀] <2020년 가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20년 가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김명학 노들 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20년 가을이 다... file
704 2020년 가을 124호 -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 박영윤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박영윤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실 비서관. 전 마을활동가.            &lt;약자의 눈&gt;... file
» 2020년 가을 12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약자의 눈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약자의 눈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 file
702 2020년 가을 124호 - 장애인 노동자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 정우준         장애인 노동자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2020년 5월 22일 조선우드에서 사망한 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을 기억하며                        정우준... file
701 2020년 가을 124호 - 이제 남은 것은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 김윤영           이제 남은 것은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를 위해 나아가자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