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치맥데이는 치맥데이일뿐,

오해하지 말자~♬

 

 

 

 

권민희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게 아쉬운(?!) 바쁜 매일매일을

활동하는 센터판 사무국장 권민희(and 센터판 회원들)

 

 

 

권민희_치맥데이.jpg

 

 

 

 

      2020년 초, 사업계획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 던 중 ‘무엇을 하면, 혹은 어떻게 하면 센터판을 지 역사회에 알리고 성북구 내 장애인들이 센터판을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시초였던 것 같 습니다. 활동가들과 이야기 중 우스갯소리로 여러 의견(판 클럽을 만들자. 스탬프 투어처럼 스탬프를 모두 채우면 어마어마한 기념품을 주자 등등)이 있었고 즐겁고 편한 분위기의 자조모임을 구성해 보자는 의미로 흔히 꿀 조합이라 말하는 치맥(치킨 +맥주)데이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공식적인 사 업명은 ‘센터 회원 자조모임’입니다. 목적 또한 치 킨과 맥주를 먹고 마시는 게 전부라고 생각하실 텐데..그렇지 않습니다.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서 자 립생활센터의 역할과 업무를 알리며 센터판 활동 가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센터회 원들의 이용률을 높이고 활동가들과의 친목도모 를 다지며 관계를 향상시키는 ‘자조 모임’입니다. ^^♥

 

      2020년 5월, 첫 자조모임이 시작되었고 시작 은 미비했습니다.. 참여자보다 조력자가 더 많았기 때문입니다. 참여의사를 밝힌 회원분들도 계셨는 데 당일 다른 일정으로 인해 참석하지 못함을 아 쉬워했습니다. 그날 모임의 주제는 참여자 1명에 게로 집중되었고, 근황 및 경험담을 안주 삼아 이 야기꽃을 피웠습니다. 소소했지만 분위기가 좋았 고 참여자는 매우 만족해했으며 다음 회차에도 참 여를 희망하셨습니다. 본인이 주인공이 되어 이야기를 나눈 것이 꽤 좋은 기억 이 된듯합니다.

 

 

2회차, 3회차 를 거듭했지만 코로나19의 여 파로 많은 홍보는 할 수 없었고 입소문으로만 조금씩 알리며 참여자가 점차 늘어나게 되었 습니다. 매회 이야기 주제는 다 양했고 서로간에 친밀감도 형 성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참여자분들이 즐거워하셨 고, 치맥데이를 기다리셨습니다. 원래 사업계획은 월 1회(연 8회)였으나 아쉽게도 코로나19의 영향 으로 5회기에서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회 기 중 반응이 뜨거웠으며 아쉬웠던 중증장애인 맞 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분들의 치맥데이 참여 소 감을 실으며 글을 마치려 합니다. 내년에도 치맥데 이..계속 될 수 있을까요? ^^

 

 

 

 

치맥데이2 (2).jpg

 

 

 

 

윤정 일할 때 몰랐던 동료들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치맥데이로 동료들과 웃고 떠드는 시간이 좋았고 평소 이야기하지 못했던 것도 자연 스럽게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아울러 일할 때도 좀 더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어 나갈 수 있었다.

 

    즐거운 자리지만, 그만두는 동료들도 있어서 아쉬웠다.

 

수희 직장 생활(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을 시작 한 지 이틀째 치맥데이라는 회식(?)을 한다는 것이 다. 평소 말이 없던 나는 먼저 말을 걸기가 어색했 었는데 다행스럽게도 잘 알고 있던 선미언니가 먼 저 말을 걸어주시고 도움이 필요하면 편하게 말하라고 하고, 다른 동료분들과 친해질 수 있도록 해주 셔서 진심으로 감사했다. 그날 이후로 동료들과 일 하는 게 즐거웠고, 퇴근 후 동료들과 밥을 먹으며 농담도 주고받고 일에 대한 고충도 함께 나누며 즐 거운 직장생활을 했다. 공공일자리가 끝나도 지속 적으로 동료들과 좋은 인연을 이어 나가고 싶다..

 

정인 치맥데이 자리를 통해 평소 나누지 못한 속 깊은 대화를 동료들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다.

 

재우 직장생활 중 치맥데이 즐거웠다. 자조모임이 많았으면 좋겠다.

 

창현 사람들과 친목도모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었지만, 마지막인 동료들이 있어 앞으로 함께 하지 못할 생각을 하니 조금 아쉬웠다.

 

정아 맛있는 치킨을 먹으며, 동료들과 좋은 시간 을 보낼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

 

지윤 오늘은 기다리던 치~맥 데이~ 너무 기대되 던 치맥데이, 룰~루~랄~라~ 역시 인간은 입이 즐 거워야 하나보다. 사회인으로서 처음 접하는 동료 들과의 재밌는 자리 너무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보 낸 것 같다.

 

금룡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는 데, 마지막 치맥데이라고 생각하니 섭섭한 마음이 든다.

 

 

 

 

 

 

치맥데이4 (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24 2020년 겨울 125호 - [욱하는 女자] 누구를 위한 인도...???? / 박세영               욱하는 女자 누구를 위한 인도...????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 file
» 2020년 겨울 125호 - 치맥데이는 치맥데이일뿐, 오해하지 말자~♬ / 권민희         치맥데이는 치맥데이일뿐, 오해하지 말자~♬         권민희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게 아쉬운(?!) 바쁜 매일매일을 활동하는 센터판 사무국장 권민희(and ... file
722 2020년 겨울 125호 - 장애인파워싸커대회 우승을 꿈꾸며...^^;; / 조재범                   장애인파워싸커대회 우승을 꿈꾸며...^^;;               조재범 파워싸커가 패럴림픽 종목이 되길 고대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조재범    ... file
721 2020년 겨울 125호 -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밥 값, 누가 내야 하냐고요?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밥 값, 누가 내야 하냐고요?         서기현 장애인자랍생활센터판                 왜 이 어렵고 민감한 얘기를 굳이 하려드는가... file
720 2020년 겨울 125호 -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 장주연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장애해방열사 교육을 듣고 나서         장주연 노들센터 주연. 안녕하세요, 하루하루 활동이 무엇인지 ...
719 2020년 겨울 125호 -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 치명타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2020년 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이야기                                               치명... file
718 2020년 겨울 125호 -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 <장기자랑> 관람 연대기 / 천성호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lt;장기자랑&gt; 관람 연대기       천성호 노들야학의 국어 선생님. 더 넓고, 큰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살고 있다.            ...
717 2020년 겨울 125호 -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박정수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그냥, 사람』 북토크 참관기           박정수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 file
716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 김도현         노들 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킴 닐슨, 『장애의 역사』, 김승섭 옮김, 동아시아, 2020         김도현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 file
715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 김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미래로 가는 희망버스 : 행복한 장애인』 펴낸 김혜옥 동문 인터뷰     인터뷰, ... file
714 2020년 겨울 125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님 / 김유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 님     인터뷰, 정리 : 김유미 편집위원                지난 11월 20... file
713 2020년 겨울 125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남훈 강병완 강섬 강수혜 ...
712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lt;노들바람&gt;편집인               코로나19로 수업을 못한 지 삼주쯤 되었을까, 저녁 8시반 사무실로 전화가 왔습니다. ...
711 2020년 가을 124호 - 박종필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 / 정창조           박종필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 : ‘차별에저항한영상활동가’ 고 박종필 3주기 추모제 후기                    정창조  나도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 잘 모... file
710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1] 일을 할 수 없는 자란 없다 / 박경석       특집기획  공공일자리   [공공일자리 1] 일을 할 수 없는 자란 없다 박경석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김필순 [공공일자... file
709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 김필순       [공공일자리 2]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1만개 어디까지 왔나?           김필순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일자리 담당자 아님, 하지만 선배담당자의 마음으... file
708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3] 권익옹호 활동이 처음입니다만 / 김민정             [ 공공일자리 3 ] 권익옹호 활동이 처음입니다만                  김민정   이것이 나의 막다른 길에서 한줄기 희망이라는 마음으로 장애인 일자리 ...
707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4]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 여덕용             [공공일자리 4]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여덕용             과거 트라우마를 잊고 다시 잘 살아보려 맘먹은 종로구청 파견근무자인 33세 ... file
706 2020년 가을 124호 - [공공일자리 5]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출근기       [ 공공일자리 5 ]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공공일자리 출근기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이야기        질문과 정리_ 유지영        1. 나는 누구?       ... file
705 2020년 가을 124호 - [형님 한 말씀] <2020년 가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20년 가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김명학 노들 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20년 가을이 다...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