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장애인은 ‘훌륭한’ 장애인권강사가 될 수 없나요

 

허신행│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노들장애인권교육팀 강사

 


올해 5월 29일부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2)이 법으로 지켜야 하는 의무사항이 되었습니다. 모든 사업주는 연 1회, 1시간 이상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 내 장애인식 개선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것이지요. 현재 각 회사에서 의무로 하고 있는 성희롱 예방교육처럼 장애인 인식개선교육도 의무교육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하 고용공단)에서는 이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서 올해 5월부터 급히 강사 양성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그간 우후죽순으로 장애인권교육강사를 양성한다는 내·외부적인 비판이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고용공단의 이런 움직임은 일견 긍정적인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금세 공론화 되었습니다. 지난 8월 23일 비마이너에서는 "중증장애인은 못 하는 장애인인식개선 강사?"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어 사실상 중증장애인을 배제하는 고용공단의 강사선정 기준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기업 입장에서도 비용을 지급하고 강사를 초빙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의에 대해 기대하는 부분이 있다"라며 "강사 기준이 아니라 피강의자(강의를 듣는 사람) 입장을 우선적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라고 했던 고용공단의 문제적 시각을 비판했습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음성언어가 전혀 안 되는 중증장애인도 대기업 임직원들 앞에서 장애인권에 대해서 멋진 강의를 할 수 있을까요? 뇌병변장애가 심 해 발음이 거의 안 들리거나 지속적으로 몸이 떨리는 사람도 강의를 잘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초등학교도 가지 못한 무학 장애인 당사자의 강의는 어떠신지요? “우리는 무엇이든 할 수 있어!”라는 바람 말고 실제로 어떻냐는 말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는 더 이상 이런 농간에 속아 넘어가면 안 되겠습니다.

 

장애인들을 무능한 사람으로 미리 규정지어놓고, 비장애인 중심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자격 없음으로 해석하는 그런 농간 말입니다. 오랜 기간 장애인 당사자분들의 인권교육을 옆에서 지켜본 저로서는 자신 있게 우리는 누구보다 잘 할 수 있고, 우리의 일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어떤 사람이 강의를 잘하는 사람일까요? 텔레비전에 나오는 수많은 강사들처럼 화려하고 어려운 말을 쏟아내면 그분은 훌륭한 강사일까요? 그런데 솔직히 우리는 그런 강의를 듣고 나면 머릿속에 하나도 남는 게 없지 않나요?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도 모르겠고, 두어시간 지나면 내용도 기억나지 않습니다.

 

노들야학은 많은 경우에 장애인 강사와 비장애인 강사가 짝을 맺어 교육에 나가는데 좋은 강의 평가는 압도적으로 장애인 강사에게 향합니다. 힘겹게 몇 마디 건네지만 그 말이 교육 받으시는 분들의 가슴속에 울림을 주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우리는 말로 하는 강의도 중요하지만 만남 그 자체를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제 짝꿍은 언어장애가 있어서 말판이나 손으로 글씨를 써서 소통하시는데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과 두 시간을 함께 보내고 나면 그분들은 더이상 ‘장애인과는 의사소통을 할 수 없어’라는 생각은 안하시게 됩니다. 적어도 활동지원사와 동료 교사들을 보호자로 부르며 그 분들과만 소통하려 하는 그 수많은 사람들 중 한 사람은 되지 않을 거라는 말입니다.

 

60년대까지 만해도 미국에선 흑인들이 학교도 따로 다녔고, 버스 좌석도 따로 앉았으며, 화장실도 별도로 썼습니다. 이걸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겁니다. 그런데 뭔가 쎄한 느낌이 들지 않으세요? 맞습니다. 바로 2018년 대한민국 장애인들의 현실이지요. 장애인은 통합학급이 아닌 특수학교에 다녀야 하고, 저상버스를 찾아다니거나 콜택시를 하염없이 기다려야 합니다. 화장실을 한 번 가려해도 장애인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져 있는 곳을 찾기 어렵습니다. 지금은 당연한 일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조금만 지나면 이 모든 것들이 얼마나 말도 안 되는 차별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정말 이상한 것을 정상이라고 말하는 사회에 정면으로 저항해왔습니다. 이제 우리는 강의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야 합니다. 비싼 돈을 내고 강의를 듣는데 말도 잘하고 배운 사람이 해야 되지 않겠냐는 고용공단 모 직원의 의견에 고개를 끄덕이는 이에게 그건 잘못되었다고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우리의 목소리로 우리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게 얼마나 큰 힘이 있는지를 주장해야 합니다. 강의라는 것을 소위 배운 사람들이 독점하면 안 된다고 더 적극적으로 알려야 합니다.

 

강의는 누구나 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합니다. 우리 야학 학생분들을 비롯한 노들의 구성원들이 관공서에서, 기업체에서, 학교에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장애인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2) 인권교육을 하는 분들은 인식개선 교육이라는 용어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장애인의 차별 문제를 비장애인의 인식을 개선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고, 인권적 차원의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그렇습니다. 좀 더 자세한 이야기는 노들장애인권교육팀 분들에게 들으실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460 2018년 가을 116호 - 하나의 뿌리에서 펼쳐진 노란들판의 새 이사장의 인사 / 양현준 하나의 뿌리에서 펼쳐진 노란들판 사단법인 노란들판 새 이사장 양현준의 인사     양현준│나는 마음이 여립니다. 그리고 우유부단합니다. 그런데 나는 참 운이 ... file
459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장애인야학 신임 학생 & 교사 / 정고은·김형근       탈출하게 해달라고, 기도를 드렸습니다   정고은 저는 장애를 갖고 태어났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모님과 헤어져 시설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아빠와 엄마를... file
458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아 안녕]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신입활동가 / 최혜영·박미주       업무 6개월차, 노들에서 고군분투 중   최혜영   가을바람이 부는 장애등급제 완전폐지·장애인권리쟁취청와대 앞 농성장 야간 지킴이를 하면서 글을 적어봅... file
457 2018년 가을 116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10년의 기다림 / 김성진 10년의 기다림 김성진│시설 생활 26년 만에 극적으로 자립해서 살아온 지 11년... 딱히 직업은 없으나 운동선수(보치아), 배우 등을 하며 살고 있습니다.       ...
456 2018년 가을 116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젊은 처녀가 참 착하네~” 읭?!? 활동지원 8개월 차 이야기 / 송은영 “젊은 처녀가 참 착하네~” 읭?!? 활동지원 8개월 차 이야기     송은영│노들 야학에서 인기스타 선생이 되길 바라는 모두의 비타민! 예비 사회복지사   안녕하세...
455 2018년 가을 116호 - [교단일기] 자신의 한계를 의심만 하지 않고 도전했으면 좋겠다 / 박누리 자신의 한계를 의심만 하지 않고 도전했으면 좋겠다   박누리│처음 생긴 검정고시반을 한 학기 동안 맡았다. 지금은 수학 4반에서 학생들과 공부하고 있다      2... file
454 2018년 가을 116호 - 센터판의 자립생활주택 운영 도전기 / 서기현 센터판의 자립생활주택 운영 도전기     서기현│어머니의 태몽에서 백사로 분해 치맛속(?)으로 들어가 태어나서 그런지 입만 살아있고 팔다리는 못 씀. 역시나 뱀...
» 2018년 가을 116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장애인은 ‘훌륭한’ 장애인권강사가 될 수 없나요 / 허신행 장애인은 ‘훌륭한’ 장애인권강사가 될 수 없나요   허신행│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노들장애인권교육팀 강사   올해 5월 29일부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2)...
452 2018년 가을 116호 - ‘평등한 밥상’티켓판매왕들이 전하는 감사인사 / 김동림·한명희·김도현·이형숙     ‘평등한 밥상’티켓판매왕들이 전하는 감사인사 노들야학의 밥상을 함께 차려주신 분 모두 고맙습니다         김동림│안녕하세요!!!ㅋㅋ 이름은 김동림이고... file
451 2018년 가을 116호 - 장애인문화예술판 소식 <엄마라는 이름으로>와 <햄릿> 준비 중 / 주은아         장애인문화예술판 소식 &lt;엄마라는 이름으로&gt;와 &lt;햄릿&gt; 준비 중   주은아│‘장애인문화예술판’에 박혀 있는 문화예술활동가입니다.     장애인문화예술판(... file
450 2018년 가을 116호 - ‘욱하는 女자’ 제작 뒷이야기...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상영작 / 박세영   ‘욱하는 女자’ 제작 뒷이야기...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상영작   박세영│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북짝북짝 맨날 무언가를 하고 있는 박세영이라고 합니다. 진... file
449 2018년 가을 116호 - 제 9회 종로 노들보치아대회!!! / 임지영         제 9회 종로 노들보치아대회!!!   임지영│노들 2년차 먹을 거 주면 사람 잘 따르는 버럭 원숭이   &lt;노들바람&gt; 원고를 작성할 때쯤 되니 날이 선선해지네... file
448 2018년 가을 116호 -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가슴이 뛰었다 / 박정숙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가슴이 뛰었다 - 노년에 접어든 한 퀴어 여성의 삶과 운동, 궁리소 차담회 후기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 노란들판 활동지원 교육...
447 2018년 가을 116호 - [동네 한 바퀴] ‘띵동’의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 청소년 성소수자 위기지원센터 띵동 ‘띵동’의 활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세요!     띵동 │ 안녕하세요? 띵동입니다. 띵동은 위기상황에 놓인 청소년 성소수자들에게 상담과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
446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책꽂이1] 실격당한 우리를 위한 초상화 / 박은영     실격당한 우리를 위한 초상화     박은영 │ 대학원에서 한국 현대사를 공부하다 백수가 되었을 때 장애여성 친구들을 만나 장애학에 맛을 들인 뇌성마비 장애... file
445 2018년 가을 116호 - [노들 책꽂이2] 어떤 말들의 해방 / 홍은전       어떤 말들의 해방   홍은전│노들야학 휴직교사입니다. 빠른 시일 내로 복직할게요.         &lt;나, 함께 산다&gt;는 시설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의 이야기를 기록... file
444 2018년 가을 116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장애인문화예술판의 작업파트너이자 후원인 /김연정·주은아     이런 저런 일을 함께 만들어가고 싶어요. 장애인문화예술판 후원인 김연정 님   &lt;노들바람&gt; 2018년 가을호에서는 장애인문화예술판의 작업 파트너이자 후원인... file
443 2018년 가을 116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8년 09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미진 강병완 강복현 강선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
442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청와대가 보이는 종로장애인복지관 앞에서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는 농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장애등급제 폐지, 부양의... file
441 2018년 여름 115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 목소리와 책임 / 고병권 목소리와 책임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투의 최전선...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