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년 여름 115호 - 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짐을 끄는 짐승: 동물해방과 장애해방」 함께 읽기’ 세미나 후기

 

 

허신행│ 노들야학의 과학 선생이다. 주업은 출판사 직원이지만,

활동지원사, 장애인권 강사 등 총 7가지의 일을 하며 바쁘게 지내고 있다.

 

 

꾸미기_허신행_동물해방.jpg

 


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짐을 끄는 짐승: 동물해방과 장애해방」 함께 읽기’ 세미나 후기 대학교 1학년, 한참 학생운동에 꽂혀서 여기저기 다닐 때 친구들은 내게 불만이 많았다. “내가 맞고, 너는 틀리다”, “이 문제는 중요한 것이니 꼭 알아야 한다”식의 이야기들을 많이 했다. 말하자면 진보 꼰대, 운동권 꼰대의 느낌이었을 거다. 이제는 내 마음도 약간 시들해지고 설렁설렁 살게 되면서, 그 전과 같은 긴장 관계는 더는 없었다. 그러다 최근 들어 그런 긴장 관계가 다시금 생겼다. 아내는 나에게 “당신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내가 나쁜 사람이 되는 것 같아 불편해”라고 했고, 한 친구는 “좋은 얘기도 좀 적당히 해라. 너무 나간 것 아니냐?”라고 이야기했다. 그럼에도 내 입은 계속해서 ‘그 이야기’를 하고 싶어 움직거렸고 대화 말미에도 꼭 한 마디 덧붙이고야 말았다.


이 일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바로 ‘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을 주제로 한 세미나 때문이다. 사실 이 공부 모임에 함께하게 된 이유는 동물권에 관심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장애인권 교육을 하면서 공부를 좀 더 해야겠다는 생각에서였다. 장애와 동물이 무슨 상관이기에 엮어 놓았나 하는 궁금함도 약간은 있었다. 그때는 가볍게 신청한 세미나 하나가 나에게 이 정도의 영향을 줄 것이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세미나는 수나우라 테일러(Sunaura Taylor)라는 장애학자이자, 동물해방 운동가의 저서 『짐을 끄는 짐승: 동물해방과 장애해방』를 읽으면서 진행되었다. 아직 번역본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현재 번역을 하고 계신 이마즈 유리 선생님과 고병권 선생님의 도움으로 초벌 번역 자료를 볼 수 있었다. 전반부에는 세미나 참여자들의 발제를 듣고 책 이야기를 했다. 쉬는 시간을 갖고 나서는 유튜브를 통해서 동물권과 관련된 영상을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눴다.


세미나를 통해서 비장애중심주의(ableism)와 인간중심주의가 어떻게 유사한 방식으로 타자들을 배제하고 억압하는지를 확인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인간과 동물, 장애인과 동물 사이의 관계 맺음 등에 대해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지만, 나에게 가장 강렬하게 남은 것은 ‘고기’로 불리는 동물의 삶이었다. 나는 일생 동안 육식을 해왔다. 세미나 이전까지 여기에 대한 문제의식은 조금도 없었다. ‘치느님’이라는 표현도 웃으며 해왔고, 체육대회 대신에 제육대회를 하는 연예인들의 이벤트에도 아이디어가 좋다는 생각을 했을 뿐이다. 하지만 세미나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동물들의 삶과 죽음에 직면하게 되면서 무척 큰 충격을 받았고, 마음과 감각이 달라져감을 느꼈다. 평소에 앎은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역부족이라고 믿었던 나였다. 하지만 상상을 초월하는 잔인함과 무지막지함은 이런 믿음을 가볍게 뛰어넘어버렸다. 닭에 관해서만 이야기해보자면, 치킨의 바삭거리는 식감을 위해서 올해 4월 한 달 동안 8,000만 마리가 생명을 잃었다.

 

1) 축산물안전관리시스템 2018년 4월 도축통계. 2017년 도축된 닭은 9억 3천 6백만 마리였으며, 복날이 있는 7월이면 해마다 1억 마리 이상의 닭이 희생된다.


육계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고기용 닭은 세상에 태어나 30일을 산다. 그들은 ‘고기’라는 운명이 아니었다면 10년의 수명을 누릴 수 있었다. 달걀을 위해 길러지는 산란계의 일생도 만만치 않다. 그들은 24시간 내내 꺼지지 않는 불빛 아래서 수면을 방해 당하면서 끊임없이 알을 낳아야 한다. 평상시라고 편히 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동료들과 다닥다닥 붙어 마치 한 몸처럼 되어버린 철제 우리 안에서 죽을 때까지 지내야 한다. 사료 값에 비해서 알 낳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면, 소위 가성비가 없는 닭이라고 여겨져 살처분 된다. 그 기간이 대략 2년 정도다. 어찌 보면 2년을 살 수 있는 산란계는 그나마 운이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부화한 병아리 중 수평아리는 바로 구분되어 기계에 갈려 비료가 된다. 기계에 갈리기 전에 마대에 담겨있는 동안 대부분 압사한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그들은 생명이 아니다. 생명이라고 인식한다면 이렇게 다룰 수 없다. 한승태 작가의 이야기처럼 축산업은 1차 산업이 아니라 제조업이다. 2) 한승태, 『고기로 태어나서』, 시대의창, 2018


닭과 병아리들은 생명이 아니라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같은 물체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사람 살기도 벅찬데 동물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다”는 현실론이나 “동물의 고통이 문제면 식물은 고통을 못 느끼냐, 그럼 아무것도 안 먹고 평화롭게 굶어 죽는 것이 낫겠다”는 비아냥은 더 이상 듣지않았으면 좋겠다. 도축장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그들의 눈빛을 보면 정말 모르겠는지, 어미와 강제로 떨어져 우는 아기 돼지들의 비명에서 진정 아무것도 느껴지지않는지, 배터리 케이지에서 나오고 싶어 발버둥 치는 닭의 모습에서 그들의 말을 진짜 ‘못’듣는 것인지 되묻고 싶다. 우리가 시설에 장애인이 있다는 사실에 눈감아 왔듯이, 장애인의 이야기는 듣는 척도 하지 않고 흘려버렸듯이 또다시 외면하려고 하는 것 아닌가? 나의 일상과 관계되기 전에 미리 차단하고 원래 없었던 일처럼 편히 살고 싶은 마음 아닌가?


수나우라의 말대로 우리는 선택적으로 경청해왔다. 힘 있는 자의 말에 귀 기울이고 힘없는 자의 말은 모르쇠로 일관했다. 그 결과 가장 처참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그럴싸한 식품을 대면하게 되었다. 혁명을 하자는 것이 아니다. 지금부터 모든 사람이 채식을 하자는 것도 아니다. 적어도 이건 아니지 않나, 이건 해도 너무한 것 아닌가, 이대로 가면 안 되지 않는가를 묻고 싶은 것이다. 다행히 노들은 최소한의 작은 노력을 시작하기로 했다. 일주일에 하루는 고기 없는 식단을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급식을 먹는 사람들의 선택권이 제한되어 왔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 채식은 계급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나 하는 일이라는 비판이 있는 상황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 해결할 것이 아니면 아예 처음부터 안 해버리는 것이 아니라,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미약한 보탬이라도 되려는 긍정의 움직임이 너무 고맙다. 장애운동도 모두가 안 될 거라 이야기했지만 하나하나 이루어왔듯이, 동물해방 운동도 언젠가는 많은 것을 바꾸어내고 2018년의 대한민국 상황을 말도 안 되는 야만의 시절로 기억하는 때가 왔으면 하는 소망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18년 여름 115호 - 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 / 허신행 2018년 여름 115호 - 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은 무슨 상관이 있을까? ‘「짐을 끄는 짐승: 동물해방과 장애해방」 함께 읽기’ 세미나 후기     허신행│ 노들야학의 과... file
439 2018년 여름 115호 - [장판 핫이슈] 발달장애 국가책임제를 위하여 / 김종옥 발달장애 국가책임제를 위하여 209명의 삭발과 3천명의 삼보일배와 65일의 노숙농성을 마치고     김종옥 │ 여기저기 참견하고 살다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 file
438 2018년 여름 115호 - 인권의 비와 자립생활의 나무사이, 공! / 김진수 인권의 비와 자립생활의 나무사이, 공! 노들 420 종로구에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자립생활의 나무를 심자!     김진수│에어컨을 사고 나서 싫었던 여름이 조금 좋... file
437 2018년 여름 115호 - 광화문 대로를 기어가는 몸들의 이야기 /박경석·이형숙·김유미·민아영 광화문 대로를 기어가는 몸들의 이야기 - 장애인용 오체투지? 육체투지? 장애투지?   2018년 4월 19일 딱 광화문 앞   전국 각지에서 온 활동가들이 청와대를 향... 1 file
436 2018년 여름 115호 - 「이동권」 / 김명학 「이동권」     김명학 │ 노들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시작된 이동권이 다시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동권 투쟁을 한 지도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
435 2018년 여름 115호 -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 최한별·박경석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최한별 │ 비마이너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고양이,떡볶이를 좋아합니다. 사주는 거 대환영♥ 만들어주는 건 더 환영♥     ... file
434 2018년 여름 115호 - <부싯돌> 그리고 다시 박경석 / 장선정 &lt;부싯돌&gt; 그리고 다시 박경석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제가 자꾸만 ‘그 때를 아십니까?’류의 이야기만 하는 것 같아서 죄송하지만, 이번도 같... file
433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무브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 무브 │ 하자작업장 학교 페스테자           쌀쌀하던 늦겨울에 시작된 수업이 어느새 4개월이 지나 수업... file
432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 이동호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이동호 │ 저는 강원도 철원에서 온 이동호입니다.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얘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전라도... file
431 2018년 여름 115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초심을 잃지 말자 /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 初 心 不 忘 (초심불망): 처음에 다진 마음(초심)을 잊지 말라는 뜻.   누구나 알고 있는 명언... 내가 요즘 ... file
430 2018년 여름 115호 -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 명희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명희 │노들장애인야학         몇 주기가 되었는지 손으로 꼽아 봐도 여전히 믿기지가 않습니다. 평원재단에 이종... file
429 2018년 여름 115호 - 김호식을 추모하며 / 고병권 김호식을 추모하며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투의 최전선... file
428 2018년 여름 115호 -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 조아라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조아라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항로로 정착한 후, 책상에 물건이 하나둘 쌓이는 게 뿌듯합니다. 글쓰기를... file
427 2018년 여름 115호 -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재학생이고 노란들판 상근 활동가입니다.       오십을 훌...
426 2018년 여름 115호 - [교단 일기]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 정석환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정석환 │노들 미술반 교사. 어쩌다 보니 전공과는 별 관계없는미술 교사를 맡고 있다.          원래 2011년부터 12년까지 대략... file
425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 민아영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민아영 │ 노들장애인야학 자원교사이면서,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상근하고 있습... file
424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우웨~ 우웨~"에 갈 거야~~~~" / 윤제원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quot;우웨~ 우웨~&quot;에 갈 거야~~~~&quot;       윤제원 │ 장애인거주시설 인강원장. 25년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로서 근무했지만 ...
423 2018년 여름 115호 -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 박시백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박시백 │ 글 첫 줄에 나오듯이 12년차 노란들판 디자이너. 노란들판에서 맥주맛을 아는 유일한 존재. 시크한 따스함을... file
422 2018년 여름 115호 -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 진영인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진영인│노란들판에서 전화 받고 있습니다. 진지한 글쓰기에는 재주가 없습니다.     #만남 일시 : 4월 13일 금요일 오후 7시 ... file
421 2018년 여름 115호 -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 김동림·천성호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김동림 │노들야학의 학생이며 여러분과 함께 할 김동림입니다. 천성호 │노들야학을 통해 노란들판을 만들어가는 천성호입니...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