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영화 <공동정범> 공동상영회 후기

 

 

정창조 │ 집보다 노들에 있는 시간이 더 많다. 길게 잠을 자고 싶어 한다.

 


사건은 흔적을 남긴다. 그러나 그 흔적은 대체로 금방 희미해진다. 그리고 희미해진 자욱 곁으로는 이내 망각이 스며든다. 망각이 스며드는 속도는 사건의 성격에 따라 상대적이다. 어떤 흔적은 시대를 잘 만나 짙은 흉터로 남아 지속되는 반면, 어떤 흔적은 살짝 긁힌 상처마냥 금세 옅어져 버리는 탓이다. 망각의 침입은 결코 중립적이지도 않다. 어떤 흔적을 오늘 남길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대개 이 시대를 조용히/때로는 시끄럽게 작동시키는 권력 내지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권력(내지 이데올로기) 탓에 가벼이 난 상처로 여겨졌던 상처들이 피부 속에서 곪아 터져 온갖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시간이 꽤 흘러 그러한 상처를 다시 꺼내 진단해 본다는 건 그 자체로 참 두려운 일이다.

 

꾸미기_정창조_때맞지.jpg

 

 

"사실 당신은 과거의 그 상처 덕에 불치병을 안고 있었습니다" 라는 의사의 말을 마주하기 위해선 얼마나 큰 용기가 필요한가. 그 와중에도 끊임없이 닥쳐오는 현재의 일상은 상처의 흔적을 마주하기 위해 잠시라도 멈출 시간을 용납치않는다. 감히 말하건대, '지금'의 투쟁에, '당장의 급한 불'을 끄는 데 집중하며 과거를 제쳐두게 되는 것도 어쩌면 그 모습 중 하나일 테다. 망각은 우리를 치유의 환상으로 인도하곤 하는데, 다행히도 그 환상은 상처받은 자가 일상을 지속하게 해주는 힘이 되어주기도 한다.

 

그러나 은폐된 상처는 은밀하게 우리의 생명을 참 잘도 갉아먹는다. 심지어 어쩔 때는 맥락 없이 한 순간에 불쑥 튀어나와 영혼을 한없이 잠식해 가기도 한다. '때맞지 않은' 과거의 출현이 두려운 것은 어쩌면 바로 이 탓일 테다. 그렇게 흔적은 희미해질지언정 결코 사라지지 않으며, 언제든 다시 현재(와 미래)를 짙게 과거로 물들일 수 있다.

 

공동정범 - 나는 이 영화가 두려웠다. 영화를 먼저 본 이들은 영화에 대해 물으면 하나 같이 한숨부터 푹 내뱉었다. 나 역시 그 한숨을 내쉬고 싶지 않았다. 어쩌면 나는 2009년 1월 20일로, 기껏해야 용산참사 관련 논의들이 비교적 대중들의 관심 속에서 살아 있던 그 애매한 날짜까지로 용산을 묻어두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그 사건은 나에게 '과거'의 분노였고, '과거'의 뜨거움이었으며, 기껏해야 죽은 이들에 대한 추모의 소재였다. '지금' 그 사건의 흔적을 안고 살아가는 생존자들의 사적인 얼굴들을 마주할 용기가 내게는 없었다. 나는 종종 투쟁공간에서 지나치듯 마주하는 생존자들의 의연한 모습만을 간직하고 싶었다. 그것이 희미해져 가는 용산의 흔적을 내가 애도하는 방식(그리고 이런 말을 하는 것조차 부끄럽지만), 작게나마 연대하는 방식이었다.

 

대항로(노들, 서울장차연)는 그러한 나의 태도를 비웃기라도 하듯, 공동상영회를 열어버렸다! 심지어 내게 공동상영회 GV 사회를 맡겨버렸다! 이렇게 나는 그 영화를 만날 준비도, 자격도 없이 그 영화를 만났고, 공개적으로 그 영화에 대한 나의 말들을, 심지어 타자의 말들을 이끌어 내기까지 해야만 했다. 상영회가 열린 3월 21일, 하필 그날은 '때맞지 않게' 눈보라가 몰아쳤는데, 그 날씨조차도 내게는 참 두렵게 여겨졌다. 이미 희미해진 9년 전 겨울 그 날의 흔적을 하필이면 이 봄날 같지 않은 봄날에 마주해야만 하다니. 젠장. 왜 날씨까지 이 날이 때맞지 않은 날임을 부각시켜 주는 것일까. 그리고 역시나 스크린은 때맞지 않은 장면들로 채워지기 시작했다. 알고 싶지 않았던 생존자들의 얼굴들이, 이 사회가 이미 망각(했다고 착각하는)한 어떤 흔적들이 너무나도 강렬하게 스크린에 새겨졌다. 내뱉고 싶지 않았던 종류의 한숨이 마구 흘러나왔다. 그리고 이내 나의 걱정은 더 커졌다. 아니 대체 이런 영화 GV 사회를 어떻게 봐야 하는 거지? 이 영화에 대해서는 과연 말이 필요하긴 한 것일까? 나의, 내 곁의 타자들의 말이 발화되는 바로 그 순간에 화면에서 흘러나오는 저 강렬한 흔적들은 곧바로 퇴색되어 버리진 않을까?

 

 

꾸미기_정창조_때맞지2.jpg

 


무거운 마음으로, 그리고 여전히 사회자의 자격을 잃은 채로 GV가 시작되었으나, 다행히도 이야기는 끊이질 않았다. 그동안 우리가 보아 온 용산은 어떤 프레임 속에서 재현되어 왔는지, 왜 용산 생존자들은 좀처럼 대중들에게 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으며, 이 적나라한 영화에서조차 드러나지 않은 그들의 얼굴은 어떠한지. 그리고 참사 생존자들 및 투쟁하는 자들에게 요구되는 순수성의 요구를 어떻게 넘어설 것인지. 장판에서 우리는 과연 잘 싸우고 있는 건지, 투쟁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갈등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을 것인지, 우리들 사이에서조차 배제된 동지들은 없는지 등등. 이야기 손님들의 탁월한 역량이 사회자의 부족함을 참 잘도 메꿔주고 있었다.

 

내가 놀랐던 것은 김일란, 이혁상 감독님은 물론이고, (사실 영화를 보기 전, 나와 함께 이 GV에 대한 두려움을 서로 토로하기도 했던) 박김영희 대표님도 '때맞지 않은' 이야기들을 자연스레 참 잘도 꺼내 드신다는 점이었다. 그 와중에도 9년간 감춰져 있다 이제 막 드러난 흔적들은 돌연 칼날이 되어 옛 상처를 마냥 후벼 파지도 않았고, 우울함 내지 절망의 나락으로 관객들을 인도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이 공간은 때맞지 않을 것만 같던 이야기를 우리들의 지금 이 시공간에 참 '잘 맞는' 이야기로 탈바꿈시켰다. 아니 어쩌면 때맞지 않는 이야기들이 오히려 때맞는 이야기는 아니었을까? 그것을 때맞지 않는 이야기라 여긴 것 자체가 혹시 우리의 착각은 아니었을까? 설령 그것이 때맞지 않은 것이라할지라도, 우리에겐 그것을 지금 이 세계에 드러낼 의무가 있진 않았을까?


때맞지 않은 장면들 하나하나가 지금 이곳에서 반드시 나누었어야 하는 이야기들을 끊임없이 재생산 해내는 모습은 사뭇 괴이했다. 그러나 나는 그 괴이함이 싫지 않았다. 하긴 생각해 보면 이 세상은 때 맞지 않은 온갖 것들로 가득 차 있고, 그로써 도리어 '현실'이 무엇인지가 더 강렬히 부각되지 않던가. 그리고 그 현실을 직접적으로 대면하는 과정에서만이 비로소 모순들이, 그 모순들에 대한 새로운 저항의 가능성이 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서로 반목하던 용산 생존자들이 영화 말미에 와서야 함께 둘러 앉아, 이미 때맞지 않은 것이 되어버린 그 날의 흔적을 하나하나 그려보던 것처럼. 그리고 그러한 때맞지 않는 노력이 과거의 흔적과 잘 사귀어가며, 새로운 저항의 불씨를 잉태할 수 있는것처럼.


사람들이 '21세기 판 난쏘공'(난쏘공의 배경은 1970년대이다)이라 호명할 정도로 때맞지 않던 그 날. 문명의 상징들로 화려하게 포장된 도시 한복판에 '때맞지 않게(그러나 실은 흔하게)' 출현한 철거민들과, 멀끔한 대로에 던져진 때맞지 않는 존재, 즉 화염병이 낸 시대의 균열. 산화한 불꽃들과 그것들이 남긴 다섯 개의 서로 닮았지만, 서로 다른 흔적들. 대학로를 때맞지 않게 '대항로'라 호명하는 유리빌딩 동지들, 그리고 존재 자체가, 투쟁하는 방식 자체가 이 시대와 때맞지 않는 장애인 동지들과 함께, 이 '때맞지 않은 장면'들을 다시 곱씹을 수 있어서 참 좋았다. 이 때맞지 않는 상영회는 그야말로 때맞는 상영회였던 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420 2018년 여름 115호 -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 최은화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최은화 │ 노란들판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멍하니 있는 것. 오랜 시간 걷는 것. 오랜 시간 잠자는 것을 좋아... file
419 2018년 여름 115호 - 끝나지 않은 2009년! / 탁영희 끝나지 않은 2009년!     탁영희 │ 처음 노들바람에 글을 쓰게 되어 어색해요. 저는 올해 20살이 되었어요. 요즘 오산과 서울을 왔다 갔다 하며 두 집 살림하는 ... file
» 2018년 여름 115호 -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정창조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영화 &lt;공동정범&gt; 공동상영회 후기     정창조 │ 집보다 노들에 있는 시간이 더 많다. 길게 잠을 자고 싶어 한다.   사건은 흔적을 남... file
417 2018년 여름 115호 -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 하금철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장판에서 푸코 읽기' 강좌 후기     하금철 │ 두 발은 분주하고 마음은 평화로운 사람이 되고 싶지만, 현실은 그저 유리빌딩 기생... file
416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 책꽂이] '대단하지 않은' 여행을 담은 대단한 이야기 / 이현아  '대단하지 않은' 여행을 담은 대단한 이야기 &lt;너와 함께한 모든 길이 좋았다&gt;     이현아 │ 노들인이 된 지 1년이 되었습니다. 노들과 함께하니 시간이 더욱 세... file
415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너와 나의 연결고리 / 이라나·정성룡·김명학 너와 나의 연결고리 '당신의 해방과 나의 해방이 연결되어 있기에!!!투쟁!!!'     이번 [노들은 사랑을 싣고]의 주인공은 노들야학 휴학생 정성룡 님과 2008년도... file
414 2018년 여름 115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에 유기농 쌀을 보태주는 한살림 일꾼들 /정서윤·김유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한살림수도권실무자연합회 연합지회 정서윤 님 인터뷰       야학에선 ‘먹는’ 일이 참 뜨겁다. 혼자 밥을 먹을 수 없는 사람, 잘 챙... file
413 2018년 여름 115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8년 0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병완 강복현 강선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
412 2018년 봄 114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최근에 공연 두 편을 보았습니다. 두 편 모두 야학 교사활동을 하는 친구들이 참여하는 극이었습니다. 한 친구는 공연의 ... file
411 2018년 봄 114호 - 안에서 들을 수 없는 말 / 노규호 안에서 들을 수 없는 말     노규호 │ 장애학 궁리소 연구원입니다. 노들야학 교사이기도 합니다. 푸코의 글을 노들야학 수업에서 함께 읽고 있습니다.   내가 경...
410 2018년 봄 114호 - [형님 한 말씀] 춥고 긴 겨울을 보내고 / 김명학 춥고 긴 겨울을 보내고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춥고 긴 겨울을 보내고 새봄이 우리 곁에 조금식 조금씩 오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 file
409 2018년 봄 114호 - [장판 핫이슈] 3평 투쟁이 열어놓을 세상 평창동계올림픽, 평화 그리고 평등을 말하라! / 김순화 3평 투쟁이 열어놓을 세상 평창동계올림픽, 평화 그리고 평등을 말하라!     김순화 │ 안녕하세요! 지난해 12월부터 소통하고, 함께하고, 멋지게 싸우고, 항상 현...
408 2018년 봄 11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어떻게 운명의 따귀를 올려붙일 것인가 / 고병권  어떻게 운명의 따귀를 올려붙일 것인가 - 장애인 투사 이브라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야기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 file
407 2018년 봄 114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향해 - 2018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 / 박철균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향해 - 2018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     박철균 │ 2015년 4월부터 3년째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활... file
406 2018년 봄 114호 - 이제 진짜 승리하는 한판의 투쟁을 준비합니다 / 박경석 이제 진짜 승리하는 한판의 투쟁을 준비합니다     박경석 │ 노들장애인야학 고장,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지난 2월8일 검사가 구형한 2년6개월에... file
405 2018년 봄 114호 - 마주보지 않아도, 손 잡지 않아도, 결심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 장선정 마주보지 않아도, 손 잡지 않아도, 결심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 이 글은 개인의 의견입니다. 누구와도 상의하거나 허락받지 않... file
404 2018년 봄 114호 - AWARD 2017년 노란들판 모두의 시상식 AWARD 2017년 노란들판 모두의 시상식     노란들판(공장)에서는 2017년 송년회를 맞이하여 '모두의 시상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시상식은 뛰어난 성과(?)를 ... file
403 2018년 봄 114호 - 어둠의 조직, 노란들판 [배부] 이야기 / 송주훈 어둠의 조직, 노란들판 [배부] 이야기     송주훈│노란들판에서 작업팀 막내와 남자 막내를 담당. 아내와 반려견을 위해 사는 남자. 스쿠터와 축구, 술과 일본요... file
402 2018년 봄 114호 - 2018년 노들야학 학생회장단입니다! / 이상우·최영은 2018년 노들야학 학생회장단입니다!       회장 이상우│ 안녕하세요. 저는 2018 노란들판 노들 야학 총학생회 회장 이상우입니다.   총학생회 회장선거 공약한 대...
401 2018년 봄 114호 - 노들아 안녕 / 천성호·곽남희·이수미·박태수 노들을 다시 배운다   천성호│노들장애인야학 상근교사     노들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5년 전쯤에 2년 동안 노들에서 자원교사를 했습니다. 그때 국어와 사회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