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 시설(자립 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하여

자립생활 베테랑 김동림의 이야기 

 

김동림

 

 

이번 자립생활을 알려주마의 주인공은 노들장애인 야학의 김동림 님입니다.

자립생활을 하는 분들이 있다 면, 탈시설 자립생활 경력이 무려 11년이나 된,

자립생활 베테랑 김동림 님의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보세요.

 

 

  나는 1987년에 석암재단 베데스다중증요양원(현 향유의집)에 들어갔다. 당시 나는 가족들에게 더 이상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아서 시설에 들어가겠다고 가족들에게 말했다. 어머니는 당신께서 먼저 시설들을 둘러보시더니 나보고 가지 말라고 하셨다. 하지만 나는 더 이상 가족의 짐이 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입소했다. 입소한 후 2009년 시설에서 나오기까지 23년을 시설에서 살았다. 나의 20대와 30대를 시설에서 보냈다. 지금은 시설에서 나와 결혼하고 조그만 아파트에 살고 있다. 시설에서 처음 나와서는 체험홈에 6개월 살다가 자립생활가정에 1년 정도 살았다. 그 사이에 연애를 해서 결혼을 하게 되고, 도봉구로 이사 와서 아내와 함께 10 여년간 살다가 최근에는 김포에 국민임대 아파트를 얻어 살고 있다.

  내가 생각할 때 탈 시설(자립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들은 이런 것이다.

 

* 첫 번째 자립생활을 할 때 센터를 찾아가 상담을 자주 한다.

 

* 두 번째 자립을 처음 할 때는 지역에 복지관이나 은행, 관공서를 알아보아야 한다. 처음에는 힘든데, 당사자에게 잘 알려줘야 한다. 그런데 자꾸 활동보조인이 하면 활동지원인에게 의지하게 된다. 자립생활을 할 때 멘토가 이야기해준 이용자에게 필요한 말을 수첩에 적었는데 참 유용했다.

 

* 세 번째 나는 자립을 하면서 주민센터를 수없이 찾아가 필요로 하는 집수리를 알아보고 도배나 장판 화장실 등 고칠 수 있는지 활동보조인과 같이 가서 직접 내가 알아봤다. 활동보조인에게 맡기지만 말고 말하기 어려워도 내가 직접 이야기해야 자립 생활 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금은 장애등급제가 폐지되어 예전에는 활동보조 시간을 받았지만(인정점수 – 388시간) 지금은 종합점수조사 15구간 중 6구간을 받아 500시간을 받고 있다. 예전에는 활동지원 시간이 없어 많이 답답했다면 지금은 많이 완화 되었다. 자립생활을 준비하는 분들 중에 활동지원 시간이 걱정인 분들이 있다면 활동지원 시간에 대해 걱정부터 하지 말고 자립을 먼저 했으면 좋겠다. 자립을 하고 나서 활동지원시간이나 여러 문제들을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면 된다. 그러니 시설에서 나와 모두 자립생활을 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0년 여름 123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 시설(자립 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하여 / 김동림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 시설(자립 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하여 자립생활 베테랑 김동림의 이야기    김동림     이번 자립생활을 알려주마의 주인공은 ...
663 2020년 여름 123호 - 검정고시 중졸 과정을 준비하면서 / 이수미 검정고시 중졸 과정을 준비하면서    이수미 내꿈을 위해 언제든 달려가는 사람         검정고시를 준비하면서 기초가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특히 수학... file
662 2020년 여름 123호 - [교단일기] 합격, 합격, 합격 / 김호세아 [교단일기] 합격, 합격, 합격    김호세아 노들야학 교사는 이력서에도 넣습니다. 야학교사를 특권으로 생각하는 1인             한 학기가 잘 끝났다.   검정고... file
661 2020년 여름 123호 - 안 나오면 쳐들어간다 쿵짜작쿵짝! / 유금문 안 나오면 쳐들어간다 쿵짜작쿵짝!    유금문 노들야학 자원교사와 몸짓패 '야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으며 잘 먹고 잘 쉬고 잘 활동하고 있습니... file
660 2020년 여름 123호 -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 김탄진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김탄진 저는 실생활에서의 경험과 복지학과에서 배운 이론을 배합하여 수강생에게 감동적인 장애인 평... file
659 2020년 여름 123호 -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 조호연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조호연 커피와 뜨개질을 좋아하는 노들야학 학생이고 한정자 권익옹호활동가         1. 지금 근무하는 곳의 이름은? 제가 근무하... file
658 2020년 여름 123호 - 대형 타이벡 제작기 / 노란들판 작업팀 대형 타이벡 제작기   노란들판 작업팀       ‘타이벡(Tyvek)’은 세계적인 화학 기업 듀폰(Dupont)사가 개발한 기능성 소재로, 플라스틱으로 100% 재활용할 수 있... file
657 2020년 여름 123호 - 수어 모임_햇수다 / 제갈진숙 수어 모임_햇수다 햇수다(초보 손 말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 ~햇수다. 방언 이중적인 의미)    제갈진숙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막내에서 갓 탈출한(??) 응급안전... file
656 2020년 여름 123호 -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 박정숙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박정숙 노들장애인야학 한소리반 학생. 노들 활동지원사교육기관 담당자로 일하고 있다.             4월에 열려야했던 장애인인권영... file
655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 정민구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 시작한 민구 이야기   정민구 꼬부랑 할아버지가 돼도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싶은 밍...
654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 다독다독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도서위원회 ‘다독다독’      노란들판에는 도서위원회가 있습니다. 이름은 ‘다...
653 2020년 여름 123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마스크가 금보다 귀한 시절. 노들은 괜찮은지 걱정을 한 아름 안고, 마스크를 선물해준 분들이 있습니다.... file
652 2020년 여름 123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강복현 강성윤...
651 2020년 봄 12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점심시간이면, 4층 들다방으로 건물 사람들이 찾아와 밥을 함께 먹습니다. 2층의 야학 학생들, 5층 사단법인 노란들판, 전국장...
650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 김필순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김필순 | 코로나로 많은 일정이 사라졌지만 입안 바이러스 혓바늘과 전쟁 중       1월이 끝나고 2월이 ...
649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 김상희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김상희 | 노들센터 4년차, 버티는 삶에 대한 실험 중.       코로나19가 뭐길래     요즘 아침에 일어나면 확인하는 일이 생겼...
648 2020년 봄 122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
647 2020년 봄 122호 -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 가을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가을 | 초가을 저녁, 흔들리는 종소리에 가을이 왔구나하며 ‘가을’이라 지었습... file
646 2020년 봄 122호 -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 김도현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김도현 |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고, 노들장애인야학 부설 기관인 노... file
645 2020년 봄 122호 -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 박정수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는 야학 교사. 최근 안양으로 이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