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김탄진

저는 실생활에서의 경험과 복지학과에서 배운 이론을 배합하여

수강생에게 감동적인 장애인 평등인식을 심어주는 강사 김탄진이라고 합니다.

 

 

김탄진.jpg

 

  제가 ‘장애인 평등 인식’ 강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긴장감을 주는 면접을 본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전국을 누비며 바쁘게 강의를 다닌 지 1년 반 이상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물론 그 전에도 학생들을 상대로 ‘장애인 인식’ 교육을 많이 해왔습니다. 이건 주로 서울이나 그 주변 학교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사회생활을 하며 직장일을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에 새로이 시작하는 마음가짐으로 강의에 임하여 왔었습니다. 

 

  강의를 하며 제일 보람을 느끼고 재미있었던 것은 내 자신이 격렬하게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준다는 사실과 다른 사람, 그것도 성인을 설득, 감명시키고 있다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리고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저의 외향적 성격도 있고 해서 그동안 가보지 못했던 지방을 누비고 다닌 것이 아주 재미 있었습니다. 서울, 부산, 대구, 홍성, 철원 등을 찍고 다니는 인생은 힘들기는 해도 아주 재밌는 일이었습니다.

  성공적이라 느끼는 강의도 있었고, 피드백이 신통치 않다는 생각이 드는 강의도 있었지만 제가 인상에 남는 에피소드는 두 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의외로 제가 많이 받는 개인적 질문은 저의 결혼 여부에 대한 질문이었 습니다. 아마 보기에도 아주 중증인 저의 결혼 생활이 상상이 잘 안 되었던 모양입니다.

 

  두 번째는 저의 강의에 상상을 초월한 감명을 받고 제 손을 잡아도 되느냐며, 저와 악수를 하겠다고 어르신들께서 줄을 섰던 일이었습니다. 제 가 뭐 아이돌이라도 된 기분이 되었습니다. 저는 트롯트도 잘 부르지도 못 하는데...... 제가 손잡아본 분들의 숫자는 셀 수가 없어 몇 명인지 짐작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 두가지 현상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성인이 될 때까지 짧게는 20 여년 이상, 길게는 수십년간 사회 생활을 한 성인이 장애인, 특히 저 같은 중증장애인과 접해본 경험이 거의 없었다는 것입니다. 장애인 차별에 대해 우리는 많이 얘기하고 사회적 현상에 대해 많이 얘기 하지만 정확히 말해 차별이 아니라 아예 인식도 못하고 안중에도 없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좁은 인도에서 누가 짐을 쌓고 내려놓는 하차 작업을 한다고 했을 때 작업하는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도보로 지나가거나 혹은 자전거로 지나가는 사람을 고려해서 짐을 내려놓지만 차마, 아니 아예 전동휠체어 가 지나가는 공간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차별당할 정도의 관심도 못 받아왔다는 것입니다.

 

  우리 장애인들은 활발한 사회 활동과 바깥 활동을 통해 비장애인들의 눈에도 많이 띄어서, 같이 살고 있는 사회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비장애인 인식에 무의식적으로도 인식되도록 할 필요가 우선은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제가 대한민국 전국을 누리며 강의를 나가 보았지만, 물론 저의 강의에 참가한 사람들 대부분이 장애인에 대해 틀린 인식을 개선하고 함께할 준비를 할 사람들이 오는 것도 있지만, 저의 강의를 들은 수백, 수천명의 사람들은 장애인에 대해 차별적인 자세와 거리가 멀고 함께 할 사람들이 라는 인식을 주는 사람들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 장애인의 존재를 확실히 인식해 주고 직접 부딪치며, 물론 그 과정에서 어긋남과 교정 작업이 있겠지만, 마지막으로는 함께하는 방법을 찾아 모든 장애인 비장애인이 행복하게 힘을 합쳐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금은 코로나19라는 괴물이 온 세상을 덮치는 바람에 제대로 강의를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코로나에는 장애인 비장애인, 부자, 가난한 자의 차별이 없습니다. 모두 건강하게 다시 강의 하는 세상을 그려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76 2020년 여름 123호 - [형님 한 말씀] <코로나 19> / 김명학   file
675 2020년 여름 123호 - 투쟁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 송은영 투쟁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송은영 좋아하는 사람들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활동가가 되기로 결심한 사람! 현재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기획실에... file
674 2020년 여름 123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동물 앞에서 발가벗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동물 앞에서 발가벗다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
673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지원주택 여섯 달, 노들야학 두 달~ / 이인혜, 임소라 [노들아 안녕] 지원주택 여섯 달, 노들야학 두 달~   이인혜, 임소라         글을 쓴 사람은 인혜 씨의 조력자 임소라(프리웰지원주 택센터 오류권역)입니다.   ... file
672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함께 소통하고 함께 공감하고 함께 연대할 때 / 장주연 [노들아 안녕] 함께 소통하고 함께 공감하고 함께 연대할 때   장주연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에서 동료상담가로 일하고 있는 장주연입니다. 대학시절 “... file
671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신애 [노들아 안녕]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신애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비스지원 팀에서 활동지원사업 코디네이터를 담당하고 있는 ... file
670 2020년 여름 123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자신만의 한 걸음을 걷는 사람들 / 홍석현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자신만의 한 걸음을 걷는 사람들   홍석현       개인적인 사정으로 직장을 그만두고 서울로 올라왔을 때 우연한 계기로 ‘활동지원... file
669 2020년 여름 123호 - [욱하는 女자] 지팡이 들고 다니는 중장년층 할아버지야!!!!!! / 박세영 [욱하는 女자] 지팡이 들고 다니는 중장년층 할아버지야!!!!!!   박세영 센터판 활동가 세0. 나름 조용조용하게 살라고 온갖 꺼리를 찾고있는... 정신없는... 욱... file
668 2020년 여름 123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성북구 편의시설 모니터링 후일담 / 센터판 [대학로야 같이 놀자] 성북구 편의시설 모니터링 후일담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센터판에서 함께한지 벌써 1년, 편의시설 담당한 지도 1년째에 접... file
667 2020년 여름 123호 -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코로나19 장애인활동지원 특별지원급여 (혼란) / 조석환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코로나19 장애인활동지원 특별지원급여 (혼란)    조석환 센터판에서 활동지원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쪼인성(보다는 소세지로 이름을 알린... file
666 2020년 여름 123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종로구, 함께 살자! / 김수정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종로구, 함께 살자! 종로구 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활동 이야기    김수정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종로지회장      전국장애인... file
665 2020년 여름 123호 - 가족이 ‘장애인의 탈시설’을 반대하는 이유 / 김필순 가족이 ‘장애인의 탈시설’을 반대하는 이유    김필순 루디아의집 특별조사단이지만 아직도 거주인들을 만나지 못함. 잘 싸워서 민.관이 함께 시설폐쇄하는 과정... file
664 2020년 여름 123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 시설(자립 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하여 / 김동림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 시설(자립 생활)을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하여 자립생활 베테랑 김동림의 이야기    김동림     이번 자립생활을 알려주마의 주인공은 ...
663 2020년 여름 123호 - 검정고시 중졸 과정을 준비하면서 / 이수미 검정고시 중졸 과정을 준비하면서    이수미 내꿈을 위해 언제든 달려가는 사람         검정고시를 준비하면서 기초가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특히 수학... file
662 2020년 여름 123호 - [교단일기] 합격, 합격, 합격 / 김호세아 [교단일기] 합격, 합격, 합격    김호세아 노들야학 교사는 이력서에도 넣습니다. 야학교사를 특권으로 생각하는 1인             한 학기가 잘 끝났다.   검정고... file
661 2020년 여름 123호 - 안 나오면 쳐들어간다 쿵짜작쿵짝! / 유금문 안 나오면 쳐들어간다 쿵짜작쿵짝!    유금문 노들야학 자원교사와 몸짓패 '야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으며 잘 먹고 잘 쉬고 잘 활동하고 있습니... file
» 2020년 여름 123호 -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 김탄진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김탄진 저는 실생활에서의 경험과 복지학과에서 배운 이론을 배합하여 수강생에게 감동적인 장애인 평... file
659 2020년 여름 123호 -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 조호연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조호연 커피와 뜨개질을 좋아하는 노들야학 학생이고 한정자 권익옹호활동가         1. 지금 근무하는 곳의 이름은? 제가 근무하... file
658 2020년 여름 123호 - 대형 타이벡 제작기 / 노란들판 작업팀 대형 타이벡 제작기   노란들판 작업팀       ‘타이벡(Tyvek)’은 세계적인 화학 기업 듀폰(Dupont)사가 개발한 기능성 소재로, 플라스틱으로 100% 재활용할 수 있... file
657 2020년 여름 123호 - 수어 모임_햇수다 / 제갈진숙 수어 모임_햇수다 햇수다(초보 손 말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 ~햇수다. 방언 이중적인 의미)    제갈진숙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막내에서 갓 탈출한(??) 응급안전...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