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김탄진

저는 실생활에서의 경험과 복지학과에서 배운 이론을 배합하여

수강생에게 감동적인 장애인 평등인식을 심어주는 강사 김탄진이라고 합니다.

 

 

김탄진.jpg

 

  제가 ‘장애인 평등 인식’ 강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긴장감을 주는 면접을 본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전국을 누비며 바쁘게 강의를 다닌 지 1년 반 이상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물론 그 전에도 학생들을 상대로 ‘장애인 인식’ 교육을 많이 해왔습니다. 이건 주로 서울이나 그 주변 학교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사회생활을 하며 직장일을 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에 새로이 시작하는 마음가짐으로 강의에 임하여 왔었습니다. 

 

  강의를 하며 제일 보람을 느끼고 재미있었던 것은 내 자신이 격렬하게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준다는 사실과 다른 사람, 그것도 성인을 설득, 감명시키고 있다는 현상이었습니다. 그리고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저의 외향적 성격도 있고 해서 그동안 가보지 못했던 지방을 누비고 다닌 것이 아주 재미 있었습니다. 서울, 부산, 대구, 홍성, 철원 등을 찍고 다니는 인생은 힘들기는 해도 아주 재밌는 일이었습니다.

  성공적이라 느끼는 강의도 있었고, 피드백이 신통치 않다는 생각이 드는 강의도 있었지만 제가 인상에 남는 에피소드는 두 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의외로 제가 많이 받는 개인적 질문은 저의 결혼 여부에 대한 질문이었 습니다. 아마 보기에도 아주 중증인 저의 결혼 생활이 상상이 잘 안 되었던 모양입니다.

 

  두 번째는 저의 강의에 상상을 초월한 감명을 받고 제 손을 잡아도 되느냐며, 저와 악수를 하겠다고 어르신들께서 줄을 섰던 일이었습니다. 제 가 뭐 아이돌이라도 된 기분이 되었습니다. 저는 트롯트도 잘 부르지도 못 하는데...... 제가 손잡아본 분들의 숫자는 셀 수가 없어 몇 명인지 짐작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이 두가지 현상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성인이 될 때까지 짧게는 20 여년 이상, 길게는 수십년간 사회 생활을 한 성인이 장애인, 특히 저 같은 중증장애인과 접해본 경험이 거의 없었다는 것입니다. 장애인 차별에 대해 우리는 많이 얘기하고 사회적 현상에 대해 많이 얘기 하지만 정확히 말해 차별이 아니라 아예 인식도 못하고 안중에도 없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좁은 인도에서 누가 짐을 쌓고 내려놓는 하차 작업을 한다고 했을 때 작업하는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도보로 지나가거나 혹은 자전거로 지나가는 사람을 고려해서 짐을 내려놓지만 차마, 아니 아예 전동휠체어 가 지나가는 공간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차별당할 정도의 관심도 못 받아왔다는 것입니다.

 

  우리 장애인들은 활발한 사회 활동과 바깥 활동을 통해 비장애인들의 눈에도 많이 띄어서, 같이 살고 있는 사회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비장애인 인식에 무의식적으로도 인식되도록 할 필요가 우선은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제가 대한민국 전국을 누리며 강의를 나가 보았지만, 물론 저의 강의에 참가한 사람들 대부분이 장애인에 대해 틀린 인식을 개선하고 함께할 준비를 할 사람들이 오는 것도 있지만, 저의 강의를 들은 수백, 수천명의 사람들은 장애인에 대해 차별적인 자세와 거리가 멀고 함께 할 사람들이 라는 인식을 주는 사람들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우리 장애인의 존재를 확실히 인식해 주고 직접 부딪치며, 물론 그 과정에서 어긋남과 교정 작업이 있겠지만, 마지막으로는 함께하는 방법을 찾아 모든 장애인 비장애인이 행복하게 힘을 합쳐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금은 코로나19라는 괴물이 온 세상을 덮치는 바람에 제대로 강의를 나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코로나에는 장애인 비장애인, 부자, 가난한 자의 차별이 없습니다. 모두 건강하게 다시 강의 하는 세상을 그려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0년 여름 123호 -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 김탄진 장애인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싶다 장애인 인권 강의 후기   김탄진 저는 실생활에서의 경험과 복지학과에서 배운 이론을 배합하여 수강생에게 감동적인 장애인 평... file
659 2020년 여름 123호 -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 조호연 제가 하는 일을 소개합니다    조호연 커피와 뜨개질을 좋아하는 노들야학 학생이고 한정자 권익옹호활동가         1. 지금 근무하는 곳의 이름은? 제가 근무하... file
658 2020년 여름 123호 - 대형 타이벡 제작기 / 노란들판 작업팀 대형 타이벡 제작기   노란들판 작업팀       ‘타이벡(Tyvek)’은 세계적인 화학 기업 듀폰(Dupont)사가 개발한 기능성 소재로, 플라스틱으로 100% 재활용할 수 있... file
657 2020년 여름 123호 - 수어 모임_햇수다 / 제갈진숙 수어 모임_햇수다 햇수다(초보 손 말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 ~햇수다. 방언 이중적인 의미)    제갈진숙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막내에서 갓 탈출한(??) 응급안전... file
656 2020년 여름 123호 -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 박정숙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박정숙 노들장애인야학 한소리반 학생. 노들 활동지원사교육기관 담당자로 일하고 있다.             4월에 열려야했던 장애인인권영... file
655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 정민구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 시작한 민구 이야기   정민구 꼬부랑 할아버지가 돼도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싶은 밍...
654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 다독다독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도서위원회 ‘다독다독’      노란들판에는 도서위원회가 있습니다. 이름은 ‘다...
653 2020년 여름 123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마스크가 금보다 귀한 시절. 노들은 괜찮은지 걱정을 한 아름 안고, 마스크를 선물해준 분들이 있습니다.... file
652 2020년 여름 123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강복현 강성윤...
651 2020년 봄 12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점심시간이면, 4층 들다방으로 건물 사람들이 찾아와 밥을 함께 먹습니다. 2층의 야학 학생들, 5층 사단법인 노란들판, 전국장...
650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 김필순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김필순 | 코로나로 많은 일정이 사라졌지만 입안 바이러스 혓바늘과 전쟁 중       1월이 끝나고 2월이 ...
649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 김상희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김상희 | 노들센터 4년차, 버티는 삶에 대한 실험 중.       코로나19가 뭐길래     요즘 아침에 일어나면 확인하는 일이 생겼...
648 2020년 봄 122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
647 2020년 봄 122호 -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 가을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가을 | 초가을 저녁, 흔들리는 종소리에 가을이 왔구나하며 ‘가을’이라 지었습... file
646 2020년 봄 122호 -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 김도현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김도현 |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고, 노들장애인야학 부설 기관인 노... file
645 2020년 봄 122호 -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 박정수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는 야학 교사. 최근 안양으로 이사...
644 2020년 봄 122호 -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 천성호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천성호 |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 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
643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 조창길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조창길     저는 1972년 3월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6살 때까지 걷지도 말하지도 못하고 지내왔습니다. 부모...
642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 최바름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최바름        작년 금요일 낮마다의 체험 수업이 생각납니다. 매번 새로운 짝꿍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
641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 유성환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유성환     안녕하세요 2019년 6월에 노란들판에 입사하게 된 유성환입니다. 저는 우연한 기회에 노란들판을 알게 되어 노들 ...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