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노들바람 제98호 가을호
2013년 10월 노들바람 제98호 가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노들은 2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 준비로 요즘 무척 바쁩니다. 야학은 10월 중순에 1주 동안 열
릴 행사 준비로 수업은 잠시 접어두고 매일같이 연극, 노래, 춤 같은 걸 연마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쩌자고 한 주 내내 기념행사를 열자고 계획을 짰던 걸까요?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주간행사가 열린다는 소식, 들으셨을 겁니다. 노들음악대의 음악회, 영상제, 동네 노래자랑 대
회, 곧 나올 노들책의 북콘서트 그리고 토요일 낮밤 종일 열릴 ‘노란들판의 꿈’. 혜화역과 책방
이음에서 열리는 사진전도 있습니다.
합창과 춤 연습 중에도 투쟁의 일상은 계속 굴러갑니다.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를 요구하
며 광화문역 안에서 진행하는 농성은 1년이 훌쩍 지나 400일이 넘었습니다. 얼마 전에는 야학
학생 두 분이 부모에게 소득의 변동이 생겼다는 이유로 수급자격 변동 통고를 받았습니다. 한
분은 수급비가 28만원이나 줄어들 것이라는 통고를, 한 분은 아예 수급자격에서 탈락할 수 있
다는 통고를요. 농성장을 지키고, 구청에 찾아가 항의하고, 돌아와 수업하고, 이제는 춤을 연습
하고… 일상과 투쟁, 교육과 현장이 뒤섞여 웃다가 울다가 지지고 볶는…
그렇게 굴러온 20년의 시간.
노들야학은, 밤에 열리는 우리의 이 학교는 언제까지 계속 될까요? 노들야학의 태동기에 노들
에서 뜨거운 한 시절을 보낸 김혜옥 선생님은 “노들야학은 언젠가 없어져야만 한다”고 말합니다.
“제도권이건 제도 밖이건 장애인도 똑 같이 교육을 받는 세상이 반드시 와야 하므로.” 반면 노들
과 인문학 공부를 하면서 친구가 된 수유너머R 고병권 선생님은 노들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말합
니다. “노들이 밤을 포기하지 않기를 바랍니다.”라고요. 노들이 지켜온 현장도, ‘교육=운동’의 등
식도 그리고 “노들이 권력이 부추기는 모든 ‘포기’에 맞서기를 바랍니다.”라고 20주년 축사를 보
냈습니다. 이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루쉰은 “밤만이 진실하다” 라고 말하더군요. 저는 루쉰의 글 역시 노들 현장인문학을 통해 처음
접했는데요. 아리송하지만 이 말 참 좋아합니다. “밤을 사랑하는 사람은 밤눈과 밤귀가 밝아야
한다. 어둠 속에서 어둠의 모든 것을 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노들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가 함께 보내는 이 밤의 시간은 무엇일까요?
노들바람 제98호 보기 ▷▶ 노들바람 98호.pdf
- 이야기 구성 -
02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야학 스무 해 톺아보기 프로젝트]
03 내 푸른 청춘의 골짜기
10 노들과의 인연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14 농성 1주년, 못 먹어도 고다!
20 [장판 핫이슈]2013년 이동권투쟁 보고서_성신여대입구역 편
24 혼자 싸워나간다고 생각하지 않게
26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30 [성북구 개척시대] ‘사람’의 조건
[노들 20주년 기념 명사 특강]
34 박준의 <노래이야기>
38 도법스님의 <삶의 이야기>
42 김조광수의 <소수자라서 행복해요>
46 유시민의 <공부하며 사는 삶>
50 고병권의 <노들야학 스무살과 장애인운동>
54 J의 나쁜 행복을 말하다
58 [노들아 안녕] 이성숙 님
59 [노들아 안녕] 김현정 님
60 [교단일기] 수업의 중압감이 내게 질문한다
62 [현수막으로 바라보는 세상] 새끼 나비를 구하다
64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활짝? 화~알짝 ^―^
67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최재영 님
70 배ㅇㅇ(갓 신임교사 딱지를 뗀 상근자) 인터뷰
76 [문예판은 지금] 6, 7, 8월 소식
78 [형님 한 말씀] 별꼴이여 안녕
79 5교시 뒤풀이. 우리를 키운 건 팔 할이 술이었다.
84 매실이 익어가는 계절 우리는 당신을 기억합니다
90 [노들책꽂이] 결합된 신체의 무궁무진한 ‘활보활보’
93 [동네 한 바퀴] 알바연대 구교현 님을 만나다
105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조한나 + 어머니
109 추천 사유
111 고마운 후원인들
- [노들야학 스무 해 톺아보기 프로젝트]내 푸른 청춘의 골짜기,
- 노들과의 인연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 농성 1주년 못 먹어도 고다!,
- [장판 핫이슈]2013년 이동권투쟁 보고서_성신여대입구역 편,
- 혼자 싸워나간다고 생각하지 않게,
-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 [성북구 개척시대] ‘사람’의 조건,
- [노들 20주년 기념 명사 특강]박준의 <노래이야기>,
- 도법스님의 <삶의 이야기>,
- 김조광수의 <소수자라서 행복해요>,
- 유시민의 <공부하며 사는 삶>,
- 고병권의 <노들야학 스무살과 장애인운동>,
- J의 나쁜 행복을 말하다,
- [노들아 안녕]이성숙님,
- [노들아 안녕]김현정님,
- [교단일기]수업의 중압감이 내게 질문한다,
- [현수막으로 바라보는 세상]새끼 나비를 구하다,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활짝? 화~알짝 ^―^,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최재영님,
- 배ㅇㅇ(갓 신임교사 딱지를 뗀 상근자)인터뷰,
- [문예판은 지금]6 7 8월 소식,
- [형님 한 말씀]별꼴이여 안녕,
- 5교시 뒤풀이 우리를 키운 건 팔 할이 술이었다,
- 매실이 익어가는 계절 우리는 당신을 기억합니다,
- [노들책꽂이] 결합된 신체의 무궁무진한 ‘활보활보’,
- [동네 한 바퀴]알바연대 구교현님을 만나다,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조한나 + 어머니,
- 추천 사유,
- 고마운 후원인들,
-
2014년 1월 노들바람 제100호
노들장애인야학 스무해 이야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합시다 이것은 노들야학 사람들이 지난 20년 동안 한 번도 멈춘 적이 없는, 그래서 실패한 적이 없는 기우제에 관한 이야기다. 노들야학의 배움, 투쟁, 그리고 삶 그 모든 것들을 하루하루 일구어 나가는 ...Reply0 Views375 -
2013년 12월 노들바람 제99호 겨울호
2013년 12월 노들바람 제99호, 겨울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노들 20주년, 노들야학의 스무 번째 한 해. 조금은 특별한 이 한 해를 붙들고 무엇을 할 것인가 골몰하며 2013년을 보냈습니다. 2013년 초 아니 그 전부터 이미 예상했던 정신없고 바쁜 시간이었습니...Reply0 Views1554 -
2013년 10월 노들바람 제98호 가을호
2013년 10월 노들바람 제98호 가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노들은 2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 준비로 요즘 무척 바쁩니다. 야학은 10월 중순에 1주 동안 열 릴 행사 준비로 수업은 잠시 접어두고 매일같이 연극, 노래, 춤 같은 걸 연마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쩌...Reply0 Views1318 -
2013년 6월 노들바람 제97호 여름호
2013년 6월 노들바람 제97호 여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새벽 세 시, 대문을 열고 계단을 올라 집 현관문을 향해 간다. 덜덜덜 드드드드드. 열린 창틈으로 냉장고 울음소리 가 들린다. ‘왜 이제 왔어? 응?’ 현관문을 여니 기타가 서 서 나를 지켜본다. ‘며칠...Reply0 Views1304 -
2013년 3월 노들바람 제96호 봄호
2013년 3월 노들바람 제96호 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쓰러지고 깨지는 것들 속에 서있는 수밖에 없다. 어차피 괴롭고 슬픈 사람들, 쓰러지고 짓밟히는 것들의 동무일진대, 신경림 시인이 이르듯 이것이 그다지 억울할 것은 없다.” <부싯돌> 1호, ‘교사의 글...Reply0 Views1422 -
2012년 12월 노들바람 제95호 겨울호
2012년 12월 노들바람 제95호 겨울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2012년 12월 19일 대통령 선거와 서울시교육감 재선거를 치렀습니다. ‘화’를 못 누르고 술을 한 사흘 정도 퍼 마셨습니다. 눈 뜨면 아침, 눈 뜨면 대낮, 세상은 그 대로 굴러가고 내 몸만 바뀌더군요....Reply0 Views1241 -
2012년 11월 노들바람 제94호 늦은 가을호
2012년 11월 노들바람 제94호 늦은 가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머릿속이 텅 비었다. 한동안 이 책을 빨리 만들어내야 한다는 생각 말고는 끈질 기게 이어지는 생각이라는 것이 없었다. 할 수 없었다. 사람이 죽었다. 얼마 전 농성장에서도 마주친 사람이 죽었...Reply0 Views1185 -
2012년 8월 노들바람 제93호 여름호
2012년 8월 노들바람 제93호 여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①... <노들바람>이 점점 두꺼워지고 있습니다. 계절에 한 번 낸다는 이유로 몸집을 불려가고 있습니다. 제법 계간지 같은 모습이 되어 가는데, 단체 소식지치곤 과한 모습이지요. 우리의 <노들바람>은 ...Reply0 Views1355 -
2012년 4월 노들바람 제92호 봄호
2012년 4월 노들바람 제92호 봄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밀려나고 있는 것 같은데, 밀려와 보니 출렁이는 한가운데. 나의 손바닥 친구들은 이 봄밤에도 출렁이고 있네요. 그러니까, 말이죠. 욕심이 과한 건가 하는 생각이 자꾸 들어요. 이번 호에 실린 사랑이 ...Reply0 Views1423 -
2011년 12월 노들바람 제91호 겨울호
2011년 12월 노들바람 제91호 겨울호 [노들바람을 여는창] 할 말이 너무 많아 감히 말할 수 없는 밤. 껌뻑 껌뻑 커서처럼 껌뻑이는 밤. 노들에서 보낸 벅찬 시간들, 고마운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 책상에 앉아 고개를 살짝 들면 바로 보이는 곳에 <노들바람...Reply0 Views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