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성미산 학교 사이다 선생님

 

 

 

 

 

 

최경미_오그대는아름다운후원인.jpg

코로나19로 학교가 조용해지고, 야학은 무엇을 해나가는 것이 좋을까 고민하던 지난 봄, 성미산학교 최경미 선생님과 학생들이 마스크 손 소독제, 비타민을 싸들고 노들에 찾아왔습니다. 그리고 한두 달 지난 어느 날 선생님과 학생들은 다시 노들을 찾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성미산마을 사람들이 손수 만든 천 마스크를 전하고, 노들의 안부를 물었습니다. 그 뒤로도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마스크라는 선물을 가지고 노들의 안부를 물으러 왔습니다. 재난의 시기에 노들의 안부를 묻는 그 마음이 고마웠습니다. 이 선물들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궁금해져 최경미 선생님께 몇 가지 질문을 보냈습니다_편집자

 

 

 

 

*안녕하세요<노들바람>독자들에게 본인 소개 부탁해요.

최경미라고 해요. 사이다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어요. 현재 마포구에 있는 대안학교인 성미산 학교에서 고등학교 과정 담임을 하고 있어요. 재난과 위험 새회에서 생존투쟁을 하지 않고 10대들과 공생의 감각을 가지고  의연하게 살아가는 법에  대해 암중모색 하고 있어요. 

 

 

 

 

 

*노들을 어떻게 알게 됐는지 궁금해요.

지금에 와서 돌이켜보니 다른 학교로 이직을 할 때매다 노들야학이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탈학교를 생각하고 삶과 교육이 어떻게 만날것인가에 대해 고민할 때마다 노들야학 곁을 맴돌았던 것 같아요. 첫 서성임은 하자작업장학교로 자리를 옮기기 전인 2008년 정립회관 퇴거 이후 마로니에 공원에서 천막수업 할 때 였어요. 장애-비장애인들이 좋은 삶을 만들기 위해 노숙을 하면서 투사로 변화하는 공부를 하고 있는 상황이 많은 질문을 하게 만들었어요. 인간 실존에 대한 질문과 어떤 권기가 아닌 존엄한 존재로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아요. 이후 하자작업장학교 학생들이 중중장애인 김만리가 창단한 극단 타이헨 연극<황웅도 잠복기>에 구로코 역할을 하게 되었고 새롭게 이직한 성미산학교에서는 장애-비장애통합교육을 시현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빌 언덕이 필요했어요. 그러다 2014년 노들의 20년사를 정리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합시다>라는 책을 통해 구체적으로 노들의 일상을 알게 되었던 것 같아요. 저에게 노들야학은 더불어 사는 지혜로운 사회를 상상하는 데 '사상의 고향' 같은 역학을 했다고 해야 할까요?

 

 

 

 

 

*최근에 노들야학에 마스크를 여러 차례 보내주셨는데요. 마스크를 선물한 계기가 궁금해요.

작년에 성미산 학교를 그만두고 올 해 다시 돌아왔을 때 코로나 19로 인해 홈스쿨이 당연시되었어요. 그동안 탈학교 이야기를 해왔는데 바이러스로 인해 이렇게 쉽게 학교 시스템이 멈추게 되다니 적잖이 당황스러웠어요. 그 가운데 대안학교의 역할은 무엇이며 앞으로 우리의 삶은 어떠해야 할까 고민이 많았어요. 대부분의 학생들은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불안보다는 방학이 길어져 여유로운 삶이 가능해졌다고 느긋하게 방살이를 즐기고 있더라고요. 사회적 거리를 기꺼이 지키며 외부와 차단된 채 안일하게? 지내는 학생들의 모습 위로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먼저 희상당한 시설에 수용된 사람들의 최악의 상황이 교차하면서 10대들의 사회적 역할이라고 해야할까요? 위험하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을 잊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제일 먼저 학교가 문을 닫고 공공기관이 위축되어 운영하는 상황에서 10대들의 존재감은 사회에서 희미해져버렸거든요. 입시를 위한 존재이거나 보호의 대상으로 돌봄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되어 버렸지요. 그래서 뜻이 있는 학생들과 마음을 보태어 지금여기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한 것뿐이에요. 그것이 여전히 학교가 유효하다면 앞으로 함께 배워야 할 상호부조와 연대의 삶이니까요. 

 

 

 

 

 

*얼마 전 개교기념제 때 '사부작'분들과 함께 와주셨고, 다른 노들 행사 때도 자주 뵌 듯해요. 어쩌다 이렇게 됐죠?ㅎㅎ

작년 한 해 동안 노들장애학궁리소에서 기획한 <호모사피엔스를 묻다>라는 세미나에 참여했는데 자주 만나게 만든 사건인 듯해요. 서로 이름과 얼굴을 아는 사이가 되니 찾아가게 되고 안부를 묻게 되고 그러다보니 일이 있으면 가야하는 의리가 만들어진 듯해요. 그리고 지난 몇 년 사이 사회 운동이 시들어가고 있는데 비해 노들은 여전히 운동의 거점이니까요. 성미산학교도, 발달장애청년허브 사부작도 노들이 꿈꾸는 세상을 함께 꿈꾸고 있기 때문이지요.ㅋㅋㅋ

 

 

 

 

 

*노들에 바라는 것, 노들과 함꼐 해보고 싶은 것이 있으면 얘기해주세요

노들은 고향 같은 곳이니 오래 부빌 언덕으로 존재해주면 좋지요. 활동가들도 건강하게 함께 해주면 좋겠고요. 그리고 노들도 그러하겠지만 성미산학교나 마을에서도 다양한 정체성을 살아가는 존재들과 어떻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지 기존의 삶의 질서와는 다른 가능성을 만들어야 할 숙제가 있어요. 우선 서로 얼굴을 보고 둥글게 마주 앉아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각자의 이야기 자리에 초대하면서 서로 안부르 묻는 것부터 해보면 어떨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84 2020년 가을 124호 -[노들책꽂이] 푸코도 흡족해 할 푸코에 관한 책 / 김도현         [ 노들책꽂이 ] 푸코도 흡족해 할 푸코에 관한 책 박정수, 《‘장판’에서 푸코 읽기》, 오월의봄, 2020         김도현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file
683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국회 안에서 발맞추고 싶어요 / 조현수               [ 노들은 사랑을 싣고 ] 국회 안에서 발맞추고 싶어요             조현수 등산과 달리기를 좋아하지만 거의 못 하고 있어서 아쉽고. 그 덕에 지방... file
» 2020년 가을 124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성미산학교 사이다 선생님* 최경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성미산 학교 사이다 선생님             코로나19로 학교가 조용해지고, 야학은 무엇을 해나가는 것이 좋을까 고민하던... file
681 2020년 가을 124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09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병완 강복현 강   섬 강성윤 강수혜...
680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야학은 코로나 때문에 휴교를 연장하다 수업시수를 대폭 줄여 임시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줄었으니 할 일이 조금은 줄...
679 2020년 여름 123호 -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 김진수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 칩시다   김진수 요즘 가장 좋아하는 건 걷고 또 걷기       5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은 1층 주차장에 노란 천... file
678 2020년 여름 123호 - 코로나19, 한 명도 남겨두지 않는다 / 천성호 코로나19, 한 명도 남겨두지 않는다    천성호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함께 가고... file
677 2020년 여름 123호 - [장판 핫이슈]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 위기 속 대구지역 장애인의 고군분투 / 전근배 [장판 핫이슈]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 위기 속 대구지역 장애인의 고군분투    전근배 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애학과 박... file
676 2020년 여름 123호 - [형님 한 말씀] <코로나 19> / 김명학   file
675 2020년 여름 123호 - 투쟁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 송은영 투쟁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송은영 좋아하는 사람들을 지킬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활동가가 되기로 결심한 사람! 현재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기획실에... file
674 2020년 여름 123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동물 앞에서 발가벗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동물 앞에서 발가벗다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
673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지원주택 여섯 달, 노들야학 두 달~ / 이인혜, 임소라 [노들아 안녕] 지원주택 여섯 달, 노들야학 두 달~   이인혜, 임소라         글을 쓴 사람은 인혜 씨의 조력자 임소라(프리웰지원주 택센터 오류권역)입니다.   ... file
672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함께 소통하고 함께 공감하고 함께 연대할 때 / 장주연 [노들아 안녕] 함께 소통하고 함께 공감하고 함께 연대할 때   장주연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에서 동료상담가로 일하고 있는 장주연입니다. 대학시절 “... file
671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아 안녕]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 이신애 [노들아 안녕]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신애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비스지원 팀에서 활동지원사업 코디네이터를 담당하고 있는 ... file
670 2020년 여름 123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자신만의 한 걸음을 걷는 사람들 / 홍석현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자신만의 한 걸음을 걷는 사람들   홍석현       개인적인 사정으로 직장을 그만두고 서울로 올라왔을 때 우연한 계기로 ‘활동지원... file
669 2020년 여름 123호 - [욱하는 女자] 지팡이 들고 다니는 중장년층 할아버지야!!!!!! / 박세영 [욱하는 女자] 지팡이 들고 다니는 중장년층 할아버지야!!!!!!   박세영 센터판 활동가 세0. 나름 조용조용하게 살라고 온갖 꺼리를 찾고있는... 정신없는... 욱... file
668 2020년 여름 123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성북구 편의시설 모니터링 후일담 / 센터판 [대학로야 같이 놀자] 성북구 편의시설 모니터링 후일담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센터판에서 함께한지 벌써 1년, 편의시설 담당한 지도 1년째에 접... file
667 2020년 여름 123호 -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코로나19 장애인활동지원 특별지원급여 (혼란) / 조석환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코로나19 장애인활동지원 특별지원급여 (혼란)    조석환 센터판에서 활동지원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쪼인성(보다는 소세지로 이름을 알린... file
666 2020년 여름 123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종로구, 함께 살자! / 김수정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종로구, 함께 살자! 종로구 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활동 이야기    김수정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종로지회장      전국장애인... file
665 2020년 여름 123호 - 가족이 ‘장애인의 탈시설’을 반대하는 이유 / 김필순 가족이 ‘장애인의 탈시설’을 반대하는 이유    김필순 루디아의집 특별조사단이지만 아직도 거주인들을 만나지 못함. 잘 싸워서 민.관이 함께 시설폐쇄하는 과정...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