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 칩시다

 

김진수

요즘 가장 좋아하는 건 걷고 또 걷기

 

김진수_1.jpg

 

  5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은 1층 주차장에 노란 천막을 쳤다. 샛노란 천막은 그 자태만으로도 눈이 부셨는데, 봄 하늘이 주는 햇볕을 가득 머금어서 그런 듯했다. 어두웠던 주차장을 환히 밝히는 천막엔 어디서 알았는지 벌이며 나방이며 여러 벌레들이 날아들었다. 그때, 벌레를 본 한 선생님이 어릴 적 이야기를 꺼냈다. ‘내가 어릴 때 노란색 옷을 입고 개울가를 건넌 적이 있는데, 벌레들이 나한테 다 오더라구요. 벌레들은 노란색을 좋 아해요. 노란 천막을 보고 동네 벌레들이 많이 올 거에요.’ 그 많은 벌레들이 좋아하는 색이 노란색이라면 노란색은 세상에서 가장 많은 생물이 좋아하는 색일까? 라는 생각을 했다. 코로나로 인해 수업은 일주일에 두 번 임시수업 형태로 짧게 진행됐고, 오후 3시가 되면 학생들은 모이기 시작했다. 차량이 자주 오고 가는 주차장이라, 교사 두 명이 조를 짜 안전 지킴이를 했다. 안전 지킴이의 일이란 노란 조끼를 입고 차량이 들어오거 나 나갈 때마다 형광봉을 위아래로 흔들어 알리고, 학생들이 천막에 진입할 때까지 주위를 살피며 안내하는 것이다. 수업은 5시부터 6시반까지 네 동의 천막에 두 반을 나눠 진행했다. 방음이 안 되는 상황이라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래도 천막 야학이 끝날 때까지 수업은 별 탈 없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급식 은 배식 대신 들다방 도시락으로 대체했는데, 천막에서 함께 먹는 도시락은 사람들에게 색다른 기분을 느끼게 했다.

 

  비가 많이 내렸던 날이 있었다. 교사, 학생, 활동지 원인이 모두 모여 넉가래와 빗자루를 들고 주차장에 고여 있는 물을 쓸어내렸다. 그치지 않는 비에, 비를 쓸고 쓸어도 물은 차고 또 찼다. 비는 수업이 끝나고 한참이 지나서야 잦아들었고, 비가 잦아들자, 사람들은 천막이 비에 기울지 않도록,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천막 구석구석을 살피고 집으로 갔다. 집에 가는 길에 본 천막은 낮에 머금은 햇볕을 모두 토해낸 채 우두커니 서 있었다.

 

  노들야학이 주차장에 천막을 치게 된 건 5월부터 시작하는 엘리베이터 공사 때문이었다. 작년에 계획했 던 공사가 시공사의 일정으로 올해로 미뤄졌고, 갑자기 코로나가 터지면서 야학의 수업이 임시수업으로 진행 되는 틈을 타, 미뤘던 공사를 5월에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주차장에 천막을 치자는 제안은 누구나 예상하듯, 예상하지 못한 답으로 문제를 타개하는 교장샘이 했다. ‘코로나로 인해 공간을 대여하기도 어렵고 우리 가 임시수업이라도 진행하려면 천막을 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는 말로 모두를 설득했다. 그렇게 결정된 천막 치는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대여하는 돈이나 사는 돈이나 거기서 거기여서 천막은 사기로 했다. 기존의 파랑 천막 대신 노란 천막을 사자는 제안으로 노란 천막을 주문했고 주차장 한 면을 다 채우기 위해 다섯 동을 치기로 했다. 그런 과정을 거처 5월 초 노들의 주차장엔 노란 천막이 들어서게 된 것이다.

 

  노들에게 천막을 친다는 것은 익숙한 일이다. 2008년 초 겨울 노들은 마로니에 공원에 천막을 치고 천막 야학을 했는데, 그 때의 천막 야학이 밑불이 되고 불씨가 되어 지금의 번듯한 공간을 얻을 수 있었다. 그렇기에 노들에게 천막은 수업을 지속하기 위한 공간으 로써의 의미뿐만 아니라 밑불, 불씨 같은 희망의 의미 일지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엘리베이터가 고장 나든 유리빌딩이 허물어지든, 어떤 ‘그럼에도’의 상황이 오더라도 불구(얽매여 구애되지 않는)하자는 의미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2020년 5월 노들의 천막야학은 2008년 노들 천막야학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언제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을 치자는 의미에서 말이다.

 

 

김진수_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96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장판’의 역동성에 매력을 느꼈어요 / 유금문         [노들아 안녕] ‘장판’의 역동성에 매력을 느꼈어요      유금문                                                                                    ... file
695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 다시한번 노들아 안녕 / 안연주       [노들아 안녕] 다시한번 노들아 안녕                                                                         안연주                 공장에서 일하는... file
694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 돌아왔습니다 / 박준호            [노들아 안녕]   노들에 돌아왔습니다                                                           박준호            노들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4... file
693 2020년 가을 124호 - 상처 주고받으며 배움 쌓는 인권교육 / 허신행                     상처 주고받으며 배움 쌓는 인권교육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장애인근로지원사업, 복지일자리사업을 맡고 있습니다....
692 2020년 가을 124호 - [욱하는 女자] 그렇게 해서 다 $#$%##$ 있다면 진짜...어후!!!!! / 박세영       [욱하는 女자] 그렇게 해서 다 $#$%## 있다면 진짜...어후!!!!!!!!!!!!!!!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 file
691 2020년 가을 124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지금은 예쁜 집에서 혼자 살아요 / 김수지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지금은 예쁜 집에서 혼자 살아요           김수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자립생활주택에서 4년을 살았습 니다. ...
690 2020년 가을 124호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두 번째 만남 / 박선봉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두 번째 만남             박선봉 석관동 센터판 자립생활주택 다형 활동지원사                      큰 부담을 안고 첫 ... file
689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장애인야학 27년째 역사를 맞다 / 천성호                 노들장애인야학 27년째 역사를 맞다 개교기념식 행사 풍경             글  천성호 야학에서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함께 하고, 가난한... file
688 2020년 가을 124호 - [교단일기] 결과보다 깎는 과정, 우드카빙 수업 / 최진학           [ 교단일기 ] 결과보다 깎는 과정, 우드카빙 수업 특활수업 목공반 3학기째인 최진학 선생님             이야기 질문과 정리: 정종헌               I... file
687 2020년 가을 124호 - 세상 끝까지 학사모를 던지자! / 김진수       세상 끝까지 학사모를 던지자! 노들야학 낮수업 졸업식               김진수 제 소개는 김종삼 시인의 ‘걷자’라는 시로 대신합니다. ‘걷자 방대한 공해 속... file
686 2020년 가을 124호 - 제5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하다!!! / 박세영         제5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하다!!!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고 ... file
685 2020년 가을 124호 - [동네한바퀴] 성숨통을 틔우는 해방운동, DxE / 은영         [동네 한 바퀴] 숨통을 틔우는 해방운동, DxE 동물권 직접행동 DxE 은영 님 인터뷰      대형마트 식육코너 앞에서 ‘음식이 아니라 폭력이 다’라는 구호... file
684 2020년 가을 124호 -[노들책꽂이] 푸코도 흡족해 할 푸코에 관한 책 / 김도현         [ 노들책꽂이 ] 푸코도 흡족해 할 푸코에 관한 책 박정수, 《‘장판’에서 푸코 읽기》, 오월의봄, 2020         김도현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file
683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국회 안에서 발맞추고 싶어요 / 조현수               [ 노들은 사랑을 싣고 ] 국회 안에서 발맞추고 싶어요             조현수 등산과 달리기를 좋아하지만 거의 못 하고 있어서 아쉽고. 그 덕에 지방... file
682 2020년 가을 124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성미산학교 사이다 선생님* 최경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성미산 학교 사이다 선생님             코로나19로 학교가 조용해지고, 야학은 무엇을 해나가는 것이 좋을까 고민하던... file
681 2020년 가을 124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09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병완 강복현 강   섬 강성윤 강수혜...
680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야학은 코로나 때문에 휴교를 연장하다 수업시수를 대폭 줄여 임시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수업이 줄었으니 할 일이 조금은 줄...
» 2020년 여름 123호 -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 김진수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 칩시다   김진수 요즘 가장 좋아하는 건 걷고 또 걷기       5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은 1층 주차장에 노란 천... file
678 2020년 여름 123호 - 코로나19, 한 명도 남겨두지 않는다 / 천성호 코로나19, 한 명도 남겨두지 않는다    천성호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함께 가고... file
677 2020년 여름 123호 - [장판 핫이슈]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 위기 속 대구지역 장애인의 고군분투 / 전근배 [장판 핫이슈]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 위기 속 대구지역 장애인의 고군분투    전근배 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애학과 박...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