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평등을 격하게 경험하고 싶다면 노들야학으로

by 노들야학 영 선

야학은 통상적으로 ‘밤에 공부하는 학교(夜學)’를 뜻한다. 노들야학의 야학은 밤에 공부하는 학교라는 의미도 있지만 ‘들 위의 학교(野學)’를 뜻하기도 한다. 즉 벌판에서 모두가 평등하게 공부를 한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나에게 야학은 후자의 의미가 상당히 강했다.

나의 대학교 생활은 전공이 ‘노래패’이고 부전공이 ‘사회복지’라고 할 만큼(사실 대학을 졸업하고 나니 가지고 있는 전공 책은 딱 2권이었다. 그것도 새것으로 모셔져 있던.) 소위 말하는 운동권 노래패가 전부인 생활이었다. 그렇게 정신없이 학교를 다니다 3학년이 되니, 우리가 항상 평등을 외치지만 학교생활 내에서는 오히려 권위주의적이고 전체주의적인 면이 많다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선후배 간의 위계, 토론은 거의 없는 노동운동에 대한 일방적인 학습 등. 이것이 내가 지닌 반항적인 기질 탓이건 실제로 그런 상황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건, 어쨌든 약간의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노들장애인야학이라는 단체를 발견했다. 그것도 민주노총 홈페이지에서. 뭔가 ‘필’을 강하게 받은 나는 아무런 망설임 없이 노들야학 교사 지원을 했다.

그렇게 당시에는 구의동 정립회관에 자리를 잡고 있던 야학에 다니기 시작했는데, 노들야학은 모두가 ‘평등하다’는 개념을 내가 예상했던 바대로, 아니 그보다 훨씬 더 격렬하게 실천하고 있었다. 정말 가당치도 않은 내용이라 할지라도 나이·성별·장애 등 모든 것을 떠나서 누구나 평등하게 얘기하고 경청하고, 반박과 비판이 이어졌다. 마치 헤겔의 변증법처럼 반박과 반박에 의한 최고의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조금은 비합리적으로 보일만큼.

사실 이러한 과정은 업무나 활동에서 비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어떤 결론을 도출해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합의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이 들었던 것은 나의 잘못된 타성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민주주의 원리인 소수의 의견과 다양성을 온전히 인정하지 않아왔던 타성. 그리고 어쩌면 그러한 타성은 내가 제도권 교육을 통하여 오랫동안 몸으로 익혀왔던 것인지도 모른다. 노들야학은 나에게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인 평등이라는 개념을 알게 해주었다.

군대를 가게 되면서 야학 활동은 자연스럽게 중단되었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나도 점점 세상과 어느 정도 타협도 하고 합리성도 따지면서 좀 더 둥글게 살게 되었다. 늘어난 몸무게와 뱃살만큼이나. 그러다 문득 이렇게만 살아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10여 년 만에 다시 야학을 찾게 되었다. 교사는 물론 학생도 대부분 모르는 얼굴들이었고, 야학의 운영 시스템도 많이 바뀌었다. 특히 지자체로부터 일정한 지원금을 확보하면서 ‘휠체어를 밀고 아차산을 오르지 않아도 되는’ 환경과 공공성을 쟁취했다는 것이 고무적이었다. 그러나 더욱 인상에 남는 것은 정말 오랜만에 참여했던 교사회의 시간에 예전과 똑같은 소통 시스템이 작동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아마도 이런 활동이 있었기에 노들야학이 굳건히 버텨온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렇지만 또한 바뀌지 않은 것은 10여 년 전이나 지금이나 세상은 여전히 불평등하다는 것이다. 나는 문화 쪽 일을 하고 있는데, 문화시설들의 장애인 접근권이나 여러 환경들이 예전보다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다. 장애인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관점에서 정책을 만들고 시행한다면 좀 더 많은 평등을 이룰 수 있을 텐데. 하얀 집과 파란 집에서 정책을 만드는 분들, 그리고 우리가 머리로만 배워왔던 평등의 개념을 몸으로 배우며 실천하고 싶은 대중들은 꼭 노들야학에서 활동해 보기를 권하고 싶다.


사진_홍영선.jpg
사진 : 홍영선 선생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16 2015 가을 10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캠핑퍼스트 이동환 동문을 만나다 [노들은 사랑을 싣고] 캠핑퍼스트 이동환 동문을 만나다 김 명 학 | 노들야학에서 상근자 학생으로 활동하는 김명학입니다. 연대사업부와 편집위에도 함께하고 ... file
115 2015 가을 105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5년 8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강경완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유선...
114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by 뉴미 올해 4월 20일 아침 8시 40분 경 동대문 앞 횡단보도. 전동휠체어를 타는 장애인 활동가들이 목에는 사다리를 걸고 온몸엔 쇠사슬을... file
113 2015 봄여름 104호 - 판사님, 난 수업해야 한단 말이에요. 판사님, 난 수업해야 한단 말이에요. ‘사건의 중대함’...빵살이 우여곡절 by 노들야학 승 하 나는 ‘장애해방열사_단’이라는 열사 추모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 file
112 2015 봄여름 104호 - 네팔... 어떡하나... 네팔 네팔... 어떡하나... 네팔 by 최근정 몇 해 전 노들야학에서 뭐든 함께하고 싶다며 찾아온 근정 쌤, 작년에 남편의 고향인 네팔로 가족 모두 이주했는데요. 4월... file
111 2015 봄여름 10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불가능한 코끼리 [고병권의 비마이너] 불가능한 코끼리 by 노들야학 병 권 지난달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 흥미로운 전시를 봤다. 본래는 케테 콜비츠(Käthe Kollwitz) 판화전... file
110 2015 봄여름 104호 - [형님 한 말씀] 최옥란 열사를 추모하며...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이미지 속 텍스트 최옥란 열사를 추모하며... by 노들야학 명학 2015년 4월 10일 벽제 최옥란 열사 묘역에 참배를 했습니... file
109 2015 봄여름 104호 - 83일간의 장례투쟁을 마무리하며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83일간의 장례투쟁을 마무리하며 아직도 시설에서 고통 받으며 죽어가는 수많은 이들을 생각하면서.. 잊지 않겠습니다. b... file
108 2015 봄여름 104호 -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조용한 장애인인권 행진을 하다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조용한 장애인인권 행진을 하다 by 노들야학 경 석 얼마 전에 경북지역에서 장애아이 부모님들과... file
107 2015 봄여름 104호 - 행복을 꿈꿀 시간이 없던 현실, 그로부터 1년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행복을 꿈꿀 시간이 없던 현실, 그로부터 1년 4월 17일, 송국현 동지 1주기를 보내며 by 노들야학 홍 기 작년 세월호 참... file
106 2015 봄여름 104호 - 그렇게,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장은 1000일이 된다.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그렇게,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장은 1000일이 된다. by 노들야학 명 희 언제부터인가 아침 6시에 바로 ... file
105 2015 봄여름 104호 - 아름답지 않다, 아름답다 아름답지 않다, 아름답다 중증장애인들의 학교생활과 야외생활을 담아 2013년에 <노란들판의 꿈> 사진전을 열었다. 지난 전시가 장애인들의 피상적인 기록이었다... file
104 2015 봄여름 104호 - 시장님~! 아니 과장님~? 밥과 교실이 필요해요 노들야학~ 서울시장실 견학하다 by 노들야학 유 미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최유리입니다. 노들야학의 교실 공간 확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글을... file
103 2015 봄여름 104호 - 종로구청장님 바쁘시죠? 그런데 뭐하세요? 종로구청장님 바쁘시죠? 그런데 뭐하세요? 종로구에 중증장애인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한다 by 노들센터 성 근 2015년 4월 14일 우울하게 비가 추적추적 내리면서... file
102 2015 봄여름 104호 - [대학로야 놀자] 시멘트 바르고 싶었던! ^^ 마로니에 공원 시멘트 바르고 싶었던! ^^ 마로니에 공원 휠체어 타는 내겐 작은 턱도 너무 높다 by 노들센터 문 주 사람들이 두 발로 걸을 때 나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한다. 가... file
101 2015 봄여름 104호 - [나쁜 행복을 말하다] 귀신일까? 산 귀신? [나쁜 행복을 말하다] 귀신일까? 산 귀신? by 노들야학 J 오늘은 황당한 일이 있어서 나만 알고 있는 건 무섭고 잼 없어서 얘기해보려고... 난 춤 배우려고 노들... file
» 2015 봄여름 104호 - 평등을 격하게 경험하고 싶다면 노들야학으로 평등을 격하게 경험하고 싶다면 노들야학으로 by 노들야학 영 선 야학은 통상적으로 ‘밤에 공부하는 학교(夜學)’를 뜻한다. 노들야학의 야학은 밤에 공부하는 학... file
99 2015 봄여름 104호 - 떼굴떼굴 굴러라 노들아~ 떼굴떼굴 굴러라 노들아~ 2015년 노들 법인 총회 이야기 by 노들야학 유 미 3월 7일 토요일에 노들 법인 총회를 했습니다. 법인... 총회... 이런 걸 할 때마다 여... file
98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아 안녕] 주훈, 한준, 미진, 수연, 세준, 지윤, 경훈, 재범 [노들아 안녕] 안녕하세요 여러분 노들 신입 활동가, 신입 직원, 신입 교사를 소개합니다. < 노란들판 > 송주훈 안녕하세요~ 조금은 바람이 차던 2월, 새롭게 노... file
97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아 안녕] 이제는 휴직교사가 된 박준호 [노들아 안녕] 이제는 휴직교사가 된 박준호 2008년 1월 2일 신임교사로 노들야학을 시작해 2015년 2월 28일부로 상근생활을 정리하면서 교사를 퇴임(인지 휴직인...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