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박준호

들다방 4년차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들다방은 대항로 건물 4층에서 밥을 하고 커피와 음료를 파는 곳입니다. 들다방은 사회적 기업입니다. 사회적 기업이란 이윤을 창출하는 목표도 갖지만, 사회에 도움을 주는 활동을 목표로 하는 기업입니다. 들다방이라는 이름에서 ‘들’은 노란들판의 ‘들’인 동시에 복수를 의미하는 ‘들’(multi)이고요, ‘다’(多)는 많음을 의미하고, ‘방’(房)은 공간이라는 뜻이지요. 즉 들다방은 많은 것을 하는 곳입니다.

 

박준호1.jpg

들다방 박준호의 상패 자랑

 

  이번에 들다방이 받은 상은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우수 사회적경제기업 어워드’라는 상입니다.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 기업 역량, 비지니스 모델, 다양성 제고, IT 기술 활용 정도를 평가해서 6개 기업을 선정해 수여하지요. 들다방은 장애인 바리스타와 고령자 조리사분들이 일하시는 곳입니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의 도움으로 직원도 늘어나고 있고, 매년 매출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업 역량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죠. 들다방은 밥과 커피도 팔고 도시락 배달 판매도 하고 아이스크림도 팔고요, 봄·여름에는 옥상 텃밭에서 상추도 키우고, 명절에는 장애인 단체의 재정 사업을 돕는 특판사업을 하고, 장애인 단체의 홈페이지를 만들고 관리하는 일도 합니다. 비지니스 모델이 다양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객들에게도 차별 없는 가게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고, 채식인들을 위해 비건 교육도 진행하고, 보기 쉬운 메뉴판도 만들었습니다. 다양성 제고 관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부분입니다.

 

  이번 어워드에 신청하면서 신청서 작성이 쉽지 않아 많은 부담을 느끼면서도 응모한 것은 들다방이 IT 기술 활용 평가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들다방은 쇼핑몰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는데, 이 쇼핑몰을 이용해서 장애인 운동 기금 마련을 위한 추석 특판도 하고, 여러 장애인 단체의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쇼핑몰 제작에 어려움도 많았지만, 꾸준히 쇼핑몰을 찾아주고 이용해주는 분들이 계셔서 4년째 잘 운영하고 있습니다. 들다방 홈페이지와 쇼핑몰은 2021~2022년 웹와치 접근성 인증을 받았습니다. (애석하지만 재심사할 돈을 아끼기 위해서 현재는 인증 신청을 못 한 상황입니다.) 인터넷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저시력자분들과 장애인들을 위해서 쇼핑몰을 많이 수정하였습니다. 쇼핑몰을 이용해서 작게나마 장애인 운동의 재정 사업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게 기쁜 일이자 저의 노고를 치하할 부분이고, 매일 쇼핑몰이 잘 돌아가는지 살피며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들다방에서는 장애인 단체의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관리하는 일도 하고 있는데요. 들다방이 속해 있는 노들 단위와 여러 야학,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장애인권 단체들이 주요 고객입니다. 홈페이지가 돈을 주고 의뢰하면 만들기는 쉬워도 계속 관리하고 수정 요청을 하기가 어렵고, 새로 만들 때 이전 데이터를 옮기는 것도 쉽지 않은데요, 들다방에서 책임지고 데이터 작업까지 하고 있습니다. 호스팅 비용도 절감하는 방법을 계속 찾고 있고요. 이렇게 홈페이지 제작으로 이윤도 만들고, 노들과 여러 단체의 홈페이지를 보다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사실 사건이 좀 있었지만(!) 조금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보려고 해요.

 

박준호2.jpg

아마존웹서비스 퀸트 사이먼(Quint Simon) 아태·일본 지역 공공정책 책임자(좌)가 들다방 대표 박준호(우)에게 상패를 전달하고 있다.

 

  2023년 10월 16일에 시상식이 있었는데요, 시상식 현장에 가서는 조금 놀랐습니다. 들다방보다 훨씬 큰 규모로 더 적극적으로 IT 기술을 활용해서 새로운 사업을 개척하는 젊은 사업가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산불 예방을 위해 묘목을 심는 빅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시각화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한 회사도 있었고, 민주주의 의제를 모아서 토론하고 청원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회사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오~ 하면서 재미있게 구경했는데, 들다방은 그에 비하면 쇼핑몰과 홈페이지 제작이라 조금 소박해 보이기도 했네요. 그렇지만 들다방에서 진행하는 여러 사업들의 가치가 이번 어워드의 주제인 성평등, 사회적 약자 보호, 다양성 제고라는 관점에 맞닿아 있었기 때문에 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들다방은 많은 일을 다양하게 하는 곳이라서 IT 업무 같은 집중력을 요구하는 일은 정말 힘이 듭니다. 이번 상은 들다방에 주는 것이지만 개인적으로도 기쁨이 참 크으으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064 2023년 겨울 136호 - 들다방 급식이 달라졌어요 / 오하나 들다방 급식이 달라졌어요 노들장애인야학 급식소는 비건식도 해낸다!        오하나 들다방 마감 & 청소 담당. 동물들이 편히 머물다 갈 수 있게, 작당하고 ... file
» 2023년 겨울 136호 -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 박준호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박준호 들다방 4년차           들다방이 상을 받았습니다. 들다방은 대항로 건물 4층에서 밥을 하고 커피와 음료를 파는 곳입... file
1062 2023년 겨울 136호 - 오만 일천 칠백 사십 사 시간 동안 / 조정민 오만 일천 칠백 사십 사 시간 동안        조정은 들다방 6년 지기             안녕하세요, 들다방 근로지원인 조정민입니다. 제가 들다방에서 바리스타분들과 ... file
1061 2023년 겨울 136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장애인권 교육을 위한 인권 공부 / 임미경 동네 한 바퀴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장애인권 교육을 위한 인권 공부        임미경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우리는 우리의 자리에서 인권을 이야기합니다.... file
1060 2023년 겨울 136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시설 멘토와 함께 떠나는 자립여행 / 이윤재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탈시설 멘토와 함께 떠나는 자립여행 인강원 & 노들 자립여행기        이윤재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지난 11월 2... file
1059 2023년 겨울 136호 - 모든 시설이 폐쇄되는 그날까지 / 이수미 모든 시설이 폐쇄되는 그날까지        이수미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         “현수막에 ‘수미가 어둠을 헤치고’라고 쓰여 있네요. 제가 자립을... file
1058 2023년 겨울 136호 - 나는 늘 이리저리 흔들립니다 / 최민경 나는 늘 이리저리 흔들립니다  「내가 점프하는 이유」 공동체 상영회 GV 후기        최민경 다른 곳에서 삐걱대며 춤을 추다가 노들야학에 와서 추고 싶은 춤을... file
1057 2023년 겨울 136호 - 제8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며 / 배재현  제8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며        배재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으로 활동 공간을 옮기고 모든 것을 새롭게 ...
1056 2023년 겨울 136호 - 보치아를 접하면서 / 황인준 보치아를 접하면서        황인준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활동가            내 주변에 중증장애인이면서 보치아 선수로 활동하는 동료가 있는데, 그 동...
1055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PAN의 파워싸커 도전기 / 서기현 노들PAN의 파워싸커 도전기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대한장애인파워싸커협회 회장직도 맡고 있다.             이야기는 노들PAN(Powersoccer’... file
1054 2023년 겨울 136호 - 문턱이 없는 밴드 ‘어깨꿈 밴드’ / 해방 문턱이 없는 밴드 '어깨꿈 밴드'        해방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어깨꿈 밴드에서는 코러스를 맡고 있습니다.           어차피 깨진 꿈 투쟁하며 ... file
1053 2023년 겨울 136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미친식당 노동후기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미친식당 노동후기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file
1052 2023년 겨울 136호 - 수상한 우리의 힘, 2023년 기후정의행진 / 서한영교 수상한 우리의 힘  2023년 기후정의행진      서한영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아슬아슬     첫눈 오던 날. 내리는 눈에 온통 마음을 뺏겨 와아, 감탄하... file
1051 2023년 겨울 136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 비인간 동물도 함께 / 보리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세상! 비인간 동물도 함께 ‘시설을 나온 몸들: 동물×장애 탈시설 토크’ 기획 후기      보리 노들야학에서 생계 노동을 하고 새벽이생추어... file
1050 2023년 겨울 136호 - [노들 책꽂이] 자기를 동물로 여기는 이들과 친구하기 / 박정수 노들 책꽂이 자기를 동물로 여기는 이들과 친구하기        박정수 노들야학 철학반 수업은 잠시 쉬면서, 영화반 메니저로서 학생들과 영상 작업을 하고 있다. 노... file
1049 2023년 겨울 136호 - [동네 한 바퀴] 같이, 또 같이 / 민푸름 동네 한 바퀴 같이, 또 같이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부쩍 추워진 날씨, 콧물을 훌쩍이는 학생들, 콜록콜록 기침하는 활동가들을... file
1048 2023년 겨울 136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 서옥영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서옥영 임지영 활동가 근로지원인           난 주짓수가 좋다. 서른, 운명처럼 마주한 주짓수 도장에 ... file
1047 2023년 겨울 136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정립회관 시절 노들야학의 기록자, 「한국대학신문」 부국장 한명섭 님 인터뷰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정립회관 시절 노들야학의 기록자  「한국대학신문」 부국장 한명섭 님 인터뷰      한혜선 노들장애인야학에서 ‘가늘고 길게’ 버티고... file
1046 2023년 겨울 136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3년 11월 30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은 강미선 강미...
1045 2023년 가을 135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도현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도현 〈노들바람〉 편집인         올해는 노들 단위의 큰언니 내지 맏형이라 할 수 있는 노들장애인야학이 문을 연지 30주년이 되는 ...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