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9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바람을 여는 창
by 뉴미


올해 4월 20일 아침 8시 40분 경 동대문 앞 횡단보도. 전동휠체어를 타는 장애인 활동가들이 목에는 사다리를 걸고 온몸엔 쇠사슬을 두르고 “장애등급제 폐지하라” “부양의무제 폐지하라” 외쳐댔습니다. 갑작스런 시위에 교통경찰은 잔뜩 난감해하며, 저 분들 좀 말려달라고 했습니다. “월요일 아침에 여기서 이러시면 어떻게 합니까. 저기 차들 좀 보세요.” 비가 부슬부슬 오는데도 꿈적도 않고 계속 구호를 외치는, 의지의 활동가들.

저는 이 장면을 본 적이 있습니다. 2009년 4월 20일에도 중증장애인 활동가들은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이 사다리와 쇠사슬을 건 채 구호를 외쳤습니다. 2009년 4월 20일에도 비가 왔고, 차들의 빵빵 소리와 운전기사들의 욕설이 똑같이 퍼부어졌습니다. 억압의 계속, 투쟁의 반복, 산다는 건 이런 것일까 싶더군요.



photo_2015-05-10_21-32-13.jpg

사진 : 2015년 4월 20일 동대문 앞


photo_2015-05-10_21-30-53.jpg

사진 : 2009년 4월 20일 동대문 앞



5월 17일은 서울 광화문역 지하보도에 천막을 치고 장애등급제, 부양의무제 폐지를 요구하는 농성을 한 지 천일이 되는 날입니다. 천일 동안 이 세상은 무엇이 바뀌었을까 의문스러운데, 우리가 맞이한 죽음들은 명확합니다. 광화문농성장엔 고 김주영 활동가를 시작으로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열한 분의 영정이 모셔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렇게 붙잡아매지 못한 죽음이 더 많을 겁니다. 가난한 이들의 죽음은 너무나 조용하기에 드러나지 않을 뿐입니다.

인천 해바라기 장애인거주시설에 살던 지적장애인 이아무개 씨가 지난 1월 끝내 숨을 거뒀습니다. 이 씨는 작년 12월 25일 온몸에 피멍이 든 채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 응급실에 실려 왔습니다. 이 씨가 왜 그렇게 죽어갔는지 모른다고 합니다. 그의 죽음은 여전히 ‘의문사’로 남아있습니다.

저는 이 의문사 역시 익숙합니다. 갇힌 공간에서, 세상에 없는 듯 살아가는 이들이 있습니다. 살아있지만 이미 잊힌 지 오래인 이들의 목숨, 스스로 큰 소리 내 말하지 못하는 이들의 목숨은 잔인하게도, 가벼웠습니다. 세상은 이들의 반복된 죽음에 무뎌졌고, 그렇게 조용해졌습니다. 그리고 그 목숨들은 그만큼 아무렇지 않게 다뤄졌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이 죽음들 앞에서 더 요란해지고 싶습니다. 억울한 죽음을 붙들어 매고, 이유 모르는 죽음에 끈질기게 들러붙어서, 길을 막고, 욕을 먹고, 손가락질 받는 게 차라리 더 낫지 않은가 싶습니다.

“출근길 교통대란을 일으킨 중증장애인에 대한 손가락질의 수와 길이와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질수록 이 사회와 권력의 무책임과 잘못된 방향에 대한 저항이 깊고 폭넓어질 것이다.” - 끈질김의 대명사 박경석 교장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24 2015 가을 105호 - [장판 핫이슈1] 현금지급제와 개인예산제, 아이고 의미 없다  [장판 핫이슈1] 현금지급제와 개인예산제, 아이고 의미 없다 김 도 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자 인터넷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 틈틈이 장애학(Dis... file
123 2015 가을 105호 - [장판 핫이슈2] 개별 급여로 바뀐 기초생활보장제도, 아이고 어려워 [장판 핫이슈2] 개별 급여로 바뀐 기초생활보장제도, 아이고 어려워 더 복잡해졌지만 함께 찬찬히 봅시다~ 정 성 철 | 2013년 사회복지학 공부. 2014년 6월 빈곤... file
122 2015 가을 105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밥도 먹읍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밥도 먹읍시다” 2015 후원주점에 성원해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한 혜 선 | ‘짧은 글짓기’를 이렇게 끙끙대며 오래 쓰는 애는 첨 봤다며 혀를 ... file
121 2015 가을 105호 - [교단일기] 그래 함께 있어 보자!  [교단일기] 그래 함께 있어 보자! 가 나 | 작년 4월부터 노들야학에서 교사활동을 하고 있다. 두 학기 동안 초등과정인 국어3반 수업과 청솔2반 담임을 맡았다.... file
120 2015 가을 105호 - 나도 함께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 나도 함께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 전국장애인운동활동가대회에 다녀와서 조 재 범 |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일합니다. 저의 성격은 내향적인 면과 외향적인 면... file
119 2015 가을 105호 - 2015년 노들야학 모꼬지 ‘강촌별곡’ 사진 : 모꼬지 노래방 시간에 연대 차 온 천정민의 '쿵따리 샤바라'에 맞춰 춤을 추는 사람들. 2015년 노들야학 모꼬지 ‘강촌별곡’ 올해는 신임교사들 이야기를 ... file
118 2015 가을 105호 - [형님 한 말씀]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형님 한 말씀]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상근자 학생으로 활동하는 김명학입니다. 연대사업부와 편집위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고향에 다녀... file
117 2015 가을 105호 - [동네 한 바퀴] 옆 동네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을 소개합니다 [동네 한 바퀴] 옆 동네 장애인배움터 너른마당을 소개합니다 민 아 영 | 노들에서 새로운 경험들을 하며 나름 성장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사람이다. 하고 싶은 ... file
116 2015 가을 10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캠핑퍼스트 이동환 동문을 만나다 [노들은 사랑을 싣고] 캠핑퍼스트 이동환 동문을 만나다 김 명 학 | 노들야학에서 상근자 학생으로 활동하는 김명학입니다. 연대사업부와 편집위에도 함께하고 ... file
115 2015 가을 105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5년 8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강경완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유선...
»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by 뉴미 올해 4월 20일 아침 8시 40분 경 동대문 앞 횡단보도. 전동휠체어를 타는 장애인 활동가들이 목에는 사다리를 걸고 온몸엔 쇠사슬을... file
113 2015 봄여름 104호 - 판사님, 난 수업해야 한단 말이에요. 판사님, 난 수업해야 한단 말이에요. ‘사건의 중대함’...빵살이 우여곡절 by 노들야학 승 하 나는 ‘장애해방열사_단’이라는 열사 추모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다. ... file
112 2015 봄여름 104호 - 네팔... 어떡하나... 네팔 네팔... 어떡하나... 네팔 by 최근정 몇 해 전 노들야학에서 뭐든 함께하고 싶다며 찾아온 근정 쌤, 작년에 남편의 고향인 네팔로 가족 모두 이주했는데요. 4월... file
111 2015 봄여름 10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불가능한 코끼리 [고병권의 비마이너] 불가능한 코끼리 by 노들야학 병 권 지난달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 흥미로운 전시를 봤다. 본래는 케테 콜비츠(Käthe Kollwitz) 판화전... file
110 2015 봄여름 104호 - [형님 한 말씀] 최옥란 열사를 추모하며...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이미지 속 텍스트 최옥란 열사를 추모하며... by 노들야학 명학 2015년 4월 10일 벽제 최옥란 열사 묘역에 참배를 했습니... file
109 2015 봄여름 104호 - 83일간의 장례투쟁을 마무리하며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83일간의 장례투쟁을 마무리하며 아직도 시설에서 고통 받으며 죽어가는 수많은 이들을 생각하면서.. 잊지 않겠습니다. b... file
108 2015 봄여름 104호 -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조용한 장애인인권 행진을 하다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조용한 장애인인권 행진을 하다 by 노들야학 경 석 얼마 전에 경북지역에서 장애아이 부모님들과... file
107 2015 봄여름 104호 - 행복을 꿈꿀 시간이 없던 현실, 그로부터 1년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행복을 꿈꿀 시간이 없던 현실, 그로부터 1년 4월 17일, 송국현 동지 1주기를 보내며 by 노들야학 홍 기 작년 세월호 참... file
106 2015 봄여름 104호 - 그렇게,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장은 1000일이 된다. [특집] 2015년 420장애인차별철폐 투쟁 그렇게,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장은 1000일이 된다. by 노들야학 명 희 언제부터인가 아침 6시에 바로 ... file
105 2015 봄여름 104호 - 아름답지 않다, 아름답다 아름답지 않다, 아름답다 중증장애인들의 학교생활과 야외생활을 담아 2013년에 <노란들판의 꿈> 사진전을 열었다. 지난 전시가 장애인들의 피상적인 기록이었다...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