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야학~ 서울시장실 견학하다
by 노들야학 유 미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최유리입니다. 노들야학의 교실 공간 확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글을 올립니다. 지금 노들야학이 있는 장소는 학생들이 수업을 받으려고 교실로 이동할 때 휠체어끼리 부딪히는 경우도 많고, 휠체어 2대가 서 있으면 사람이 지나다니기 빠듯합니다. 수업받는 교실도 학생들이 공간이 좁아서 더운 여름에도 다닥다닥 붙어서 수업받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조금 더 넓고 편한 장소들이 마련된다면 학생들이 더 편하게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장님, 저희 학생들이 맘 편하게, 더 넓고 편한 장소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노들장애인야학 최유리 올림


4월 14일, 노들야학은 현장학습 차원에서 서울시장실을 견학했다. 엄청 자주 데모해 재끼는 우리를 정말 받아줄 것인가, 살짝 들떠서 서울시청을 향했다. 이렇게 착한 견학생이 되어 관청을 방문해보기도 오랜만이다. 야학 학생들과 활동보조인, 교사까지 못해도 6~70이 되는 인원이 시장실에 만원 버스 타듯 줄줄이 구겨져 들어갔다. 그 와중에 내가 목격한 소동이 있었다. 미*언니는 박원순 시장님의 환영을 받으며 활짝 웃으며 시장실 안으로 들어왔는데, 그만, 박원순 시장의 발을 밟고 만 것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녀가 탄 육중한 전동휠체어의 바퀴가 시장의 발 위를 넘어간 것. 반가운 마음에 쑹 들어가다 생긴 일이었지만, 박 시장은 “어어어, 괜찮습니다.” 했지만, 밟혀본 나는 안다. “... ...” 우리가 들어가기 전까지 분명 널찍하던 시장실이 어느새 꽉 차서 옆 사람 협조 없이는 누구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 박원순 시장은 우리의 방문으로 단방에 알게 되지 않았을까. 우리에게 교실이, 공간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하자센터처럼 독립적인 공간이 있으면 좋겠어요. 마당도 있고요.” 기회를 틈 타 나도 한마디 전했다.


밥과교실_5.JPG
사진 : 박원순 시장실에 입장하는 병기 학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야학 다니는 이준수입니다. 저는 집안 환경 어려워서 급식을 못 먹어습니다. 그래서 무상급식 제공으로 해주시면 감사드리겠니다” 노들장애인야학 이준수 올림

학생들이 이렇게 오타 내며 쓴 글을 맞춤법에 맞게 바로 잡아 보여주는 게 좋은지 아닌지 나는 늘 헷갈린다. 위는 그냥 옮겼다. 작년에 정말 어렵게 시작한 급식. 적자+적자+적자... 적자 행진이었다. 이 적자 속에서도 야학은 올해 밥값을 1000원 낮춰 2000원으로 결정했다. 누군가는 산수도 못 하냐며 구박했다. 하지만 우리도 산수! 한 거다! 한 달에 100만원이라도 버는 나 같은 사람에게 ‘한 끼 3000원’은 아주 착한 가격에 속하지만, 노들야학은 항상 그랬듯 쉬운 공간이 아니다. “... ...” 3000원이 없어서 급식실 앞을 어슬렁거리는 학생들, 여전히 간식으로 한 끼를 때우는 학생들. 늘 그랬듯, 모두에게 행복한 밥시간은 아니었다. 빈 틈은 늘 있다.


밥과교실_2.jpg

사진 : '교실이 필요해' 선전물을 머리에 쓴 김이준수 님.


밥과교실_1.jpg

사진 : 박원순 시장에게 보내는 노들야학 학생들의 손편지.


밥과교실_6.JPG

사진 : 마치 시장실 점거라도 한듯... 야학 사람들로 꽉찬 시장실.



홍준표 도지사처럼 시대를 역행하는 사람이 영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무상급식!이 대세 아니던가... 무상급식, 평등한 밥상, 이런 것을 경험하는 것도 교육이랬다. 혼자만 잘 먹으면 무슨 재민겨. 평등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노들에게 급식은 치열한 일상, 함께 살아내려는 몸부림이었다. 말 그대로 생존을 위한 투쟁. 박원순 시장은 급식 문제로 야학에 찾아온 적이 있다. 시장 연임 선거를 앞둔 때였던가. 아무튼 그날 나는 역시나 기회를 틈 타 “친환경 무상급식 해주세요” 한마디 전했다. 안전한 먹을거리로 급식... 가능한 날이 올까 모르겠지만 생각만 해도 기쁘다. 친환경 급식까지 못 가더라도, 무상급식만 되어도 야학 학생이 100명이 넘어가지 않을까. 사실 좀 두렵기도 하지만, ㅎㅎㅎ 같이 맘 편히 밥 먹을 수 있으면, 투쟁도 더 잘하고 건강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아 꿈꾸니까 좋으네...


“과장님~ 노들야학 이 분들이 지금 말씀하시는 게 두 가진 것 같은데, 무상급식이랑 교육장 확보... 과장님~ 한번 알아봐주세요. 신경 좀 써주세요.” 박원순 시장은 이날 장애인복지과 과장님을 여러번 불렀다. “과장님~ 교실 확보 어렵습니까?” “과장님~ 저번에도 급식 얘기 드린 것 같은데~?” “과장님~” 시장님 위에 과장님이 있었다. 뭔가 재밌는 견학이었다. 시장실 책상 위엔 내 키보다 높이 서류들이 쌓여 있었다. 시장님도 야근하시나요?


그래서 시장님~ 과장님~ 우리 밥과 교실은, 어떻게 돼가고 있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15 봄여름 104호 - 시장님~! 아니 과장님~? 밥과 교실이 필요해요 노들야학~ 서울시장실 견학하다 by 노들야학 유 미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최유리입니다. 노들야학의 교실 공간 확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글을... file
103 2015 봄여름 104호 - 종로구청장님 바쁘시죠? 그런데 뭐하세요? 종로구청장님 바쁘시죠? 그런데 뭐하세요? 종로구에 중증장애인의 정당한 권리를 요구한다 by 노들센터 성 근 2015년 4월 14일 우울하게 비가 추적추적 내리면서... file
102 2015 봄여름 104호 - [대학로야 놀자] 시멘트 바르고 싶었던! ^^ 마로니에 공원 시멘트 바르고 싶었던! ^^ 마로니에 공원 휠체어 타는 내겐 작은 턱도 너무 높다 by 노들센터 문 주 사람들이 두 발로 걸을 때 나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한다. 가... file
101 2015 봄여름 104호 - [나쁜 행복을 말하다] 귀신일까? 산 귀신? [나쁜 행복을 말하다] 귀신일까? 산 귀신? by 노들야학 J 오늘은 황당한 일이 있어서 나만 알고 있는 건 무섭고 잼 없어서 얘기해보려고... 난 춤 배우려고 노들... file
100 2015 봄여름 104호 - 평등을 격하게 경험하고 싶다면 노들야학으로 평등을 격하게 경험하고 싶다면 노들야학으로 by 노들야학 영 선 야학은 통상적으로 ‘밤에 공부하는 학교(夜學)’를 뜻한다. 노들야학의 야학은 밤에 공부하는 학... file
99 2015 봄여름 104호 - 떼굴떼굴 굴러라 노들아~ 떼굴떼굴 굴러라 노들아~ 2015년 노들 법인 총회 이야기 by 노들야학 유 미 3월 7일 토요일에 노들 법인 총회를 했습니다. 법인... 총회... 이런 걸 할 때마다 여... file
98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아 안녕] 주훈, 한준, 미진, 수연, 세준, 지윤, 경훈, 재범 [노들아 안녕] 안녕하세요 여러분 노들 신입 활동가, 신입 직원, 신입 교사를 소개합니다. < 노란들판 > 송주훈 안녕하세요~ 조금은 바람이 차던 2월, 새롭게 노... file
97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아 안녕] 이제는 휴직교사가 된 박준호 [노들아 안녕] 이제는 휴직교사가 된 박준호 2008년 1월 2일 신임교사로 노들야학을 시작해 2015년 2월 28일부로 상근생활을 정리하면서 교사를 퇴임(인지 휴직인... file
96 2015 봄여름 104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김철수 님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나는 왜 이곳에 와 있는가, 묻고 또 물었다 활동보조인 김 철 수 내가 장애인 활동보조를 직업으로 택하여 시작한 지도 벌써 5개월이 지... file
95 2015 봄여름 104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님아, 65세 그 강도 넘어봅시다!!!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님아, 65세 그 강도 넘어봅시다!!! by 노들센터 아 라 이번 뽀글뽀글 활보상담소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 VS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 ... file
94 2015 봄여름 104호 - [교단일기] 안녕! 노들 미술반! [교단일기] 안녕! 노들 미술반! by 노들야학 정 민 혼자 그림만 그리던 그림쟁이가 노들야학 학생들과 만났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마음과 몸에 맞춰 제일 신나고 ... file
93 2015 봄여름 104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학교에서 만난 인권들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학교에서 만난 인권들 by 인권센터 민구 위 작품은 김재연 인권강사님이 손수 한 땀 한 땀 그려준 ‘노들장애인권센터’ 로고다. 우리는 보... file
92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야학 휴직교사 ‘화짱’의 근황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야학 휴직교사 ‘화짱’의 근황 이게 다 ‘악마의 테이블’ 때문이다 by 노들야학 민 구 노들야학 유일의 팬클럽을 보유하고 있는 휴직교사... file
91 2015 봄여름 104호 - [노들 책꽂이] 『금요일엔 돌아오렴』 [노들책꽂이] 눈물을 나눠 갖자. 우리 모두 유가족이 되자.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금요일엔 돌아오렴』 by 비마이너 금철 이 책을 쓴 작가기록단 중 한 명인... file
90 2015 봄여름 104호 - [동네 한 바퀴] 독립영화 배급사 ‘시네마달’을 소개합니다 [동네 한 바퀴] 독립영화 배급사 ‘시네마달’을 소개합니다 동숭동 노들 3분 거리에 있었네 「다이빙 벨」, 「두 개의 문」...「노들바람」도! by 인권센터 민 구 ... file
89 2015 봄여름 104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북디자이너 구화정 님을 만나다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북디자이너 구화정 님을 만나다 “노들과 함께 나이 들어가는 것 같아요” by 노들야학 유 미 사진 : 노들을 후원하는 북디자이너 구... file
88 2015 봄여름 104호-고마운 후원인들 2015년 4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강경완 강광숙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병희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소영 강수혜...
87 2014 겨울 103호-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우리는 서로에게 왜 숲이 아닌가 / 무심하게 지나쳐온 너의 노래” 최고은의 노래 '봄'에 나오는 노랫말입니다. 2013년 겨울을 앞두고 준혁 ...
86 2014 겨울 103호-투쟁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투쟁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 노들야학 민구 요즘은 민주노총도 이렇게 안 싸워요 경찰조사를 받다보면 짜증이 확 솟구쳐 오르곤 한다. 경찰의 고압적인 자세, ... file
85 2014 겨울 103호-준혁, 그를 잊지 말아요 김준혁 동지 1주기 ▶◀ 추모사 준혁, 그를 잊지 말아요 ◑ 문예판 민정 너무 맑았던 희망, 준혁이 형께! 아이 같은 미소로 주위를 행복하게 하던 형! 누군가의 부탁...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