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점심시간이면, 4층 들다방으로 건물 사람들이 찾아와 밥을 함께 먹습니다. 2층의 야학 학생들, 5층 사단법인 노란들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들, 6층 노들센터 사람들. 활동가 근로지원인, 활동지원사 학생들은 점심식사도 무상으로 드시고, 다른 분들은 식권을 사서 밥을 먹습니다. 넓지 않은 공간에 앉을 수 있을 만큼, 자리잡을 수 있는 만큼 들어차서 밥을 먹습니다. 일상과 운동의 수다들이 이어지고, 식사를 마치면 복지일자리로 근무하는 야학 학생들이 사람들의 식기를 받아 설거지를 합니다. 식사를 마친 사람들은 이야기를 마저 나누거나 커피를 주문해 마시기도 합니다. 복잡하고 소란스러운 매일이었고, 그럼에도 더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올 수 있게 애를 써왔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다는 바이러스 소식이 매일같이 뉴스에 나오면서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밥을 먹으러 오라고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오던 사람들이 오지 않으면 들다방 운영은 어떻게 하고, 그렇다고 함께 있다가 무슨 일이라도 생기면 이후엔 어떻게 해야 하나, 꼬리에 꼬리를 무는 걱정. 방학에도, 코로나에도 매일같이 야학에 나와 지내는 야학 학생들은 어디 가서 밥을 먹을 수 있을까. 격리가 이뤄진다면 어떻게 지낼 수 있을까. 걱정에 걱정. 야학은 휴교 중이고, 활동지원사 교육도 미뤄지고 있고, 자립생활센터들도 활동을 하지 못하고, 집회도 기자회견도 최소한으로 진행하고 일상의 풍경이 달라졌습니다. 이런 시절을 어떻게 살아보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먼저 고통받았던 대구의 장애인운동 활동가들의 경험을 통해 조금씩 배우게 될 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56 2020년 여름 123호 -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 박정숙 영화제, 우리들의 축제      박정숙 노들장애인야학 한소리반 학생. 노들 활동지원사교육기관 담당자로 일하고 있다.             4월에 열려야했던 장애인인권영... file
655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 정민구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아 안녕. 민구에요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 시작한 민구 이야기   정민구 꼬부랑 할아버지가 돼도 아코디언을 연주하고 싶은 밍...
654 2020년 여름 123호 -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 다독다독 [노들 책꽂이] 『선량한 차별주의자』 읽기를 추천합니다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도서위원회 ‘다독다독’      노란들판에는 도서위원회가 있습니다. 이름은 ‘다...
653 2020년 여름 123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마스크를 나누는 사람들   마스크가 금보다 귀한 시절. 노들은 괜찮은지 걱정을 한 아름 안고, 마스크를 선물해준 분들이 있습니다.... file
652 2020년 여름 123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0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강복현 강성윤...
» 2020년 봄 12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점심시간이면, 4층 들다방으로 건물 사람들이 찾아와 밥을 함께 먹습니다. 2층의 야학 학생들, 5층 사단법인 노란들판, 전국장...
650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 김필순 코로나19, 우리를 훑고 지나간 바이러스와 그 여파...   김필순 | 코로나로 많은 일정이 사라졌지만 입안 바이러스 혓바늘과 전쟁 중       1월이 끝나고 2월이 ...
649 2020년 봄 122호 -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 김상희 코로나19 감염보다 더 두려운 것   김상희 | 노들센터 4년차, 버티는 삶에 대한 실험 중.       코로나19가 뭐길래     요즘 아침에 일어나면 확인하는 일이 생겼...
648 2020년 봄 122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아픈 사람들의 독서 코뮨주의 -어떤 ‘고독’과 ‘우정’ 대하여-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
647 2020년 봄 122호 -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 가을 [장판 핫이슈] 故 설요한 동지의 죽음에 우리 사회는 멈출 준비가 되어 있는가   가을 | 초가을 저녁, 흔들리는 종소리에 가을이 왔구나하며 ‘가을’이라 지었습... file
646 2020년 봄 122호 -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 김도현 ‘선량한 장애차별주의자’가 되지 않는 한 가지 방법     김도현 |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이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고, 노들장애인야학 부설 기관인 노... file
645 2020년 봄 122호 -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 박정수  [교단일기] 그리스 비극에서 저항적 운명애를 배우다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는 야학 교사. 최근 안양으로 이사...
644 2020년 봄 122호 -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 천성호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천성호 |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 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
643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 조창길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조창길     저는 1972년 3월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6살 때까지 걷지도 말하지도 못하고 지내왔습니다. 부모...
642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 최바름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최바름        작년 금요일 낮마다의 체험 수업이 생각납니다. 매번 새로운 짝꿍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
641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 유성환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유성환     안녕하세요 2019년 6월에 노란들판에 입사하게 된 유성환입니다. 저는 우연한 기회에 노란들판을 알게 되어 노들 ...
640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 정성현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정성현     저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활동가 정성현입니다.   안녕하세요. 늦은 밤 마감을 직전에...
639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제갈진숙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갈진숙     안녕하세요 !! 저는 센터판에서 막둥이인 제갈진숙이라고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를 졸...
638 2020년 봄 122호 -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김명학 /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아직은 차가운 바람이 불지만 그 바람 속에... file
637 2020년 봄 122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 씨앙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씨앙 | 선배한테 술 한 번 잘못 얻어먹고 연극이라는 세계로 끌려 들어와 한도 끝도 없...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