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부양의무제 폐지가
탈시설·자립생활의 지름길!


노들야학 상윤

 



상윤_자립.JPG 



나 는 석 암 재 단 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2009년 6월 2일에 그곳에서 나오게 되었다. 함께 나온 동료들과 탈시설 권리의 보장을 주장하며 마로니에 공원에서 한 달넘게 노숙농성을 했고, 명륜동에 위치한 장애인 자립주택 ‘평원재’에서 임시로 살면서 자립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것저것 알아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알게 된 것이, 부모님이 차를 구입할 때 내 인감을 사용해 나의 명의로 등록을 했다는 것이다. 나는 이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때 나는 시설에 있었고 아버지가 알려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머니가 보증인이고 아버지가 대리인으로 되어 있었는데, 그 당시 어머니는 풍이 심하게 와서 사람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어떻게 동사무소 직원이 처리를 해주었는지 나로서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부모님은 내가 시설에서 나와 자립을 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고 지원을 해주지도 않았다. 부모님이긴 했지만 나를 시설에 두면서 그저 나의 명의로 장애인 할인 받는 것에만 관심을 두는 것 같아 섭섭한 마음이 컸다. 자립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을 만들기 위해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을 여러 차례 해보았지만 매번 탈락했다. 더 웃긴 건 부모님이 실제로는 나를 전혀 부양하지 않는데도 부양의무자 기준에 걸렸다는 것이다. 아버지가 우리나라 나이로 일흔 살이다. 그러다보니 재산이 조금 있다고는 해도 부양할 능력이 안 되고 내가 스스로 벌어먹고 살아야하는데, 무엇을 해서 돈을 벌어야하는 건지…. 우리나라는 법이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었다. 부모와 자식이 인연을 끊거나하면 그때야 수급 자격이 주어진다. 그건 말도 안 되는 짓이다. 부모가 자식을 버리도록 강요하는 것과 똑같기 때문이다.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거나 중증장애인도 일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정부가 나서야 하는데 전혀 그런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 장애인들이 꼭 나서서 목소리를 높여야 뭐라도 하는 시늉을 하는 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어서 빨리 부양의무제가 폐지가 되어
좀 더 나은 자립생활을 하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6 2014 겨울 103호-[노들아 안녕] 노들야학 죠스 벌써 2년 노들야학 죠스 그 모든 게 치밀한 계획도 없이 충동에서 비롯되었다는 것, 바로 그것이 문제였다. “나도 야학 교사 한 번 해볼까?” 2년 전 그때, 난 왜... file
75 2014 겨울 103호-[교단일기] 천천히 즐겁게 함께! 천천히 즐겁게 함께! 노들야학 호연 수업보조 활동을 하다 신임교사가 되어 노들 모꼬지도 함께 가보고, 강화도 자람도서관에서의 교사수련회도 참여하고, 그리... file
74 2014 겨울 103호-급식은 힘이요 기대요 기쁨이어라~ 급식은 힘이요 기대요 기쁨이어라~ 노들야학 성희 저는 노들야학 급식을 담당하는 이성희입니다. 수많은 세월을 중국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남편을 내조하며 나름... file
73 2014 겨울 103호-명학 자립했습니다 명학 자립했습니다 노들야학 명학 2014년 11월 24일 명학이 4년여 동안 기거했던 평원재를 떠나 연건동 오피스텔로 거처를 옮겨 진정으로 자립을 시작했습니다. ... file
» 2014 겨울 103호-[자립생활을 알려주마]-부양의무제 폐지가 탈시설 자립생활의 지름길! 부양의무제 폐지가 탈시설·자립생활의 지름길! 노들야학 상윤 나 는 석 암 재 단 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2009년 6월 2일에 그곳에서 나오게 되었... file
71 2014 겨울 103호-장애인에게 승강기가 필요한 이유 장애인에게 승강기가 필요한 이유 -노들야학 준수 ◀◁ 노들바람 103호 목록으로 file
70 2014 겨울 103호-팽목항을 다녀왔습니다 팽목항을 다녀왔습니다 노들야학 명학 세월호 ‘기다림의 버스’를 타고 팽목항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사고 현장을 직접 보니 그 아픔들 이 속속들이 피부로 가... file
69 2014 겨울 103호-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신에 추신을 달다]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신에 추신을 달다 - 인권연극제 참가작품 <추신>을 올리고 난 연출의 변 - 문예판 안수 공연정보 제목: 추신 일자: 2014. 11. 12(수) ~ 1... file
68 2014 겨울 103호-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醜)란 무엇일까?] 추(醜)란 무엇일까? - 인권연극제 참가작품 <추신>, 공연이 끝나고… - -문예판 민정 추(醜)란 무엇일까? 추함, 추하다, 추에 관한 기억들…. 꺼내기 싫고, 기억하... file
67 2014 겨울 103호-나의 장애와 마주하다 나의 장애와 마주하다 장애인미디어아트 「너그들」 이야기 -센터판 민경 나에게는 두 번째 장애인미디어아트 공연인 「너그들(너의 그림자가 들려)」을 마치고 ... file
66 2014 겨울 103호-우리들의 러브~러브! 우리들의 러브 ~ 러브! -문예판 수경 2014년 10월 30일 충무아트홀에서 상연된 「러브러브」는 장애여성 당사자들이 직접 대본을 쓰고 연기도 한, 그야말로 장애... file
65 2014 겨울 103호- 「할머니의 꿈」 촬영 노트    「할머니의 꿈」 촬영 노트 노들야학 민구       ⁎ 기획/대본/연출: 민구, 지예 ⁎ 촬영: 승천, 신행 ⁎ 편집: 호경 ⁎ 주연: 경석, 사랑 ⁎ 도움 주신 분들: 은... file
64 2014 겨울 103호 -부릉부릉 차차차 7박 8일 이야기 부릉부릉 차차차 7박 8일 이야기 노들야학 명희 11월 26일 광화문광장에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이 7박 8일 전국 순회 투쟁단 차차차(‘차’별을 걷... file
63 2014 겨울 103호-내가 만난 진심들 내가 만난 진심들 장애인인권교육 강사 제은화 장애인 활동보조 일을 하면서 노들을 알게 됐고,1년쯤 되었을 무렵 우연히 ‘인권강의’에 대해서 듣게 되었다. 사... file
62 2014 겨울 103호- [노들책꽂이] 살아남은 아이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 살아남은 아이 』 한종선·전규찬·박래군 지음, 문주 출판, 2013 노들센터 지예 초등학교 4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갑자기 나... file
61 2014겨울 103호 겨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용산구 효창공원 인근에 작은 안경원이 있다. 간판에 작은 글씨로 ‘단풍이 만드는 안경이야기’라고 쓰여 있다. 말 그대로 ‘단풍’이 만드는 안경원이다. 이곳 주... file
60 2014겨울 103호- 고마운 후원인들 2014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강경완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소영 강수혜 강영미 강...
59 2014가을 10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노들바람을 여는 창 ‘한 잔 하다’가 이렇게 모두 띄어 쓰는 게 아니라 ‘한잔하다’ 이렇게 한 단어라고 합니다. 그간 노들바람에선 무수히 많은 이들이 한잔...
58 2014가을 102호 - 딸과 아빠의 공동투쟁 ○●○ 딸과 아빠의 공동투쟁 노들야학 종훈, 수연 종훈의 이야기 노들장애인야학에 다니는 수연과 수연의 아버지 정종훈입니다. 제 딸 수연이가 조산으로 나왔어요.... file
57 2014가을 102호 - 광화문농성 2주년 투쟁 보고서 ○●○ 우리는 지금보다 더 강하게 36.5도 + 365일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 2주년 투쟁 보고서 성 명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집행부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