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7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들의
러브 ~ 러브!

-문예판 수경



 

_MG_9415.JPG



2014년 10월 30일 충무아트홀에서 상연된 「러브러브」는 장애여성 당사자들이 직접 대본을 쓰고 연기도 한, 그야말로 장애여성들의 목소리와 경험이 고스란히 반영된 작품이다. 사람들은 흔히 장애인을 무성의 존재로 취급하지만, 우리들도 당연히 사랑받고 사랑할 수 있는 존재임을 세상에 알리고자 했던, 진실한 우리들의 이야기였다.


장애여성들에게 가장 큰 고통 중 하나는 가족 내에서조차 이방인으로 취급되는 현실이다. 집안에 큰 행사가 있거나 가족들의 손님이 집을 방문했을 때, 부끄러운 존재로 여겨져 보이지 않는 곳으로 숨겨져야 하는 아픈 현실. 가장 가깝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냉대가 가장 큰 고통임을 가족들조차 잘 알지 못하는 것이다.


이번 공연은 예상보다 큰 반향을 일으켰다. 우리들의 솔직한 이야기가 사람들의 가슴에 깊이 새겨졌나보다. 가족들이 와서 보고는, “이렇게 멋진 공연인 줄 알았더라면 더 많은 지인들과 왔을 텐데….”라고 이야기를 해주었을 때는 나도 모르게 어깨가 으쓱해졌다. 이전에는 늘 변두리 공연장이나 접근성이 어려운 좁은 장소에서만 공연을 해왔었는데, 충무아트홀이라는 번듯한 무대도 우리의 공연을 더 빛내주었던 것 같다.

 


사실 우리가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이번 공연을 잘 치러내야만 앞으로 2년간 지원을 더 연장할 수 있다는 책임감에, 서로 시간을 맞춰가며 휴일도 마다 않고 모여 연습을 했다. 그 때문에 담당 선생님들까지 주말에 출근을 해야 했지만, 우리들의 열성에 싫은 기색 없이 호응해주셨다. 결코 혼자서 잘한다고 되는 일이 아니었기에 서로를 다독이며 하나가 되고자 노력한 결과, 비로소 우리는 진심어린 박수갈채를 받을 수 있었다. 이번 공연을 통해 이제는 그 어떤 무대와 관객 앞에도 설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하면 된다'라는 용기를 얻었다.



  3년간 연극을 하면서 무대에 올린 모든 공연이 나에게는 소중하지만 이번 연극만큼 성과가 큰 작품은 처음이었다. 이번 공연을 준비하기 위해 3개월 동안 정말 열심히 연습을 했는데, 단 한 번 1시간 30분의 공연으로 끝나야 했던 것은 아쉬운 마음이 크다. 우리는 더 소리쳐야 하는데, 목소리를 더 높여야 하는데…. 2014년은 그렇게 벅찬 기쁨과 얼마간의 아쉬움을 뒤로 한 채 지나갔다. 2015년에는 어떤 무대로 사람들의 가슴에 우리가 살아 있음을 증명할까?



♥ 난 지금 꿈꾼다. 올해에는 더 멋진 공연으로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6 2014 겨울 103호-[노들아 안녕] 노들야학 죠스 벌써 2년 노들야학 죠스 그 모든 게 치밀한 계획도 없이 충동에서 비롯되었다는 것, 바로 그것이 문제였다. “나도 야학 교사 한 번 해볼까?” 2년 전 그때, 난 왜... file
75 2014 겨울 103호-[교단일기] 천천히 즐겁게 함께! 천천히 즐겁게 함께! 노들야학 호연 수업보조 활동을 하다 신임교사가 되어 노들 모꼬지도 함께 가보고, 강화도 자람도서관에서의 교사수련회도 참여하고, 그리... file
74 2014 겨울 103호-급식은 힘이요 기대요 기쁨이어라~ 급식은 힘이요 기대요 기쁨이어라~ 노들야학 성희 저는 노들야학 급식을 담당하는 이성희입니다. 수많은 세월을 중국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남편을 내조하며 나름... file
73 2014 겨울 103호-명학 자립했습니다 명학 자립했습니다 노들야학 명학 2014년 11월 24일 명학이 4년여 동안 기거했던 평원재를 떠나 연건동 오피스텔로 거처를 옮겨 진정으로 자립을 시작했습니다. ... file
72 2014 겨울 103호-[자립생활을 알려주마]-부양의무제 폐지가 탈시설 자립생활의 지름길! 부양의무제 폐지가 탈시설·자립생활의 지름길! 노들야학 상윤 나 는 석 암 재 단 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오랫동안 살다가 2009년 6월 2일에 그곳에서 나오게 되었... file
71 2014 겨울 103호-장애인에게 승강기가 필요한 이유 장애인에게 승강기가 필요한 이유 -노들야학 준수 ◀◁ 노들바람 103호 목록으로 file
70 2014 겨울 103호-팽목항을 다녀왔습니다 팽목항을 다녀왔습니다 노들야학 명학 세월호 ‘기다림의 버스’를 타고 팽목항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사고 현장을 직접 보니 그 아픔들 이 속속들이 피부로 가... file
69 2014 겨울 103호-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신에 추신을 달다]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신에 추신을 달다 - 인권연극제 참가작품 <추신>을 올리고 난 연출의 변 - 문예판 안수 공연정보 제목: 추신 일자: 2014. 11. 12(수) ~ 1... file
68 2014 겨울 103호-연극이 끝나고 난 뒤[ 추(醜)란 무엇일까?] 추(醜)란 무엇일까? - 인권연극제 참가작품 <추신>, 공연이 끝나고… - -문예판 민정 추(醜)란 무엇일까? 추함, 추하다, 추에 관한 기억들…. 꺼내기 싫고, 기억하... file
67 2014 겨울 103호-나의 장애와 마주하다 나의 장애와 마주하다 장애인미디어아트 「너그들」 이야기 -센터판 민경 나에게는 두 번째 장애인미디어아트 공연인 「너그들(너의 그림자가 들려)」을 마치고 ... file
» 2014 겨울 103호-우리들의 러브~러브! 우리들의 러브 ~ 러브! -문예판 수경 2014년 10월 30일 충무아트홀에서 상연된 「러브러브」는 장애여성 당사자들이 직접 대본을 쓰고 연기도 한, 그야말로 장애... file
65 2014 겨울 103호- 「할머니의 꿈」 촬영 노트    「할머니의 꿈」 촬영 노트 노들야학 민구       ⁎ 기획/대본/연출: 민구, 지예 ⁎ 촬영: 승천, 신행 ⁎ 편집: 호경 ⁎ 주연: 경석, 사랑 ⁎ 도움 주신 분들: 은... file
64 2014 겨울 103호 -부릉부릉 차차차 7박 8일 이야기 부릉부릉 차차차 7박 8일 이야기 노들야학 명희 11월 26일 광화문광장에서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공동행동이 7박 8일 전국 순회 투쟁단 차차차(‘차’별을 걷... file
63 2014 겨울 103호-내가 만난 진심들 내가 만난 진심들 장애인인권교육 강사 제은화 장애인 활동보조 일을 하면서 노들을 알게 됐고,1년쯤 되었을 무렵 우연히 ‘인권강의’에 대해서 듣게 되었다. 사... file
62 2014 겨울 103호- [노들책꽂이] 살아남은 아이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 살아남은 아이 』 한종선·전규찬·박래군 지음, 문주 출판, 2013 노들센터 지예 초등학교 4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갑자기 나... file
61 2014겨울 103호 겨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용산구 효창공원 인근에 작은 안경원이 있다. 간판에 작은 글씨로 ‘단풍이 만드는 안경이야기’라고 쓰여 있다. 말 그대로 ‘단풍’이 만드는 안경원이다. 이곳 주... file
60 2014겨울 103호- 고마운 후원인들 2014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강경완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소영 강수혜 강영미 강...
59 2014가을 10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노들바람을 여는 창 ‘한 잔 하다’가 이렇게 모두 띄어 쓰는 게 아니라 ‘한잔하다’ 이렇게 한 단어라고 합니다. 그간 노들바람에선 무수히 많은 이들이 한잔...
58 2014가을 102호 - 딸과 아빠의 공동투쟁 ○●○ 딸과 아빠의 공동투쟁 노들야학 종훈, 수연 종훈의 이야기 노들장애인야학에 다니는 수연과 수연의 아버지 정종훈입니다. 제 딸 수연이가 조산으로 나왔어요.... file
57 2014가을 102호 - 광화문농성 2주년 투쟁 보고서 ○●○ 우리는 지금보다 더 강하게 36.5도 + 365일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 2주년 투쟁 보고서 성 명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공동행동 집행부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