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천성호 |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 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함께 가고,

가난한 사람들이 차별없이 평등하게 행복하게 사는 세상을 꿈꾸고 활동하고 있다.

 

 

 

 

  노들야학에서 반편성 배치 고사를 치르는 날, 학생들은 반편성보다는 고사라는 시험에 더 긴장한 것 같다. 노들이 추구하는 것과 한참 거리가 먼 것처럼 보이는 학생들의 수준을 평가하는 시험이라는 것을 왜 치르게 되었는지 배경이 궁금할 것 같다.

 

   지난해 우리는 교육청 감사를 받으면서 몇 가지 권고를 받았다. 물론, 교육청의 권고 사항이라기보다는 노들 자체의 고민이기도 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야학에 나오는 출석률에 대한 것이었다. 야학 내부적으로 자주 오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고민이었다. 학교에 자주 빠지는 학생들의 이유는 충분히 이해되지만, 그렇다고 이대로 출석부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맞는가?’ 하는 고민이 있었다. 두 번째는 한 반당 학생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어느 과목의 경우 30명이 넘는 학생들이 있어, 이 인원의 학생들이 한 반에서 수업을 듣는다는 것은 교육청에서 상상하기 힘든 것이었다. 그래서 교사들 고민은 학교에 못 나오는 학생들의 다양한 형편들을 다 들어주지 못한다는 것, 기본적으로 학생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야학에 나온 지 10년이 넘었어도 야학에 나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세 번째는 발달장애 학생들에 대한 고민, 야학에 나온 지 오래되었고, 그만큼 성장했지만, 지식 위주의 수업보다는 개별적 특성과 흥미에 맞게 수업이 진행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래서 새로운 반이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고민이 있었다. 그래서 발달장애인 반(청솔 1), 새로운 반도 하나 개설되어야 했다.

 

  결국, 몇 차례의 학제 개편 회의를 통해서 지금까지 유지하였던, 청솔 1, 2, 불수레, 한소리 반 4개의 반에 한 반을 추가하여 청솔 3반을 만들었다. 전체 62명의 학생을 대략 5개의 반으로 12~15명 내외로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어떻게 나눌 것인가? 지금의 반을 유지할 수는 없고, 누가 더 실력이 있는가도 모호했다. 대체로 오래된 학생들이 잘하는 것 같은데, 어찌 보면 그렇지 않은 것도 같았다. 청솔 2, 불수레, 한소리 반의 학생들 실력은 알쏭달쏭했다. 국어는 잘하는데, 수학은 못 하고, 그 반대의 학생도 있었다. 어떤 학생은 반이 마음에 안 들어서 이동한 학생도 있었다. 교사마다 학생의 실력에 대해 서로 다르게 말하기도 했다. 결국, 반을 나눌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반편성 배치 고사를 보기로 하였다.

 

  반편성 배치고사는 두 과목 국어와 수학을 보기로 했다. 노들은 2008년과 2012년에도 학제개편과 관련하여 반편성 배치 고사를 보았는데, 그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정하였다. 국어 출제는 종헌 샘이 전에 치렀던 문제를 수정 보완했는데, 올바른 낱말 맞추기, 자연스러운 문장 고르기, 지문 해석하기 등이다. 지문의 경우 장애인의 감수성과 맥락에 맞게 수정하였다. 수학은 임당 샘이 출제했는데, 사칙연산과 도형, 분수의 덧셈, 뺄셈, 방정식이었다.

 

  시험 당일 1시부터 6시까지 보는데 학생이 몰릴 것을 예상하고, 시간대 별로 학생들을 배치하였는데, 당일 날 학생들은 점심을 먹고 와서 바로 시험에 응하였다. 총 전체 62명의 학생 중에 청솔 1반을 제외하고, 2반의 학생들 일부를 제외하고, 42명의 학생이 배치 고사에 응시했으니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이 참여하였다. 교실 1~5까지 시험장으로 꾸미고 시험에 들어갔다. 긴장하고, 열심히 시험을 보는 학생, 조금 보다 슬며시 찍고 나가는 학생, 활동지원사 님의 도움을 살짝 받아서 보는 학생, 어찌보면 과목에 대한 시험보다는 사람의 성격이 시험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긴장된 시간들이 끝나고, 바로 바로 평생교육사 실습생분들이 체점을 시작하였다.

 

  미리 말하지만, 우리는 절대로 시험 점수가 중요하지 않다. 여기서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국어점수는 그래도 좀 높았고, 수학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생들이 수학에서 계산을 암산만으로 해야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렇게 반편성배치고사가 끝나고, 모두 5개 반으로 나누었다. 시험이 끝나고 학생들의 민원도 제기되었다. ‘누구는 활동지원사 님이 푼 것 아니냐 시험감독을 잘해야 하는 것 아니냐, 나를 원래 반으로 돌려 달라, 시험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를 안 했다. 그 민원들을 곱씹으면서 그러나 시험보다, 반을 나누는 것보다 우리가 노들에서 함께 배운다는 것이 기쁘지 않겠냐고 스스로를 담담히 위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0년 봄 122호 -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 천성호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천성호 |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 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
643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 조창길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조창길     저는 1972년 3월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6살 때까지 걷지도 말하지도 못하고 지내왔습니다. 부모...
642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 최바름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최바름        작년 금요일 낮마다의 체험 수업이 생각납니다. 매번 새로운 짝꿍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
641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 유성환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유성환     안녕하세요 2019년 6월에 노란들판에 입사하게 된 유성환입니다. 저는 우연한 기회에 노란들판을 알게 되어 노들 ...
640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 정성현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정성현     저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활동가 정성현입니다.   안녕하세요. 늦은 밤 마감을 직전에...
639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제갈진숙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갈진숙     안녕하세요 !! 저는 센터판에서 막둥이인 제갈진숙이라고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를 졸...
638 2020년 봄 122호 -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김명학 /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아직은 차가운 바람이 불지만 그 바람 속에... file
637 2020년 봄 122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 씨앙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씨앙 | 선배한테 술 한 번 잘못 얻어먹고 연극이라는 세계로 끌려 들어와 한도 끝도 없... file
636 2020년 봄 122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집에만 있지 말고 밖에서 활동 많이 해요 / 추경진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집에만 있지 말고 밖에서 활동 많이 해요 평원재에서 최근 이사한 추경진 활동가 이야기     박미주 | 노들센터 자립옹호팀에서 권익옹호 ...
635 2020년 봄 122호 - 자립생활주택 체험형을 반납하며.. / 최정희 자립생활주택 체험형을 반납하며..     최정희 | 센터판 자립생활주택 체험형 전 코디네이터. 자립생활주택 다형이 될 때까지 인디언 기우제 중인 최정희 활동가...
634 2020년 봄 122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하루 5000원의 삶, 당신은 행복한가요?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하루 5000원의 삶, 당신은 행복한가요?     서기현 |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어머니의 태몽에서 백사로 변해 치맛속(?)으로 들어가 ...
633 2020년 봄 122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우리는 65세 이후에도 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 이형숙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우리는 65세 이후에도 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이형숙 | 노들 하면 권익옹호! 매일 하는 일 없이 바쁘고,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맛이...
632 2020년 봄 122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2019년 아르코미술관 장애인 경사로를 구축하면서..... / 윤천학 [대학로야 같이 놀자] 2019년 아르코미술관 장애인 경사로를 구축하면서.....   윤천학 | 아르코미술관 시설운영 담당자     2019년 5월 7일에 나주에서 서울 아...
631 2020년 봄 122호 - 이제 이사하면 나는 퇴사한다..... / 권민희 이제 이사하면 나는 퇴사한다..... 권민희 | 센터판 활동가이자 사무국장으로 8년째 센터판과 열애중 (센터판과 연애는 이제 그만하고 싶다)     이제 이사대장정...
630 2020년 봄 122호 - [욱하는 女자] 말귀를 못알아듣겠대 말귀를~!!!! / 박세영 [욱하는 女자] 말귀를 못알아듣겠대 말귀를~!!!!   박세영 | 세0. 센터판에서 8년째 재미난 활동을 찾고 있는 유쾌한 분위기를 좋아하는 나름 직설적이고 정신없...
629 2020년 봄 122호 - 노란들판 통합 LT를 다녀와서 / 조석환 노란들판 통합 LT를 다녀와서   조석환 |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인성을 담당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코디 조석환(조인성)     안녕하세요. 동지여러분...
628 2020년 봄 122호 - 우리의 일자리와 몇 가지 질문 / 허신행 우리의 일자리와 몇 가지 질문     허신행 | 사단법인 노란들판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12월부터 장애인일자리 사업 담당으로 노들 법인에서 일하고 있는...
627 2020년 봄 122호 - [노들 책꽂이] 장애는 어떠한 경우에도 손상이다 [노들 책꽂이] 장애는 어떠한 경우에도 손상이다 『철학, 장애를 논하다』(김도현 저, 그린비, 2020)     변재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초보 활동가. 투쟁의 ...
626 2020년 봄 122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에 온 지 20년, 강현정의 지난 이야기들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에 온 지 20년, 강현정의 지난 이야기들     김명학 | 노들과 함께 하는 사람     저는 노들야학의 김명학입니다. 이 코너는 [노들은 ...
625 2020년 봄 122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한 노들야학 학생 명선의 후원금 / 최민지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한 노들야학 학생 명선의 후원금   최민지 | 노들센터 자립생활주택 담당자 제 소개를 간단히 드릴게요~ 저는 노들센터 활동...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