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최바름

 

 

   작년 금요일 낮마다의 체험 수업이 생각납니다. 매번 새로운 짝꿍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돌아다녔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집에 돌아갈 때면 별로 한 것 없이도 기진맥진해지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그래서인지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길거리에서 우연히 스치는 것도 만남이라면 만남이겠지만, 우리가 만남을 원한다 말할 때에는 그 이상을 바라는 것입니다.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으로써의 만남은 그렇게 흔한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 느낌의 존재에 대해 회의적인 사람도 있습니다. 그것은 친한 친구와 술을 잔뜩 마신다고, 가족과 밥을 먹으며 이야기를 한다고 느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바라본다는 뜻도 아닙니다. 그것은 차라리 딱 붙어있다는 이미지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학생분들과 짝꿍이 되어 손을 잡고 돌아다닐 때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정말로 항상 손을 꼭 잡고 다녀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내가 밀면 학생분들 몸이 움직이고, 학생분들이 끌면 내가 딸려가는 것은 실로 강력한 체험입니다. 나는 별거 아닌 일을 낭만화 하는 게 아닙니다. 만남의 물질적인 증거를 찾은 것에 가깝습니다.

 

   혼자인 게 좋을 때도 있지만, 외로움을 느낄 때도 분명 있습니다. 상대와 내가 같이 있는데도 같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는 공중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느낌입니다. 그곳을 떠나서 어디로 날아 도망가고 싶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노들에서는 내가 연결된다는 걸 압니다. 내 행동이 이들에게 분명 영향을 줍니다. 이들의 행동이 나에게 분명 영향을 줍니다. 서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반응한다는 것은 우리가 만났다는 증거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를 땅에 접지시킵니다. 들다방에서 잠깐 책을 읽고, 사람들을 만나면 그때는 이제 울퉁불퉁한 땅이 느껴지는 겁니다. 멍하게 붕 떠 있는 나를 잡아 확실한 땅 혹은 그 밑으로까지 끌어 내립니다. 단단한 발소리도 들리는 것 같고 휠체어 바퀴 굴러가는 소리도 들리는 것 같고.. 그것은 만질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인 만남입니다. 노들에 오면 공허함을 느끼기 힘듭니다.

 

   체험 수업 특성상 학생분들과 매주 여러 장소를 돌아다녔습니다. 광장시장, 롯데월드, 재난대피훈련장, 한강 유람선 등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경험을 했습니다. 체험수업반이 함께 움직이는 것은 내가 혼자 다닐 때와는 다른 경험입니다. 나를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이 나에게 도달하기 전에 굴절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타인은 나를 똑바로 보아내거나, 계산하는 나의 손에만 시선을 보내거나, 시선을 보내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제 분명한 굴절된 시선들이 느껴집니다. 어떤 때 타인은 내 옆에 아무도 없는 듯 내 얼굴만 쳐다보며 이야기하는데, 그의 말은 분명히 내 옆의 장애인 학생을 통해 굴절되어오는 것입니다.

 

   광장시장에서 나와 짝꿍이 되었던 학생이 귤을 먹고 싶다고 하자 상인분은 저를 보며 값을 부릅니다. 내가 비싼 가격에 놀라자 상인분은 본인이 산다는데 왜 당신이 난리냐고 말합니다. 짝꿍의 흥정 시도는 짝꿍 손에 들린 카드를 거칠게 가져가는 것으로 거절됩니다. 대신에 그 상인분은 주로 나와 대화했습니다. 그러나 그 상인의 시선은 언제나 내 짝꿍을 거쳐서 나에게 온 것입니다.

 

   아마 노들은 세상과의 진정한 만남을 바라는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위의 예처럼 장애인의 강한 존재감과 비가시화가 모순적으로 병존하는 세상에서 그 만남들은 언제나 복잡하게 되고, 어렵게 되고, 만남이라고 부르기 머쓱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도 나는 여전히 그 그것이 무엇일지 알고 싶어서 여기에 있습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44 2020년 봄 122호 -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 천성호 8년 만에 다시 치른 노들 반편성 배치고사   천성호 | 노들야학에서 학생들에게 ‘국어 선생님’으로 불리고, 야학에서 학생들과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
643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 조창길 [노들아 안녕] 내가 살아온 일들   조창길     저는 1972년 3월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6살 때까지 걷지도 말하지도 못하고 지내왔습니다. 부모...
»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 최바름  [노들아 안녕] 상대와 내가 여기에 함께 있다는 느낌   최바름        작년 금요일 낮마다의 체험 수업이 생각납니다. 매번 새로운 짝꿍과 함께 새로운 장소를 ...
641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 유성환 [노들아 안녕] 노들공장 적응기   유성환     안녕하세요 2019년 6월에 노란들판에 입사하게 된 유성환입니다. 저는 우연한 기회에 노란들판을 알게 되어 노들 ...
640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 정성현 [노들아 안녕] ‘제가 하지 못하는 것을 경험하기 위해’   정성현     저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활동가 정성현입니다.   안녕하세요. 늦은 밤 마감을 직전에...
639 2020년 봄 122호 -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제갈진숙  [노들아 안녕] 현실적으로 배우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갈진숙     안녕하세요 !! 저는 센터판에서 막둥이인 제갈진숙이라고 합니다.   저는 고등학교를 졸...
638 2020년 봄 122호 -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겨울 그리고 봄     김명학 /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아직은 차가운 바람이 불지만 그 바람 속에... file
637 2020년 봄 122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 씨앙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중증장애인의 삶을 생생하게 함께 겪는 일       씨앙 | 선배한테 술 한 번 잘못 얻어먹고 연극이라는 세계로 끌려 들어와 한도 끝도 없... file
636 2020년 봄 122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집에만 있지 말고 밖에서 활동 많이 해요 / 추경진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집에만 있지 말고 밖에서 활동 많이 해요 평원재에서 최근 이사한 추경진 활동가 이야기     박미주 | 노들센터 자립옹호팀에서 권익옹호 ...
635 2020년 봄 122호 - 자립생활주택 체험형을 반납하며.. / 최정희 자립생활주택 체험형을 반납하며..     최정희 | 센터판 자립생활주택 체험형 전 코디네이터. 자립생활주택 다형이 될 때까지 인디언 기우제 중인 최정희 활동가...
634 2020년 봄 122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하루 5000원의 삶, 당신은 행복한가요?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하루 5000원의 삶, 당신은 행복한가요?     서기현 |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어머니의 태몽에서 백사로 변해 치맛속(?)으로 들어가 ...
633 2020년 봄 122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우리는 65세 이후에도 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 이형숙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우리는 65세 이후에도 활동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   이형숙 | 노들 하면 권익옹호! 매일 하는 일 없이 바쁘고,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맛이...
632 2020년 봄 122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2019년 아르코미술관 장애인 경사로를 구축하면서..... / 윤천학 [대학로야 같이 놀자] 2019년 아르코미술관 장애인 경사로를 구축하면서.....   윤천학 | 아르코미술관 시설운영 담당자     2019년 5월 7일에 나주에서 서울 아...
631 2020년 봄 122호 - 이제 이사하면 나는 퇴사한다..... / 권민희 이제 이사하면 나는 퇴사한다..... 권민희 | 센터판 활동가이자 사무국장으로 8년째 센터판과 열애중 (센터판과 연애는 이제 그만하고 싶다)     이제 이사대장정...
630 2020년 봄 122호 - [욱하는 女자] 말귀를 못알아듣겠대 말귀를~!!!! / 박세영 [욱하는 女자] 말귀를 못알아듣겠대 말귀를~!!!!   박세영 | 세0. 센터판에서 8년째 재미난 활동을 찾고 있는 유쾌한 분위기를 좋아하는 나름 직설적이고 정신없...
629 2020년 봄 122호 - 노란들판 통합 LT를 다녀와서 / 조석환 노란들판 통합 LT를 다녀와서   조석환 |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인성을 담당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코디 조석환(조인성)     안녕하세요. 동지여러분...
628 2020년 봄 122호 - 우리의 일자리와 몇 가지 질문 / 허신행 우리의 일자리와 몇 가지 질문     허신행 | 사단법인 노란들판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12월부터 장애인일자리 사업 담당으로 노들 법인에서 일하고 있는...
627 2020년 봄 122호 - [노들 책꽂이] 장애는 어떠한 경우에도 손상이다 [노들 책꽂이] 장애는 어떠한 경우에도 손상이다 『철학, 장애를 논하다』(김도현 저, 그린비, 2020)     변재원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초보 활동가. 투쟁의 ...
626 2020년 봄 122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에 온 지 20년, 강현정의 지난 이야기들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에 온 지 20년, 강현정의 지난 이야기들     김명학 | 노들과 함께 하는 사람     저는 노들야학의 김명학입니다. 이 코너는 [노들은 ...
625 2020년 봄 122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한 노들야학 학생 명선의 후원금 / 최민지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한 노들야학 학생 명선의 후원금   최민지 | 노들센터 자립생활주택 담당자 제 소개를 간단히 드릴게요~ 저는 노들센터 활동...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