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습니다. 혐오담론 세미나에 늦게나마 참여해 함께 하고 있습니다.

 

 

노규호1.jpg


2011년 노들야학 인문학 세미나에서 형을 처음 만났다. 그리고 2012, 13, 14년 주말에 활동보조로 형을 만났다. 간혹 빼먹은 적도 있지만 대부분 형을 만나러 갔다. 형을 만났던 그 주말에 나는 공부하고 싶다는 말을 거의 매일같이 들었다.

 

책을 4~5시간 읽고 나면 형은 머리가 아프다고 했다. 형도 나도 이불 위로 뻗었다. 형은 소주를 땄다. 그리고 진지하게 하는 말이 니체, 얘가 진짜 골 때리는 애야. 얘가”, “이것도 좀 읽어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지 되냐였다. 공부하고 싶다는 말은 술 먹자고 하는 말 만큼 자주 들었다. 공부하지 못한 아쉬움의 소리도 자주 들었다. “공부를 해야지. 사람은 공부해야 한다고 하는데 왜 일찍이 공부를 할 수 없었던 거야.”, “(복지관에서는) 진도 못 따라오는 사람은 거들떠도 안 보는 거야. 왜 그런 거야 도대체?”

 

어떤 날은 책 좀 읽자며 책 읽기가 소홀해졌다고 나를 다그친 날이 있었다. 또 한 번은 같이 책 읽자고 높은 해방촌 고개를 휠체어를 타고 땀 흘리며 넘어오기도 했다. 야학의 수업 시간 1시간 전에 만나 미리 책을 읽기도 했다. 물론 매일 책만 보았던 것은 아니었다. 술에 밀린 날도 있었다. 그러나 힘을 냈던 날들이 쌓여 니체나 루쉰의 말을 형의 입에서 듣던 날, 나는 공부든 무슨 일이든 정해진 능력 대신 의욕과 작은 용기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

 

형은 또 이야기를 쓰고 싶다고 했다. 말로 밖에 못하지만 좀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집에 있었을 때 할머니들이 모여 나눈 수다를 이야기로 만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고도 했다. 그렇게 형을 만나는 한 주, 한 주 공부하고 싶다”, “이야기 쓰고 싶다는 주문을 들었다. 그 주문들, 발걸음이 큰 선물로 남아 있다고 형의 귀에 그리고 사람들의 귀에 전하고 싶다.

 

노규호2.jpg


생각하면 같이 지내며 지치고 회의하던 날들도 있었다. 그러다가도 문득 웃음 짓던 날들이 있었다. 평소 1시간을 못 넘기던 글 쓰던 시간이 월드콘을 먹고 4시간 넘게 집중했던 날, 못 할 것 같다던 니체의 구절 암기를 주말마다 연습해 연극으로 올렸던 날, 장애를 낫게 해준다고 하던 교회 단식원에서 안 좋았던 기억을 토로하며 스피노자에 대해 2시간 넘게 같이 이야기한 날, 야학 친구들과 함께 부산에 희망버스를 타고 가서 시위하다 뒤로 빠져 컵라면에 소주 먹던 날, 노동에 대해, 노동문제는 무엇인지 토론했던 날, 형이 내가 만든 퍼포먼스에 막간 출현하려고 비 쫄딱 맞고 온 날, 둘이 소주 먹고 누워 한 줄 시 짓기를 1시간 넘게 했던 날, 무슨 일인지 기억은 안 나지만 잔뜩 우울했을 때 형이 술 사줬던 날.

 

언젠가부터 내 입술은 형을 만나는 수유역에 내리면 힘이 들어갔다. “와봐라”, “그렇지 뭐!” 하는 배짱 같은 것도 나타났다. 나는 그 이유가 동네가 으슥한 탓인가 싶었다. 이제 보니 그 표정은 형한테서 왔다. “해보는 거지, . 내가 한두 번 해보냐.”, “뭘 그렇게까지 걱정하고 사냐? 그렇게 신경 쓰면 피곤해서 못 살어. 내 몸 잘났다 하면서 사는 거지. .”, “내가 대담한 것 같이 보여도 엄청 소심하다. 누나도 시집갔겠다. 야학 다니면서 나도 집 나와 살아볼 수 있겠지. 뭐 그래 본거지.”, “저기요, 저기요, 이것 좀 올려주세요. , 고맙습니다.”, “음식은 흘리면 닦아먹으면 돼. 근데 왜 내가 내 손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을 그만 둬야지 되냐.”

 

형을 만나러 가는 길이면 내가 좋아하던 형의 일부, 그 억세면서도 환히 웃던 표정이 옮겨왔던 것 같다.

 

호식이형! 형이 남긴 그 표정들 이렇게 있네요. 함께 하는 동안 정말 즐거웠어요. 행복했어요. 그리고 약속한 동화 100편 쓰기 남은 97편은 꼭 완성해야 돼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24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220 2016년 여름 108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루쉰이 다시 글을 쓴 이유에 대하여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 file
219 2016년 여름 108호 - 낙산 발정(發程) 낙산 발정(發程)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보고 오는 ... file
218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김필순 | 자연색의 머리카락을 가졌다. 갈색 머리라 흰머리가 덜 보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노들장애... file
21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이승현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남성 자립생활주택 3개월 차 신입 코디네이터 & 활동가.     #1. 드라마 「응답... file
216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추경진 |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현재 평원재에서 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추경진입니다. 저는 1997년에 교... file
215 2016년 여름 108호 -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박정수 | 수유너머에서 오랫동안 밥 먹고 공부하며 생활해왔다. 올해 3월부터 『비마이너』의 프리랜서(!) 기... file
214 2016년 여름 108호 - 노란들판의 꿈 노란들판의 꿈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12일 목요일 오후 7시에 노들장애인야학에서 『노란들판의 꿈』(『그럼에도 불구...
213 2016년 여름 108호 -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최재민 | 탈시설 운동하는 사람이다. 시설에서 생활하다 자립해서 잘사는 경남 누나를 보고 시설 따위는 없애야... file
212 2016년 여름 108호 -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 file
211 2016년 여름 108호 -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서기현 | IT업계의 비장애인들 틈바구니에서 개고생하다 장판에 들어와 굴러먹은 지 어언 15여 년. 현재는 장... file
210 2016년 여름 108호 - 수연 언니 외박기 수연 언니 외박기       김지윤 | 수연 언니 활동보조인, 청솔1반 담임, 낮 수업 강사, ‘아싸클럽’ 및 ‘내 몸 찾기’ 모임 및 ‘노들인문학세미나’ 열혈 회원, 무엇... file
209 2016년 여름 108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강미진 | 요즘은 멍 때릴 시간도 없는, 이래저래 바쁘고 몸이 지쳐있어 다크서클이 턱밑 까지 내려온 ... file
208 2016년 여름 108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남다영 | 노들야학에 다니고 있는 최영은 언니와 일주일에 3일을 함께 지내고 있다. 어린 활동보조인을 찾은 영... file
20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한혜선 오랜만에 국어수업을 맡아 학생들 얘기를 많이 듣는 게 즐겁습니다. 수업시간에 제 말은 좀 더 줄여볼... file
206 2016년 여름 108호 -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박준호 | 전(前) 노들야학 상근자     2014년 4월 16일 아침, 나는 노들장애인야학의 학생 및 교사들과 ... file
205 2016년 여름 108호 -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작년 4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의 낮 수업과 만나 바람이 났습니다. 그...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