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4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이승현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남성 자립생활주택 3개월 차 신입 코디네이터 & 활동가.

 

 

이승현.jpg


#1.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큰 인기와 더불어 이슈의 중심에 섰던 배우들이 꽃보다 청춘이란 프로그램을 통해 아프리카 여행을 떠났다. 그리고 현지에서 다양한 국적의 여행객들과 만나며 들었던 단어를 시청자들과 공유했다. YOLO. You Only Live Once의 약자, ‘당신의 인생은 오직 한 번뿐입니다라는 뜻. 우리는 모두 눈을 감는 행위로 하루를 마무리하고, 눈을 뜨는 행위로 하루를 시작한다. 날마다 주어지는 이 하루가 마치 당연한 것처럼. 어쩌면 아침에 눈을 뜬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우리의 삶 자체를 우리 자신이 스스로 선택하지 않은 것처럼 말이다.

 

#2. 나는 16, 중학교 3학년 수학여행 때 장애인과의 첫 조우를 경험했다. 흔한 수학여행지인 청소년수련원이나 경주 등이 아닌 충북 음성 꽃동네로 갔던 터라, 좋든 싫든 23일을 장애인들과 함께 보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다른 친구들이 두려움과 어색함으로 그 시간들을 보냈던 것과 다르게, 난 그들과 함께 식사를 준비하고 게임을 하며 다르다는 것이 틀린 것은 아님을 배워갔던 것 같다. 그렇게 우리의 관계는 시작되었다.

 

#3. 본래 나의 전공은 화학이었다. 그러나 진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을 하던 중, 나라는 존재가 가장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사회복지를 오랜 방황 끝에 다시 선택하게 되었다. 10년 만에 학부를 졸업하고 사회복지의 수많은 분야 중 장애인복지를 선택했다. 그리고 지금은 노들에 있다. 노들에서 나의 활동은 자립생활주택 코디네이터의 역할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학창시절 복지관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무언가 도와주어야 하는 대상으로서 장애인을 대하던 접근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나는 이제 장애인의 권리를 찾기 위해 함께 싸워야 하는 위치에 있고, 현재의 이 상황이 여전히 조금 낯설다. 세달 여 간의 시간, 나는 그 사이 전경에게 둘러싸여 천막을 지켜야 했고, 시청과 구청 앞 그리고 길거리에서 팔뚝질을 하며 구호를 외쳐야 했으며, 빌딩 지하 강당에서 잠을 청하였다. 누군가에게는 일상이었지 모를 일이 나에게는 낯선 꿈과 같았다.

 

#4. 하지 않는 것보다 하는 게 낫다. 아니 해야만 한다. 길지 않은 시간 노들에서 활동을 하며 든 생각이다. 세상은 장애인의 인권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장애인을 자신들과는 다른 존재로 여기며 사회의 낙오자로 낙인을 찍는다. 세상과의 소통은 보이지 않는 벽으로 막혀있다. 우리의 끊임없는 외침이 우물 안 메아리에 그칠지라도, 잠시 목을 축이려 들른 나그네의 귀에는 들릴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욱 더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YOLO, 한 번 뿐인 인생. 천천히 함께 걸어가고 싶다. 누구나 평등한, 누구나 동등한. 조금은 느릴지라도 조금은 돌아갈 지라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227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224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223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220 2016년 여름 108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고병권의 비마이너] 희망 없는 인문학 루쉰이 다시 글을 쓴 이유에 대하여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 file
219 2016년 여름 108호 - 낙산 발정(發程) 낙산 발정(發程)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보고 오는 ... file
218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활동하는’ 필순입니다       김필순 | 자연색의 머리카락을 가졌다. 갈색 머리라 흰머리가 덜 보일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노들장애...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노들아 안녕] You Only Live Once!       이승현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남성 자립생활주택 3개월 차 신입 코디네이터 & 활동가.     #1. 드라마 「응답...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