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삶의 동반자

 

 

 

박은영 | 활동보조인 일을 시작한지 이제 만 1년이 되어가는 초심자 활동보조인. 산행을 좋아하고 가끔씩 친구들과 카페에서 만나 차를 마시며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나누는 일을 즐긴다.


박은영.jpg

 

나는 13녀를 둔 가장으로, 지방에서 입시학원을 운영하다가 자녀들 교육 문제로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다. 이사를 와서도 지방에서 하던 일을 계속했지만 운영이 어려워졌고, 둘째와 셋째가 대학생이 되자 집안 재정은 더욱 압박을 받았다.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돌파구를 찾다가, 20151월에 요양보호사 학원에 등록하여 실습 과정까지 마치고 시험을 본 후 결과를 기다리게 되었다. 그런데 내 사정을 잘 아는 친구의 권유로 다시 노들 활동보조인교육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4월 초부터 이용자 두 사람과 실습을 하고 나서, 4월 말부터 지금의 이용자와 본격적으로 활동보조인 일을 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이번 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하차하실 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지하철 안내 방송을 들으면, 그저 , 보폭을 좀 크게 해야지라고만 생각을 하던 나였다. 그러나 이제는 수동휠체어의 방향을 반대로 돌려서 이용자와 함께 뒤로 내리는 것이 익숙하게 되었다. 또 지하철 역사를 다닐 때 계단이 있으면 계단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면 에스컬레이터로 별 생각 없이 이동했는데, 이제는 승강기의 위치가 역마다 어느 쪽에 있는지 찾는 일에도 익숙해졌다. 장애인의 일상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 채 50년 넘게 살아왔던 내가, 이제는 장애인의 일상에 가장 가까운 곳에 서 있게 된 것이다.


갑자기 닥친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일을 시작하면서도, 사람 사는 일인데 부딪쳐보면 별 어려움 없이 얼추 해내겠지 생각을 했다. 그러나 장애인과 함께 다니다보니 전에는 겪지 못한 돌발적인 위험 상황이 종종 발생해 늘 긴장이 되었고, 일하는 요령도 부족해서 처음에는 피로감이 누적되어 갔다. 이용자도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일을 시작해 업무를 배우는 과정이어서, 우리는 같은 초심자의 처지에서 서로 웃고 고민하며 하루가 어떻게 가는 줄 모르고 지난해를 보냈다. 특히 작년 4분기 때는 박근혜 정부의 복지 축소에 반대하는 투쟁으로 집회 현장도 함께 다니면서 정말이지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낸 것 같다.


학창 시절에 정의는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 돌려주는 것이라고 배웠다. 그러고 보면 노동자에겐 노동자의 몫을, 장애인에게는 장애인의 몫을 돌려줘야 정의가 바로 서는 것일 텐데, 우리 사회에서는 그 일이 그렇게 어려운가 보다. 이 사회가 역지사지의 정신으로 서로를 배려하는 풍토와 제도가 정착되길 바라본다. 또 이기적이고 똑똑한 척 하지만 실상은 불행하게 사는 사람보다, 행복한 바보가 더 많아지는 세상을 개인적으로 바라본다. 그렇게 되면 우리 활동보조인의 생활도 더 보람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조금 엉뚱한 것도 같지만, 문득 이솝 우화 한 토막이 생각난다. 노새 두 마리가 소금을 지고 가다가 그 중 한 마리가 물에 빠졌고, 그러자 소금이 물에 녹아 짐이 가벼워졌다. 그 노새는 솜을 지고 갈 때도 짐을 가볍게 할 요량으로 물에 일부러 빠졌는데, 오히려 물 먹은 솜 때문에 짐이 무거워져 갖은 고생을 하게 된다. 나는 활동보조 일을 하는 동안, 그냥 다른 한 마리의 노새처럼 소금이 주어지면 소금을 솜이 주어지면 솜을 성실히 지고 가고 싶다. 내 편함과 이익을 위해 요령을 피우지 않고.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서로 남남의 존재로 만나게 되지만, 서로 먼저 배려하는 마음이 있다면 얼마든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삶의 동반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16년 봄 107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삶의 동반자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삶의 동반자       박은영 | 활동보조인 일을 시작한지 이제 만 1년이 되어가는 초심자 활동보조인. 산행을 좋아... file
183 2016년 봄 107호 - 삼성의 폭력과 착각 삼성의 폭력과 착각 “내 30대 인생을 빼앗아간 삼성, 그들에게 무릎 꿇고 보상받지 않겠다.”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 위한 농성, 한혜경․김시녀 모녀를 만나다    ... file
182 2016년 봄 107호 - 당신들의 평화 당신들의 평화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다. 도서관에 앉아 ... file
181 2016년 봄 107호 - 노들야학에서 만난 세월호 사람들 노들야학에서 만난 세월호 사람들 2016년 1월 26일, 416세월호와 노들야학 집담회       김유미 | 야학 급식과 낙산 산책을 좋아한다. 야학을 휴직하고 몸보신하... file
180 2016년 봄 107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누구를 위한 편의시설인가요? [대학로야 같이 놀자] 누구를 위한 편의시설인가요? 2015년 종로구 편의시설 모니터링과 전시회를 마치고       송무림 | (사)노들 소속 활동가이며, 응급알림e, ... file
179 2016년 봄 107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공무원 인권교육을 다녀와서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공무원 인권교육을 다녀와서       김동림 | 석암재단(현 프리웰)에서 운영하는 시설에서 오랫동안 생활하다 2009년에 자립한 탈시설 7년... file
178 2016년 봄 107호 - 나는야 여러분의 친구, 야마가타 트윅스터~ 나는야 여러분의 친구, 야마가타 트윅스터~       한받 | 자립음악가. 야마가타 트윅스터라는 이름으로 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두리반에 연대한 이후 거리로 내... file
177 2016년 봄 107호 - 우리는 누구일까요? 우리는 누구일까요?       이정훈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에서 활동한지 8개월 째 접어든 장애인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슨 욕을 먹더라도 해야 ... file
176 2016년 봄 107호 -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이 함께 살기위한 장애등급제․... file
175 2016년 봄 107호 -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김종환 | 1989년 결성된 성남지역 노동자 노래모임 ‘아우성’의 멤버였고, 이후 전국장애인한가족협회 노래패 ‘노둣돌’, ‘장애... file
174 2016년 봄 10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알고 보니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 file
173 2016년 봄 107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Oh Sung Choy,감광국,강경완,강귀화,강문형,강미진,강병완,강복원,강성윤,강수혜,강영...
172 2015년 겨울 10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내년에는 책을 많이 읽어보려고 하는데요. 읽기 순서 1,2위를 다투는 책으로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프란츠 파농이라는 사람의 책이고, ...
171 2015년 겨울 106호 -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서둘러, 사납게, 따로 X 천천히, 즐겁게, 함께 O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지난 4월의 어느 날 노들의 낮 ... file
170 2015년 겨울 106호 - [교단일기]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 교단일기 】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임영희 | 동건이랑 유리랑 살고 있음. 뽀뽀와도 곧 함께 살게 될 예정. 이 사람 저 사람 다 살기 좋은 세상... file
169 2015년 겨울 106호 -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일본 피플퍼스트 대회 참가기 김유미 | 노들야학에서 일하며 노들바람을 만든다. 장애인운동에 기웃대며 십년을 보냈는데 요즘... file
168 2015년 겨울 106호 -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2015년 노란들판의 꿈 이야기 니(you)! 나(me)! 노(노란들판)!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김진수 | 야학교사 진수입니... file
167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종로노들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 종로 노들 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김문주 | 저는 노들센터 김문주 활동가입니다. 노들센터에서 권익옹와 자립생활팀 ... file
166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의료는 인권이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 의료는 인권이다! 장애인주치의제도 실현을 위한 시민한마당 박누리 | 노들 법인 소속으로 노들야학 교사를 하고 있는 누리입니... file
165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셋]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 2 0 1 5 노 란 들 판 의 꿈 - 셋 】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학생 글 발표 ‘노란들판에서 자라는 꿈’ 가나 | 야학에서 세 학기 째 국어수업을 하고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