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진수 | 언제부턴가 소나기에 발 젖는 걸 좋아 한다.

 

호프1.jpg

 

6시가 되자 소낙비가 내렸다. 후원주점이 가장 바쁜 시간에 눈치 없이 하늘은 비를 쏟았다.

두두두두 떨어지는 빗소리는 이제 막 끝난 쿨레칸과 야마가타트윅스터의 공연처럼 리듬있고 힘찼다. 비를 보자 후원 주점 준비팀들은 바쁘게 콘센트를 확인 하고 조리대를 천막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옮겼다. 테이블에 앉은 손님들은 내리는 비를 보거나, 준비팀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걱정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비는 쉬이 그치지 않고 30분을 더 내렸다. 내리는 비는 주방 천막 지붕에 쌓여 지붕 가운데를 둥그렇게 가라 앉혔다. 몇 몇 사람들은 손을 하늘로 뻗어 천막 지붕위의 빗물을 바깥으로 떨어트렸다. 떨어트린 비를 맞은 다른 몇 몇 사람들은 ! 차가워!’ 하며 깡총깡총 뛰었다. 발이 젖자, 사람들은 걱정스러운 표정 대신에 얼굴에 웃음을 띄기 시작했다. 아마도 비를 받아드리기 시작하는 순간은 발이 젖는 순간부터 이리라. ‘후원주점에 비라니, 게다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오는 시간에 비라니...’ 마음속에 이런 부정적인 생각이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순간, 비에 발이 젖은 사람들의 웃음 띤 얼굴이 보였다. 비에 젖은 사람들은 후원주점이고 뭐고 다같이 비맞고 놉시다!’라고 흥을 돋거나, 천막 지붕에 있는 빗물을 지붕 아래 있는 사람 몰래 떨어트려 놀래 키며 장난을 쳤다. 그 모습을 본 사람들은 다 같이 소리 내어 웃었다. 그러자 내 맘속에 있던 생각들은 ~ 비내리는 후원 주점이라니, 이 많은 사람들과 함께 비를 맞다니!’로 바뀌었다. 그 순간, 내 발도 어느새 비에 젖어있었고, 내 얼굴도 웃음에 젖어있었다.

 

호프2.jpg

 

 

7시에 눈을 떴다. 너무 일러 다시 자고 눈을 떠 보니 8. 후원 마당 준비팀장을 맡은 나는 9시까지 야학에 가서 천막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서둘러 따릉이를 타고 야학으로 향했다. 마로니에 공원 앞에 따릉이를 세우고 핸드폰을 확인 했는데, 주머니고 가방이고, 핸드폰이 없다. 따릉이를 타도 나지 않았던 땀이 한꺼번에 몸을 적셨다. 후원마당 팀장이 핸드폰이 없이 후원마당을 진행해야 한다면... 등골이 오싹 했다. 왔던 길을 짚어 가며 핸드폰을 찾았다. 다행히도 핸드폰은 은행 씨디기 위에 있었다. 이런, 후원마당의 시작이 불길하다... 

 

후원마당 준비팀들이 모이는 시간은 10. 시간이 되자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후원마당노동시간은 10시부터 10시까지 총 12시간. 뒤풀이 까지 노동으로 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렇다면, 10시부터 다음날 아침까지를 더해, 누군가에겐 12시간 또 누군가에겐 24시간의 노동이 기다린다. 준비팀은 서빙팀과 주방팀으로 나눠 일을 한다. 서빙팀은 노들 주차장에 테이블과 의자를 깔고, 테이블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테이블 마다 번호를 매기고 테이블의 위치를 표시해 놓은 지도를 그려 사람들이 잘 볼 수 있는 벽에 붙여 놓는다. 테이블 세팅이 끝나면 서빙팀장이 서빙팀들을 모아놓고 서빙메뉴얼과 그날의 주의 사항에 대해 설명 한다. 자 이제 끝. 시작은 1. 그때까지 쉬어야 한다. 오늘만큼은 쉼은 금이다!

주방팀은 주방테이블을 후원마당 한 켠에 세팅하고, 2층과 4층에 나눠 있는 후원 주점 준비물품들을 주방 테이블에 갖다 놔야 한다. 물품 이동이 끝나면, 주방팀장이 각 메뉴의 레시피에 대해 공지한다. 이번 후원주점 메뉴는 과일안주부터, 도토리묵, 소세지, 닭강정, 비건 얌운센, 먹태, 피자, 간재미무침, 궁중족발, 비건브라우니까지 무려 총 10, 각 메뉴를 맡은 팀들은 레시피를 숙지하고 하루종일 안주를 만드는데, 그 중에 불앞에서 계속 만들어야 하는 소시지담당은 그 해 후원마당의 고생 아이콘이 된다. 올해 소시지 담당은 박00교사와 정00교사였다. 두 분 고생 많으셨다고 <노들바람> 지면을 빌려 한 번 더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1시가 됐다. ‘~후원주점 시작 합니다.’ 라는 말을 외치고 후원인을 받는다. 이제부터 본격적인 노동의 시작. 후원 마당이 마무리 되는 10시까지 정신없이 후원인을 맞이한다. 그렇게 후원주점의 일은 일하고 일하고 일하고 일하다 모두 하나()가 되는 일이고, 노동에 노동에 노동을 하다, 나중엔 NO~()을 외치는 일이라고 할까. 아무튼 그렇게 시간이 흘러 다시 630. 그로부터 비는 내 발이 젖은 그 시간 후로 30분이 더 지나고 나서야 그쳤다. 그 후의 이야기는 예상하듯 혹은 예상과는 다르게 끝이 났다. 그러니까 예상한 것처럼 다음날 아침에 해장국을 먹고 후원주점을 마무리 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는 것과, 아침의 예상과는 다르게 후원주점은 성황리에 잘 마쳤다는 것이다.

 

호프3.jpg

 

 

비와 당신이라는 노래 가사와는 다르게, 비는 내렸지만 그날 내린 비처럼 당신은 왔다. 당신이 없었다면 노들야학 후원마당은 없었을 것이고, 노들에서 함께 먹는 급식은 어려워졌을 것이다. 600명이 넘는 인원과 단체에서 후원금을 보태주셨고, 당일 행사엔 100명이 넘는 인원이 후원주점일을 함께 했다. 비와 함께 온 당신께 그날 말 하지 못 한 참으로 고마운 마음을 이 글을 빌려 전한다.

 

 

노들야학 후원마당에 와주셔서 그리고 함께 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596 2019년 겨울 12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명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
59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lt;노들바람&gt; 편집인 석암재단이 운영하는 베데스다요양원에 살던 이들이 시설 내부의 비리를 폭로하고, 시설 권력에 문제 제기하는 ... file
594 2019년 가을 120호 -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 장선정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당신이 잘 계시다면 잘 되었네요. 나는 잘 지냅니다. Si vales bene est, ego valeo -&lt;라틴...
593 2019년 가을 12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 file
592 2019년 가을 120호 -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 노들 편집위원회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lt;여러분의 궁금증을 팩트체크 해보았습니다.&gt;     노들 편집위원회         축하해!!             갑... file
591 2019년 가을 120호 -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노들 편집위원회           ‘2009 임소연’ 임소연에게 이야기를 청하자, 자신이 2009년에 ... file
590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 명희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명희 | 애쓰며 삽니다.      8/12(월) 기옥과 용남네 집에서 명희가 만났습니다. 인터뷰의... file
589 2019년 가을 120호 -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 노들 편집위원회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마치고, 7월 13일 석암비대위 황정용 님이 유명을 달리했습... file
588 2019년 가을 120호 -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 홍은전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홍은전 | 노들야학 휴직교사입니다. 노들야학 스무해 이야기 &lt;노란들판의 꿈&gt;을 썼고요, 그 책을 쓴 덕분에 이러저러한 인권 기록... file
587 2019년 가을 120호 -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 박미주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박미주     이제는 나에게 너무 익숙한 이름이 돼버린 언니를 처음 만난 건, 2019년 5월, 지금으로부... file
586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 박경인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박경인 | 노들야학 학생입니다.     저는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26살 박경인입니다. 저는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에게 버... file
58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 박상빈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박상빈 | 사회적 기준에 따른 삶을 살다가 가치관이 변해 대안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현재 노들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면... file
584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 박영일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박영일       나는 1998년 4월 17일 오전 9시 57분 인천 남동공단 내에 있는 한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250T 프레스라... file
583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 한예인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노란색이 ... file
582 2019년 가을 120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 정지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정지원     나는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할 시간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 file
581 2019년 가을 120호 - [교단일기] '선'과 '속도' / 충근 [교단일기] ‘선’과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 file
580 2019년 가을 120호 -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 소영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소영 | 쿨레칸 프로듀서로 5년째 일하고 있다. 인생은 알 수 없는 수수께끼로 이뤄져 있다. 춤알못인 내가... file
579 2019년 가을 120호 - 형님 한 말씀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노들야학 후원님들께. 안녕하세요. 2019년 노들야학 무상급식 후원님들 덕분에 좋은 성과로 잘 ... file
» 2019년 가을 120호 -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 진수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진수 | 언제부턴가 소나기에 발 젖는 걸 좋아 한다.     6시가 되자 소낙비가 내렸다. 후원주점이 가장 바쁜 시간... file
577 2019년 가을 120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 박정숙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으로 고졸 검정고시 준비하며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입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