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김포에도
장애인야학이
생겼습니다!

 

조은별 | 할 수 있는 것을 해보자! 라고 생각하는 도전 의식이 많습니다. 내가 머무는 곳에서 활동하고 싶어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활동하며 숭실대학교 총여학생회 활동도 했다가, 전장연에서 특판 전문 요원으로 활동했다가 지금은 김포에 살고 있기 때문에 김포센터에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사회에서 배제당하고 소외된 사람들이 수용시설에 갇히는 것을 반대하고 누구나 지역사회에 나와서 당당히 살 세상을 꿈꿉니다.

 

안녕하세요. 김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한 지도 벌써 6개월이 넘었습니다. 그간 김포 지역에서도 아주 큰 변화가 생겼는데요. 제가 그 소식을 전하려 합니다.

김포에는 최근 3, 4년간 탈시설해 자립생활하는 장애인들이 엄청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가 있습니다. 2008년에 김포에 있던 ‘석암재단’ 산하 장애인거주시설에서 비리횡령, 인권침해 사건이 터졌습니다. 거주하던 사람들이 시설에서 못살겠다며 무작정 탈시설해 마로니에공원에서 농성했습니다. 김포는 그렇게 인연이 되어 장애인자립생활센터도 만들고 먼저 탈시설한 사람들이 김포에 있는 시설에 꾸준히 방문하고, 자립을 함께 준비했습니다.

이런 삶의 투쟁으로 탈시설한 장애인들이 이제 10명을 넘었습니다. 지역사회로 나와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참 좋은데, 우리에게는 고민이 있었습니다. 산 좋고 물 좋은 수용시설에서 나와 자신의 집을 가지고 사는 것은 참 좋았지만, 한글을 몰라 버스를 탈 수도 없고, 숫자를 몰라 아파트 엘리베이터도 조작할 수 없고, 슈퍼 가서 물건을 사는 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교육의 기회를 누리지 못했다는 것은, 자신이 지내던 삶 바깥의 것을 배우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시설 밖의 삶을 상상할 수 없었듯, 저상버스가 있는지도, 장애인콜택시가 있는지도, 김포시를 벗어나 서울로 가면 지하철이 있는지도, 반대로 강화도로 들어가면 아름다운 강산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없는 일인 거지요. 어느 곳을 가야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지, 영화를 보는 방법은 무엇인지, 너무나 궁금하지만 하나부터 열까지 해결할 수 없는 답답함도요.

교육은 힘이 있습니다. 한 사람의 일상을 만들고, 바꿔가고, 삶을 그려내는 힘을 줍니다. 언젠가부터 노
들야학에서 수업을 하며, 노들야학 학생들은 무엇이든 잘하는 척척박사인 줄만 알았습니다. ‘오전 10시 기자회견이 있어요.’라고 공지가 되면, 다들 전동휠체어로 삐빅 움직여 가고, 밤 10시까지 수업을 버티던(?) 천하무적 척척박사들.

김포야학에서는, 저녁 7시에 야구를 보러 가자고 하는 것도 늦어서 안 된다고 하는 사람들을 보며 우리
척척박사님들 생각이 많이 났습니다. 아침도 시간 내기가 어렵고, 저녁도 시간 내기가 어려우면 우리는 언제 공부하고 일상의 혁명을 할 수 있을까, 속상도 하고요.

그러다 문득, 노들야학의 척척박사들도 처음부터 그런 건 아니었겠다는 생각에 도달했습니다. 노들에서
도 집에 일찍 가고 싶어 하는 사람도 무진장 많고, 아침에 못 나온다는 사람들도 무지 많습니다. 그럼에도 이 박사님들과 함께하려는 노들의 이 악물음이 여기까지 온 거겠지요.

김포야학에는 아직, 초등학교 졸업장을 가진 사람들이 거의 없습니다. 손에 꼽히지요. 두 명쯤 될까요? 그러니 이제 기역, 니은, 디귿부터 1, 2, 3, 4를 합니다. 야학을 함께하는 재미난 사람들의 모습을 영상으로라도 보여주고 싶은데 안타깝네요.

김포야학이 많이 궁금하시면 꼭 놀러오세요. 야학하려고 엄청 큰 공간도 얻었습니다. 이전 개소식은 8
월 말에 하고요. 야학의 운영비 마련을 위한 후원주점도 합니다.

 

김포야학 후원주점 홍보 이미지

 

김포야학으로 놀러오세요~!

이전 개소식 8월 31일(목) 오후 2시
후원주점 9월 15일(금) 13시~22시
장 소 김포시 사우동 877번지 밀레니엄프라자 5층
후원계좌 농협 301-0158-5310-11 (경기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김포시)
문 의 031)997-64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04 2017년 여름 111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우연히 찾아온 인연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우연히 찾아온 인연- 윤지민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에서 ‘근로지원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윤지민입니다. 좋아하는 것은 낮잠 자기와 ... file
» 2017년 여름 111호 - 김포에도 장애인야학이 생겼습니다!   김포에도 장애인야학이 생겼습니다!   조은별 | 할 수 있는 것을 해보자! 라고 생각하는 도전 의식이 많습니다. 내가 머무는 곳에서 활동하고 싶어 노들장애인... file
302 2017년 여름 111호 - 낭독 모임 '술독'   낭독 모임 '술독' 최한별 | 노들야학 음악반 교사이자 비마이너 기자입니다. 늘 서두르기만 해서 요즘엔 좀 느긋해지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한별 쌤, 같...
301 2017년 여름 111호 - 노들장애학궁리소, 너는 내 운명 노들장애학궁리소, 너는 내 운명 '푸코와 장애, 그리고 통치',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세미나 참여 소회 한낱 | 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동료들의 은혜... file
300 2017년 여름 111호 - 노들에서 생각해본 <연극의 3요소>   노들에서 생각해본 &lt;연극의 3요소&gt; 권은영 | 신재. 2015년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를 했었고 프로젝트팀 0set으로 연극/공연 작업을 하고 있음     프로젝트팀 :... file
299 2017년 여름 11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7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강남훈•강문형•강병완•강복원•강복현•강성윤•강수혜•강영미•... file
298 2017년 봄 11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01 제주도 곶자왈에서 본 나무와 돌들이 종종 떠오릅니다. 구멍이 송송송 뚫린 돌 사이로 뿌리를 내린 나무, 옆 나무의 몸통에 자기 가지를 돌돌 말아 올라가는... file
297 2017년 봄 110호 - 박근혜는 구속되었지만, 장애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삶은 아직 변한 게 없다   박근혜는 구속되었지만, 장애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삶은 아직 변한 게 없다   박경석 | 노들장애인야학 고장인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로 출세... file
296 2017년 봄 110호 - 지난 겨울 진짜 멋졌던 우리, 촛불들   지난 겨울 진짜 멋졌던 우리, 촛불들 비록 0좀이 생겼지만, ‘값진 승리’다 김필순 | 자꾸 쪼그라진다는 말을 듣지만 얼굴과 몸은 쪼그라져도 마음만은 쪼그라지... file
295 2017년 봄 110호 - [형님 한 말씀] 봄이 오고 있습니다. [형님 한 말씀]           (그림파일 속 글) 봄이 오고 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봄은 이렇게 조용히 왔다가 봄... file
294 2017년 봄 11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 슈퍼맨, 위버멘쉬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 슈퍼맨, 위버멘쉬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file
293 2017년 봄 110호 - 혁명의 시작!   혁명의 시작! 2017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조현수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달리기와 등산을 좋아하고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한다. 글쓰... file
292 2017년 봄 110호 - [장판 핫이슈] 한국사회가 만든 복지 참사, 희망원   [장판 핫이슈] 한국사회가 만든 복지 참사, 희망원 ‘희망원’을 만든 자들이 이제 희망원 참사를 해결하라 전근배 |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준)에서 활동하고 ... file
291 2017년 봄 110호 - R전동 2017년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 R전동 2017년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 윤경 |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4월 20일은? 네 장애인의 날이 아닙니다.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이지요. 이 글을 읽... file
290 2017년 봄 110호 - 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 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   나라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활동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개인 대의원. 차별에 맞서 저항하고, 연대하는 사람들과 함께할... file
289 2017년 봄 110호 - 너를 보고 싶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너를 보고 싶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민아영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자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활동가입니다. 목 디스크에 살짝 걸린 것 같아 베개를 바꿨... file
288 2017년 봄 110호 - <묻지마 흥신소-광화문 불나방> 제작기   &lt;묻지마 흥신소-광화문 불나방&gt; 제작기 연출자와 똥싸네21 기자의 인터뷰 자문자답 정민구 | 이래도 되나 싶게 꿀 떨어지는 쉼을 갖고 있는 민구예요.   안녕하... file
287 2017년 봄 110호 - 인간 존재 선언, 2017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특집] 인간 존재 선언, 2017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사회보장위원회 건물 외벽에 쓰인 붉은 글씨 ‘나 박경석, 개가 아니라 인간이다.’ 강혜민 | 비마이너... file
286 2017년 봄 110호 - <나, 추경진> 아이들에게 부양의무 책임을 지울 수 없다 ‘다니엘 블레이크’들의 외침, 첫 번째 나, 추경진. 아이들에게 부양의무 책임을 지울 수 없다 추경진 | 바깥세상에서 지지고 볶고 그렇게 살고 싶어 탈시설한 추... file
285 2017년 봄 110호 - <나, 조은별> 첫 월급을 받자, 가족을 책임지라고 합니다   ‘다니엘 블레이크’들의 외침, 두 번째 나, 조은별. 첫 월급을 받자, 가족을 책임지라고 합니다   조은별 |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드는 선별적 복지제도를 반대합...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