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2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낭독 모임 '술독'


최한별 | 노들야학 음악반 교사이자 비마이너 기자입니다. 늘 서두르기만 해서 요즘엔 좀 느긋해지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한별 쌤, 같이 낭독모임 하지 않을래요?"
지난해 봄, 교사회의를 위해 야학을 찾은 나에게 연극반 미진 쌤이 물어왔다. 야학 교사를 시작하고 그럭저럭 한 학기가 다 되어갈 즈음이었다. 변수가 많은 취재일 때문에 야학의 많은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고, 학교 다닐 때 국어 읽기가 걸리면(?) 묘하게 설렜던 기억에 덥석 고개를 끄덕였다.


낭독모임은 미진의 오랜 구상이 실현된 것이었다. 미진은 연극 수업을 하면서 학생분들이 다양한 이야기에 얼마나 목말라 하는지 알게 되었고, 자신이 알고 있는 희곡의 매력을 학생들과 공유하고 싶은 욕구도 있었다고 했다.


첫 모임에 가보니 사람이 꽤 많았다. 진수, 정민, 여의, 임당, 가비, 건우, 거기에 미진의 친구인 진석, 장웅까지. 당시 나는 야학 교사들과도 별로 친분이 없는 상황이었고 외부에서 오신 손님들도 있어서 좀 어색했지만, 우리 뭐 할까요? 하는 질문에 의견이 오가다보니 점점 신이 났다. 와, 이 사람들 말하는 거 되게 좋아해! 그땐 몰랐다. 우리가 만들어내게 될 색이 얼마나 다채로울지. 내가 그 색에 얼마나 매료될지.


우리의 첫 작품은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이었다. 나는 두 남성의 사랑을 받다가 요정들의 실수로 하룻밤 만에 천덕꾸러기(!)로 전락하는 허미아 역을 맡게 되었다. 허미아가 되어 다른 등장인물들과 대사를 주고받다보니 점점 허미아의 입장에 빠져드는 것이 느껴졌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는데, 서로가 서로의 자극제가 되었던 것 같다. 미진의 포스 넘치는 디렉션은 이 열기에 기름을 부었다.

두 번째 작품은 안톤 체홉의 『갈매기』였는데, 첫 작품과 사뭇 다른 분위기에 연출이 더해져 사뭇 긴장된 마음으로 임했다. 하지만 많은 학생분들이 오시지 못해서 너무 아쉬웠다. 다음엔 홍보도 더 열심히 하고 학생분들과 더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하기로 했다.

제일 재밌고 도움이 많이 되었던 연습은 '잘' 읽기 위한 연습이 아니라 내가 맡은 인물이 다른 인물들과 과거에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을지, 그 역사가 다른 사람들에 대한 태도와 허미아의 성격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었다. 내가 설득이 되어야 듣는 사람도 몰입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희곡 낭독은 혼자 잘 읽으면 되는 행위가 아니었다. 우선은 내가 담당한 인물과 깊이 있게 대화를 나눠야 하고, 다음으로는 다른 인물들과 또 대화를 나눈다. 그리고 이 대화가 무대 위에서 관객과의 대화로 또다시 이어진다. 밖으로 드러내기도 하지만, 잘 드러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 안으로 들어가 나를 잘 들여다봐야 한다. 안과 밖, 수직과 수평 온갖 방향으로 에너지가 오가는 이 어마어마하게 동적인 행위! 이 다이내믹한 낭독의 세계를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싶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언제든 술독(책을 펴서 술술 읽는 모임이라는 뜻이지만 술독에 빠진 모임이라고 오해하셔도 될 것 같다)의 문을 두드려 주시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04 2017년 여름 111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우연히 찾아온 인연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우연히 찾아온 인연- 윤지민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에서 ‘근로지원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윤지민입니다. 좋아하는 것은 낮잠 자기와 ... file
303 2017년 여름 111호 - 김포에도 장애인야학이 생겼습니다!   김포에도 장애인야학이 생겼습니다!   조은별 | 할 수 있는 것을 해보자! 라고 생각하는 도전 의식이 많습니다. 내가 머무는 곳에서 활동하고 싶어 노들장애인... file
» 2017년 여름 111호 - 낭독 모임 '술독'   낭독 모임 '술독' 최한별 | 노들야학 음악반 교사이자 비마이너 기자입니다. 늘 서두르기만 해서 요즘엔 좀 느긋해지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한별 쌤, 같...
301 2017년 여름 111호 - 노들장애학궁리소, 너는 내 운명 노들장애학궁리소, 너는 내 운명 '푸코와 장애, 그리고 통치',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세미나 참여 소회 한낱 | 인권교육센터 ‘들’ 상임활동가, 동료들의 은혜... file
300 2017년 여름 111호 - 노들에서 생각해본 <연극의 3요소>   노들에서 생각해본 &lt;연극의 3요소&gt; 권은영 | 신재. 2015년에 노들장애인야학 교사를 했었고 프로젝트팀 0set으로 연극/공연 작업을 하고 있음     프로젝트팀 :... file
299 2017년 여름 11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7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강남훈•강문형•강병완•강복원•강복현•강성윤•강수혜•강영미•... file
298 2017년 봄 11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01 제주도 곶자왈에서 본 나무와 돌들이 종종 떠오릅니다. 구멍이 송송송 뚫린 돌 사이로 뿌리를 내린 나무, 옆 나무의 몸통에 자기 가지를 돌돌 말아 올라가는... file
297 2017년 봄 110호 - 박근혜는 구속되었지만, 장애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삶은 아직 변한 게 없다   박근혜는 구속되었지만, 장애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삶은 아직 변한 게 없다   박경석 | 노들장애인야학 고장인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로 출세... file
296 2017년 봄 110호 - 지난 겨울 진짜 멋졌던 우리, 촛불들   지난 겨울 진짜 멋졌던 우리, 촛불들 비록 0좀이 생겼지만, ‘값진 승리’다 김필순 | 자꾸 쪼그라진다는 말을 듣지만 얼굴과 몸은 쪼그라져도 마음만은 쪼그라지... file
295 2017년 봄 110호 - [형님 한 말씀] 봄이 오고 있습니다. [형님 한 말씀]           (그림파일 속 글) 봄이 오고 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봄이 오고 있습니다. 봄은 이렇게 조용히 왔다가 봄... file
294 2017년 봄 11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 슈퍼맨, 위버멘쉬   [고병권의 비마이너] 장애인, 슈퍼맨, 위버멘쉬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file
293 2017년 봄 110호 - 혁명의 시작!   혁명의 시작! 2017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조현수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달리기와 등산을 좋아하고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한다. 글쓰... file
292 2017년 봄 110호 - [장판 핫이슈] 한국사회가 만든 복지 참사, 희망원   [장판 핫이슈] 한국사회가 만든 복지 참사, 희망원 ‘희망원’을 만든 자들이 이제 희망원 참사를 해결하라 전근배 |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준)에서 활동하고 ... file
291 2017년 봄 110호 - R전동 2017년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 R전동 2017년 혁명을 외치는 사람들 윤경 |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4월 20일은? 네 장애인의 날이 아닙니다. “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이지요. 이 글을 읽... file
290 2017년 봄 110호 - 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 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   나라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활동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개인 대의원. 차별에 맞서 저항하고, 연대하는 사람들과 함께할... file
289 2017년 봄 110호 - 너를 보고 싶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너를 보고 싶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민아영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이자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활동가입니다. 목 디스크에 살짝 걸린 것 같아 베개를 바꿨... file
288 2017년 봄 110호 - <묻지마 흥신소-광화문 불나방> 제작기   &lt;묻지마 흥신소-광화문 불나방&gt; 제작기 연출자와 똥싸네21 기자의 인터뷰 자문자답 정민구 | 이래도 되나 싶게 꿀 떨어지는 쉼을 갖고 있는 민구예요.   안녕하... file
287 2017년 봄 110호 - 인간 존재 선언, 2017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특집] 인간 존재 선언, 2017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사회보장위원회 건물 외벽에 쓰인 붉은 글씨 ‘나 박경석, 개가 아니라 인간이다.’ 강혜민 | 비마이너... file
286 2017년 봄 110호 - <나, 추경진> 아이들에게 부양의무 책임을 지울 수 없다 ‘다니엘 블레이크’들의 외침, 첫 번째 나, 추경진. 아이들에게 부양의무 책임을 지울 수 없다 추경진 | 바깥세상에서 지지고 볶고 그렇게 살고 싶어 탈시설한 추... file
285 2017년 봄 110호 - <나, 조은별> 첫 월급을 받자, 가족을 책임지라고 합니다   ‘다니엘 블레이크’들의 외침, 두 번째 나, 조은별. 첫 월급을 받자, 가족을 책임지라고 합니다   조은별 |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드는 선별적 복지제도를 반대합...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