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2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한예인_노들아안녕.jpg

 

노란색이 좋아서 노란들판에 들어오고 싶었습니다, 라고 말하면 아무도 안 믿지만 사실입니다. 머리까지 노랗게 물들였는데....

 

노란들판은 활동하던 장애인문화예술단체에서 디자인 업무를 맡아 하던 중 현수막과 배너를 주문하면서 처음 알게 됐습니다. 고객에서 직원까지 이어주는 빨간, 아니 노란 실이 제 손가락에 묶여있는 건 아닐까요. 궁금해서 언젠가 꼭 한 번 가 보고 싶다고 생각했던 곳에 입사할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노란들판의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너른 가을 논이 떠올랐습니다. 그 밭을 어릴 적부터 지키며 자라왔기 때문일까요. 세상 물정 모르고 논밭에서 살아온 시간들을 부정하듯이, 서울 생활은 세상이 얼마나 녹록치 않은지를 순식간에 알게 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서울이란 곳은 저에게 도피처였습니다. 지구가 갈라져도 절대 변하지 않을 것만 같은 답답한 사람들 속에서 나를 해방시켜 줄 불안하고 자유로운 곳이었습니다. 늘 모든 일이 즐겁고 잘 되지 않아도, 이곳에서라면 무얼 하든 온전한 나로서 해낼 수 있을 거란 막연한 기대와 믿음이 있었습니다.

 

노란들판이란 저에게 그런 곳 중 하나입니다. 존재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아도 생각을 말할 수 있는 곳, 서로와 공간을 위한 노력이 무산되지 않는 곳, 틀림과 다름이 구분되는 곳, 함께 배워나가는 것이 당연한 곳. 필요한 만큼 소중해지는 공간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들판은 마냥 평평하지만은 않습니다. 어딘가 돌이 박혀있고, 움푹 패여있고, 풀이 자라거나 물이 고이기도 합니다. 그것을 모두 치우고 메운다고 해서 들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노란색이 좋아서 노란들판에 들어오고 싶었습니다. 왜냐하면 노란색은 저에게 아주 중요하고, 또 제일 좋아하는 색깔이니까요. 색 중에 가장 밝은 것이 노랑이라 하는 만큼 보고 있으면 마음이 환해지고, 따뜻해지고, 즐거워서 힘이 남을 느낍니다. 20193월 처음 출근하던 날, 어쩌면 그 이전부터 노란들판의 공기도 그런 모습이기를 바라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노란들판과 함께한 지 이제 막 5개월이 되어가는 지금, 여전히 노란들판은 노란색으로 가득합니다. 그 노란색이 맑든, 탁하든, 밝든, 어둡든, 노란빛을 잃지 않는다면야 노란색은 노란색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584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 박영일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박영일       나는 1998년 4월 17일 오전 9시 57분 인천 남동공단 내에 있는 한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250T 프레스라... file
»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 한예인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노란색이 ... file
582 2019년 가을 120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 정지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정지원     나는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할 시간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 file
581 2019년 가을 120호 - [교단일기] '선'과 '속도' / 충근 [교단일기] ‘선’과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 file
580 2019년 가을 120호 -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 소영 살아 숨 쉬는 동그라미의 춤판 낮수업 소풍 이야기     소영 | 쿨레칸 프로듀서로 5년째 일하고 있다. 인생은 알 수 없는 수수께끼로 이뤄져 있다. 춤알못인 내가... file
579 2019년 가을 120호 - 형님 한 말씀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노들야학 후원님들께. 안녕하세요. 2019년 노들야학 무상급식 후원님들 덕분에 좋은 성과로 잘 ... file
578 2019년 가을 120호 -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 진수 ‘비와 당신’ 2019년 후원주점 평등한 밥상      진수 | 언제부턴가 소나기에 발 젖는 걸 좋아 한다.     6시가 되자 소낙비가 내렸다. 후원주점이 가장 바쁜 시간... file
577 2019년 가을 120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 박정숙 [대학로야 같이 놀자] 울퉁불퉁 대명 길이 달라졌어요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학생으로 고졸 검정고시 준비하며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입니다...
576 2019년 가을 120호 - ★ 후원 마당 스페셜 후기 ★ ★ 후원 마당 스페셜 후기 ★   후원 마당에 참여 한 많은 분들 중, 노들 단위를 제외한 대표 여섯 분을 만나 봤습니다. 후원 마당에 함께 해 주신 고마운 마음을 ... file
575 2019년 가을 120호 - 저상버스 함께 탑시다! / 최영은 저상버스 함께 탑시다!     최영은 |     올해 노들센터 권익옹호 활동으로 저상버스 타기 캠페인 한다고 해서 휠체어 타고 있는 당사자인 저와 거동이 불편한 장... file
574 2019년 가을 120호 -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고 / 꼬비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를 마치고     꼬비 | 노들센터 꼬비. 인천에서는 영사실 지킴이. 현장기록 활동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활동가 꼬비입니다. 올 ... file
573 2019년 가을 120호 - 서울 인강학교 공립화에 즈음하여 / 이승헌 서울 인강학교 공립화에 즈음하여   이승헌 | 사회복지법인 인강재단 대표이사     인사   자유롭고 평등한 노들장애인야학의 26번째 생일을 축하합니다. 한때 노... file
572 2019년 가을 120호 -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교사 세미나 후기 / 이가연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교사 세미나 후기       이가연 | 고려대학교에서 헌법을 전공하고 있으며, 소수자의 기본권, 그중 장애와 장애여성의 권리에 관심을 가지며...
571 2019년 가을 120호 -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며...... / 김상희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며......     김상희 | 아담한 술집에서 술 마시는 걸 좋아합니다! ㅎㅎ           1. 퀴어문화축제에서 자유를 보다.     지난 6월 1일 서... file
570 2019년 가을 120호 - 故 박종필 2주기 추모포럼, 사회운동 활동가의 건강권을 묻다 / 강혜민 故 박종필 2주기 추모포럼, 사회운동 활동가의 건강권을 묻다      강혜민 | 비마이너 기자. 비마이너 기사로 야학 수업하고 싶어서 시사반 수업을 맡았으나 일정... file
569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 책꽂이] 눈부신 생명의 이야기 / 박준호 [노들 책꽂이] 눈부신 생명의 이야기 <나를 보라, 있는 그대로 - 화상경험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지은이 송효정 박희정 유해정 홍세미 홍은전, 온다프레스   박준... file
568 2019년 가을 120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9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곽상아 (주)머스트자산운용 강남훈 강미자 강미진 강병완 강... file
567 2019년 여름 119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1. 얼마 전, 야학 4층 들다방에서 보았던 낯선 얼굴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열흘 지났을까. 메시지 로 울리는 휴대폰 속에서 그의 ...
566 2019년 여름 11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죽음의 설교자들 / 고병권 [ 고병권의 비마이너 ] 죽음의 설교자들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 file
565 2019년 여름 119호 -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투쟁,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향해 / 김윤영 우리의 일상을 바꾸는 투쟁, 부양의무자기준 폐지를 향해 송파 세모녀 5주기를 맞아   김윤영 빈곤이 아니라 빈민을 철폐하는 세상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빈...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