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단일기]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충근_선과속도.jpg

 

일상에서 만나는 선들은 대부분 직선에 가깝다. 지금 글을 쓰고 있는 책상도, 책상 위의 컴퓨터 화면도, 창문도, 창문 밖의 건물들도 모두 곧다. 내가 종이 위에 그려온 선들도 그랬다. ··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그린 도형들은 완전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이거나, 완전무결한 규칙이 있는 그래프들이었다. 요즘은 컴퓨터를 이용해 선을 그리는 경우가 더 많긴 하지만 역시 마찬가지다. 간단한 클릭 몇 번으로 완벽한 동그라미와 세모가 그려지고 깔끔한 표가 만들어진다.

 

(Zine)수업에서 만난 학생들의 선은 달랐다. (Zine)수업은 현재 노들야학에서 매주 목요일마다 진행하는 낮수업이다. 나는 지난 해 2학기부터 1년 가까이 선생님으로 수업을 함께 해오고 있다. 학생들은 각자가 표현하고 싶은 대상이나 관심사를 자유롭게 그림이나 글로 표현해 진(Zine)을 만든다. , 사람, 자동차, 꽃과 같은 구체적인 대상이나 점, 선과 같은 추상적인 형태들은 종이 위에 색연필로 그려지기도 하고 천 위에 펜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림들은 낱장의 종이일 때도 있고 책의 형태로 엮이기도 하며, 동그란 뱃지가 되기도 한다.

 

진수업 학생들이 그린 선이나 형태는 흔히 말하는 동그란, 세모난, 네모난 등의 단어들로 묘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언젠가 수업 중에 한 학생분이 그린 그림을 말로 표현하려다 고민에 빠진 적이 있다. 그림을 자세히 보니 동그라미 모양도 아니었고 세모도, 네모도 아니었다. 분명히 어떤 형태를 지니고 있긴 했지만 기존에 내가 알고 있는 단어로는 묘사하기가 어려웠다. 굳이 말해야한다면 두루구불웅둥퉁훙한 모양이랄까. 결국은 그림을 가리키며 어떤 모양이 아니라 그냥 이 모양이라고 말했다. 내가 알고 있는 틀에 맞춰 바라보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면 되는 것이었다.

 

진수업에 함께한 지 얼마 안됐을 무렵, 궁금한 점이 하나 생겼다. 몇몇 학생들은 매주 똑같은 대상을 그리거나, 똑같은 방식으로만 그림을 그렸다. 이 모습을 보고 계속 같은 그림을 그리다보면 지루하지 않을까? 다른 시도를 해보면 더 재밌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진수업을 오래 진행하신 선생님의 말로는 몇 학기째 같은 형태의 그림을 그리는 학생분도 있다고 했다.

 

그렇게 몇 주, 몇 달을 함께 수업하다보니 다른 면들이 눈에 들어왔다. 매번 똑같다고 생각했던 그림도 무언가 조금씩 달랐다. 펜을 쓰는지 붓을 쓰는지에 따라서도 표현하는 방법이 달랐고 종이의 크기나 재질에 따라서도 다른 그림을 그렸다. 지속적으로 만나 함께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면 알아채지 못했을 작은 변화들이었다. 나중에는 기존에 그렸던 그림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학생도 있었다. 앞서 말한 몇 해째 같은 그림을 그려왔다는 학생은 지난 학기부터 새로운 그림 도구를 이용해 자신만의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눈에 띄는 속도가 아닐 수는 있겠지만 학생분들은 분명 각자의 속도에 맞게 나아가고 있을 것이라고 지금은 생각한다.

 

학생들의 이러한 모습들에서 나를 발견한다. 나는 글자와 이미지를 다루며 포스터나 책 등의 시각물을 만들어내는 디자이너이다. 그 중 내 관심사는 이미지보다는 글자, 특히 한글에 있다. 그래서 내가 디자인한 대부분의 작업들을 보면 이미지가 없이 한글이 전면에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글자만 있는 밋밋한 작업일 수도 있겠다. 가끔은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화려한 이미지를 만들어내야 하는 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지금으로써는 한글을 가지고 노는 게 더 재밌다. 이미지가 정말 필요하다면, 억지로 만들려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만들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실제로 최근에는 이미지 작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글자 이외에 다른 요소들을 활용하는 방법들을 시도하고 있다. 아마 멋진 이미지를 만들어내려면 몇 년이 더 걸릴 수도 있겠지만, 어쩌면 나의 속도에 맞게 나다운 을 그려나가면 되는 게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00 2019년 겨울 121호 -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 김성희 &lt;장애학의 도전&gt;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
599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_박여송 인터뷰 / 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인터뷰_야학 휴직교사 박여송 님     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명학 : 안녕하... file
598 2019년 겨울 121호 -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 조재범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밥묵차 대표 유희 님 인터뷰   조재범 |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자립생활지원팀장... file
597 2019년 겨울 121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 명희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노들바람_고마운 후원인] 허클베리 핀 인터뷰(12.16) 이기용(기타, 코러스), ... file
596 2019년 겨울 12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명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
59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lt;노들바람&gt; 편집인 석암재단이 운영하는 베데스다요양원에 살던 이들이 시설 내부의 비리를 폭로하고, 시설 권력에 문제 제기하는 ... file
594 2019년 가을 120호 -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 장선정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당신이 잘 계시다면 잘 되었네요. 나는 잘 지냅니다. Si vales bene est, ego valeo -&lt;라틴...
593 2019년 가을 12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 file
592 2019년 가을 120호 -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 노들 편집위원회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lt;여러분의 궁금증을 팩트체크 해보았습니다.&gt;     노들 편집위원회         축하해!!             갑... file
591 2019년 가을 120호 -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노들 편집위원회           ‘2009 임소연’ 임소연에게 이야기를 청하자, 자신이 2009년에 ... file
590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 명희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명희 | 애쓰며 삽니다.      8/12(월) 기옥과 용남네 집에서 명희가 만났습니다. 인터뷰의... file
589 2019년 가을 120호 -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 노들 편집위원회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마치고, 7월 13일 석암비대위 황정용 님이 유명을 달리했습... file
588 2019년 가을 120호 -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 홍은전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홍은전 | 노들야학 휴직교사입니다. 노들야학 스무해 이야기 &lt;노란들판의 꿈&gt;을 썼고요, 그 책을 쓴 덕분에 이러저러한 인권 기록... file
587 2019년 가을 120호 -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 박미주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박미주     이제는 나에게 너무 익숙한 이름이 돼버린 언니를 처음 만난 건, 2019년 5월, 지금으로부... file
586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 박경인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박경인 | 노들야학 학생입니다.     저는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26살 박경인입니다. 저는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에게 버... file
58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 박상빈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박상빈 | 사회적 기준에 따른 삶을 살다가 가치관이 변해 대안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현재 노들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면... file
584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 박영일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박영일       나는 1998년 4월 17일 오전 9시 57분 인천 남동공단 내에 있는 한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250T 프레스라... file
583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 한예인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노란색이 ... file
582 2019년 가을 120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 정지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정지원     나는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할 시간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 file
» 2019년 가을 120호 - [교단일기] '선'과 '속도' / 충근 [교단일기] ‘선’과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