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형님 한 말씀] 2017년을 보내며...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벌써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세월이 너무 빠르게 흘러가고 우린 또한 그 세월만큼 늙어가고 있겠지요. 올 한 해는 우리들과 함께 활동을 했던 동지가 우리들의 곁을 영원히 떠나는 마음이 아프고 슬픈 상처의 아픔도 있었던 해였습니다. 그 동지는 지금쯤 저 세상에서 편안히 잘 지내고 있겠지요. 아직까지도 우리들과 함께 할 일들이 많은데 참으로 안타까운 투쟁의 현장에서 우리들의 마음 속에서 늘 함께 하고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 힘을 받고 열심히 연대를 하면서 투쟁들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동지가 못다한 몫까지 살아있는 우리들이 해야겠지요.

 

그러면 그 동지도 하늘나라에서 기뻐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 동지 몫까지 더 열심히 투쟁들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광화문 농성장은 5년 동안 광화문 지하보도에서 장애등급제 폐지, 부양의무제 폐지, 장애인수용시설 정책 폐지를 외치면서 무기한 농성을 하다가 2017년 9월 5일에 농성을 접고, 다른 곳에서 다른 방법으로 같은 주제를 가지고 계속 해서 투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 5년 동안의 우리들의 끈기로 좋은 성과 조건으로 이어가고 있는 우리들의 투쟁을 반드시 투쟁으로써 승리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또 하나의 투쟁의 농성장이 생겼습니다. 2017년 11월 22일에 충무로 장애인고용공단을 점거하고 농성에 들어갔습니다.

 

① 중증 장애인 1만개 일자리을 만들어라
② 중증 장애인 최저임금 삭제 조항폐지 하라
③ 장애인 고용공단 혁신하라

 

라는 요구 아래 농성을 하고 있습니다. 중증장애인도 직업을 가지고 이 사회에서 당당히 차별받지 않고 그동안 자신들의 소중한 권리들을 찾아 각자들의 삶들을 살아 갔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것들은 국가가 당연히 보장을 해주었어야 마땅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이런 것들을 국가가 당연히 이행해야 하는데 이행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살기위하여, 인간답게 살기위해서 차별에 저항 하면서 충무로 장애인 고용공단을 점거하여 무기한 농성에 임하고 있습니다. 이 농성이 언제 끝날 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이 농성을 포기할 수가 없습니다. 우리들의 소중한 인권과 삶의 생종권이 달려있기 때문에 포기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지금 시설에 거주하는 수많은 이용인들이 하루 빨리 탈시설을 하여 이 사회에 나와서 자유롭게 우리들과 함께 살았음 정말로 좋겠습니다. 그런 창살 없는 감옥 같은데서 나와서 그동안 빼앗긴 자기들의 소중한 인권들을 찾고 인간답게, 자유롭게 우리들과 함께 살았음 좋겟습니다. 중증장애인도 자기의 소중한 인권이 있는 인간입니다. 이젠 더이상 인권을 박탈당하면서 감옥같은 곳인 시설에서 탈시설을 해야할 겁니다. 중증장애인도 당당히 이 사회에서 직업을 가지고 당당하게 살고 싶고 꼭 그렇게 살고 싶고 살아야합니다. 이제 중증장애인들을 바라보는 시각을 이 사회가 변해야합니다.

 

동정과 시혜가 아닌 동등한 인권을 가진 사람으로써 보는 것 말입니다. 아직은 많이 미흡하지만 앞으로는 그렇게 변화가 오기를 바라봅니다. 우리 자신들도 많이 노력을 해야하겠지요. 우리 그렇게 만들어요. 이젠 서서히 2017년도 역사 속으로 저물어 가는 세오입니다. 2017년도 수고들 많이 하셨습니다. 밝아오는 새해에는 가난한 사람들, 장애인분들, 성소수자분들, 그외 투쟁하는 사람들이 더 나은 2018년 새해가 되길 진심으로 기원해봅니다. 여러분 새해 복 많이 짓으시고 하시는 일들 마다 좋은 성과가 있으시길 두 손 모아 기원 드립니다.

 

추신 : 서두에 쓴 동지는 박종필 동생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384 2017년 겨울 113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 옳은 말은 옳은 말일 뿐이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 옳은 말은 옳은 말일 뿐이다” - 말의 한계, 특히 ‘옳은 말’의 한계에 대하여     고병권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 file
» 2017년 겨울 113호 - [형님 한 말씀] 2017년을 보내며...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17년을 보내며...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벌써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세월이 너무 빠르게 흘... file
382 2017년 겨울 113호 - [장판 핫이슈] ‘차별과 시혜’를 넘어 동등하게 일할 수 있는 ‘권리’를 위해 / 박철균   [장판 핫이슈] ‘차별과 시혜’를 넘어 동등하게 일할 수 있는 ‘권리’를 위해 중증장애인 노동권을 위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지사 농성 30여일을 바라보며  ... file
381 2017년 겨울 113호 - 소리 없는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 가을   소리 없는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 2017 홈리스추모제, 빈곤과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하여     가을 홈리스야학 활동가     애동지라 하였다. 예부터 동지가 동... file
380 2017년 겨울 113호 - 노란들판의 겨울맞이:) #벌써일년 / 진실로       노란들판의 겨울맞이:) #벌써일년   진실로 노란들판 디자인2팀 디자이너.트램폴린 위에서 뛰는 점핑 운동에 빠져있어요. 저 깊숙한 곳 어딘가 흥이 잠재... file
379 2017년 겨울 113호 - 어쩌다 보니 10년 노란들판 10년 일꾼 /조수안 · 공대식 · 이범민 · 김상희     어쩌다 보니 10년 노란들판 10년 일꾼 - 공대식, 이범민, 조수안 님 인터뷰     김상희 노들야학 학생으로 시작해서 노란들판 디자이너까지 두루두루 활동과 ... file
378 2017년 겨율 113호- [노들아 안녕] 날개 / 김영미   [노들아 안녕] 날개     김영미 1972년 10월16일생이고요. (46) 고향은 너무 어려서 인강원에 와서 잘 모르겠읍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김영미라고 합니다. 제... file
377 2017년 겨율 113호- [노들아 안녕] 오랫동안 이 세계를 알아가 보고 싶다 / 유지영   [노들아 안녕] 오랫동안 이 세계를 알아가 보고 싶다   유지영     '만약 당신이 나를 도우러 여기에 오셨다면 당신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겁니다. 그러나 ... file
376 2017년 겨율 113호 - [노들아 안녕] 드디어 페이스 친구가 되었다 / 윤민진   [노들아 안녕] 드디어 페이스 친구가 되었다     윤민진     2011년 4월에 청주에서 장애인활동보조인 교육을 받았다. 강사가 했던 말이 지금까지도 기억에 남... file
375 2017년 겨울 113호 - [교단일기] 우리의 몸을 찾아서 / 박누리       [교단일기] 우리의 몸을 찾아서     대추 청솔1반의 담임이며 학생들과 2017년 2학기에 과학을 공부하고 있다. 장애인에게 한방진료를 지원하는 장애인독... file
374 2017년 겨울 113호 - 중구난방 세미나 뒷담화 비정상 교육철학 세미나 후기 / 박준호 중구난방 세미나 뒷담화 비정상 교육철학 세미나 후기     박준호 노들야학 교사. 야학 수업 잘하고 싶어요. 새해부터 놀고 있습니다. 집이 너무 추워요.       ... file
373 2017년 겨울 113호 - 노들장애인야학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을 마치며 / 박성준     노들장애인야학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을 마치며     박성준 저는 노들장애인야학에서 2017.10.16. ~ 11.21. 기간 동안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실습생 박성... file
372 2017년 겨울 113호 -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까 / 최영은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까 <몸의 시간> 참가 후기     최영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야학에 다니고 있는 최영은입니다       연극공연을 하며. 내가 ... file
371 2017년 겨울 113호 - <추신>을 관람하고 나서... <추신>, 장애인문화예술판 2017년 작품 / 이은애   &lt;추신&gt;을 관람하고 나서... &lt;추신&gt;, 장애인문화예술판 2017년 작품     이은애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중증장애인응급알림 사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전 ... file
370 2017년 겨울 113호 - ‘여기, 노란들판입니다’구멍이 숭숭 진행요원의 뒷이야기 / 민아영  ‘여기, 노란들판입니다’ - 구멍이 숭숭 진행요원의 뒷이야기   민아영 노들 활동가. 자기소개 글이 &lt;노들바람&gt; 글 중에 제일 어렵네요. 뭘 소개해야 할까. 나를 ... file
369 2017년 겨울 113호 - 우여곡절, 노들피플퍼스트 People First! / 박임당 우여곡절, 노들피플퍼스트 People First!   박임당 노들야학 교사, 방학을 만끽 중     노들에 발달장애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명 “낮수업”이 생긴 지 3년... file
368 2017년 겨울 113호 - 어둠모꼬지 <노들 선감도에 가다> / 이현아 어둠모꼬지 &lt;노들 선감도에 가다&gt;     이현아 첫 학기 수업을 가까스로 마치고 스스로 대견해하는 중. 수업을 빠진 횟수와 뒤풀이를 빠진 횟수가 동일하다(...) ... file
367 2017년 겨울 113호 - 왜 어둠이라고 했을까? 이제는 알 것 같다. / 박정숙 왜 어둠이라고 했을까? 이제는 알 것 같다. - 노들야학 모꼬지를 다녀와서   박정숙 나는 노들 야학 학생(휴)이고 상근 활동가 박정숙입니다.       여름부터 기... file
366 2017년 겨울 113호 - 베이징에 다녀왔어요!! / 이형숙 베이징에 다녀왔어요!!   이형숙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2017년 11월 27일부터 12월1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제3차 아시아·태평양(아·태) 장애인 10년 인... file
365 2017년 겨울 113호 -‘나도 혼자 산다’단기 체험홈을 마무리하면서 / 최정희 ‘나도 혼자 산다’단기 체험홈을 마무리하면서 - 공동모금회 지원 중증장애인자립생활모델개발사업 후기     최정희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남성체험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