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9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김미진 | 노들야학 연극반 교사. 연극이라는 도구를 통해 앞으로도 얼마나 잘 놀면서 사람들과 만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있음. 그런데 사실 사람보다는 동물을 더 좋아하는 것 같기도 함.

 

김미진4.jpg

 

/그녀들의 몸에 대하여

 

[김탄진]

어깨: 잘 안 움직인다. 근육이 많이 뭉쳐서 아픈 일이 많다.

: 조금은 자유로운 편, 오른팔이 더 잘 움직인다.

: 오른쪽이 더 편하다. 왼쪽 손가락은 잘 움직이지 않는다.

: 약간 잘 움직인다.

다리: 무릎으로 길 수 있다.

: 발가락도 움직인다.

얼굴: 얼굴 전체는 잘 움직이는 편, 입술도 잘 움직인다. 혀의 움직임이 어렵다. 발음이 어렵고 씹는 움직임이 어렵다.

허리: 잘 굽혀진다.

: 난시가 있다.

*왼쪽 어깨부터 팔까지가 강직이 제일 심하다.

 

[문혜란]

어깨: 왼쪽 어깨는 잘 움직이는데, 오른쪽은 어렵다.

: 역시 왼쪽은 더 자유롭다. 오른쪽이 더 굳어 있다.

: 역시 왼손이 더 자유롭다. 손가락도.

: 자유로운 편이다.

다리: 못 움직인다. 바닥에 아주 조금 길 수 있다.

: 왼발은 조금 움직인다.

얼굴: 잘 움직이는 편, 입술, 씹는 것은 잘 되지만, 혀의 움직임이 어렵다. (발음이 잘 안 된다.)

허리: 허리는 잘 굽혀진다.

: 시력은 좋다.

*집이 아닌 낯선 바닥 공간에서는 움직이기가 어렵다. 왼손, 왼쪽이 강직이 가장 심하다. 저녁에 자기 전에 근육이완제를 먹는다.

 

[김명학]

어깨: 잘 움직이는 편이다. 양쪽 다.

: 양쪽 다 잘 움직이는 편이다.

: 둘 다 불편한 편이지만 오른손을 더 잘 쓴다.

: 목은 자유롭다.

다리: 양쪽 다 쓰기 어렵다.

: 양쪽 다 어렵다. 발가락도 잘 안 움직인다.

얼굴: 자유롭다. 말도 잘한다.

허리: 허리는 둔한 편이다.

: 좋지 못하다. 오른쪽 시력이 나쁜 편이다.

* 다리의 강직이 심하다. 심하게 움직이면 이(틀니^^)가 빠질 수 있다.

 

[박지호]

어깨: 오른쪽 어깨에 탈골이 있다. (고칠 수 없다고 한다.) 어깨 움직임이 어렵다.

: 왼쪽은 조금 움직일 수 있지만, 오른쪽은 어렵다. (오른쪽 팔이 뒤로 돌아가 있다.)

: 역시 왼쪽을 쓸 수 있다. (왼쪽 손가락은 잘 움직인다.)

: 목은 자유로운 편. 왼쪽으로가 더 편하다.

다리: 왼쪽 다리가 더 자유롭다.

: 왼쪽이 움직인다.

얼굴: 얼굴 근육은 자유로운 편이다.

허리: 허리는 굽혀진다.

: 안 좋은 편. 근시, 난시가 있다.

* 왼쪽 어깨 탈골로 매우 아플 때가 있다. 근육이완제를 4시간에 한 번씩 먹는다. 근육이 뻣뻣해 질 때 가장 힘들다. 호흡이 힘들 때도 있다.

 

[장애경]

어깨: 왼쪽이 더 자유롭다. 오른쪽은 잘 안 움직인다.

: 왼쪽이 더 자유롭다.

: 왼손은 자유롭다. 오른손은 어렵다. (왼쪽 손가락이 손을 다치게 해서 붕대를 감아야한다.)

: 목은 자유로운 편이다.

다리: 왼쪽 다리는 움직일 수 있는데, 오른쪽이 어렵다. 왼쪽 다리에는 떨림이 있다.

: 왼쪽 발은 움직일 수 있다.

얼굴: 얼굴 근육은 자유로운 편. 입과 혀도 편하다.

허리: 허리도 잘 굽혀진다.

: 근시가 조금 있다.

* 심하게 무리하면 왼쪽 자유로운 쪽도 아플 때가 있다. 근육이완제를 저녁에 한 번 먹는다.

 

위의 내용은 연극반에서 처음 몸짓 찾기 수업을 시작했을 때 몇몇 분들과 나의 몸에 대해 이야기하고 나눈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생각보다 우리는 서로에 몸에 관해서 모르는 것이 많았어요.


연극반과 함께 한지도 어언 4년이 됐어요. 우아~ 정말 신기하다. 처음에 시작할 때는 이렇게 오래하게 될지 생각하지도 못했는데, 언제 이렇게 시간이 갔는지요. 몇몇 분은 오고 가기도 했지만 지금의 연극반 학생들이 고맙게도 4년이라는 시간을 늘 같이 해줬어요. 그래서 지금의 저에게 야학의 연극반 수업은 단순한 수업이 아니라 제가 좋아하는 연극을 통해서 저와 함께 동고동락하며 같이 가는 그런 시간이자 공간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연기에서 말과 행동은 가장 기본적인 기술인데 우리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처음에는 그 고민부터 시작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가능하다, 가능하지 않다보다는 무모할지 모르겠지만 새로운 시도들이 그냥 재미있었습니다. 그렇게 몇 년간 우리들의 이야기로 연극도 만들어 봤는데, 더욱 간절해 진 것은 우리만의 표현 방법을 찾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신체적공간적인 측면의 제약도 생각해볼 문제였지만, 좀 더 우리다운 언어를 찾고 싶고 그것을 통해 표현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제 시선일 수도 있지만 연기를 하거나 표현을 할 때 다리 역할을 하는 휠체어 역시 몸을 옥죄고 있는 도구로 보일 때도 종종 있었고요.


휠체어에서 내려와 몸을 써보자! 처음 이 제안을 연극반에 했을 때는 모두가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었지요. ‘휠체어 위에서도 잘 움직이지 못하는데 바닥에 내려와서 무엇을 할 수 있겠나?’라는 것이 대다수의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몇 년간 학생 분들을 만나오면서, 우리만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을 거라는 확신 같은 것이 있었어요. 이런 무모한 생각들을 이해해 주시고 또 몇몇은 즐겁게 생각하시기도 하며 어쨌든 시작을 했습니다. 나의 몸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타인이 보는 내 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고, 몸 다스리기, 몸에 대한 감각 훈련 등을 해나갔어요. 촉감 훈련 때 지호 씨가 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눈을 감고 파트너의 손을 찾아보는 것이었는데, 태어나서 엄마의 손도 이렇게 만져본 기억이 없다는 이야기를 했던 것 같아요.


어쩌면 지호 씨뿐만 아니라 온몸의 촉각을 곤두세우고 누군가의 손이나 몸을 만져본 기억이 몇 번이나 될까라는 생각도 잠시 했습니다. 우리 학생 분들은 아마도 더 그런 경험이 없지 않았을까라는 생각과 함께요. 지금 저희 수업은 자신의 몸뿐만 아니라 서로의 몸을 이해하고 그것들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고 생각해요. 무엇보다 몸짓에 대해 가장 두려움이 많았던 지호 씨는 연극반에서 그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아주 잘 움직이시고 표현력도 좋아지셨습니다.


지난 학기를 마치며 다른 특활 수업반과 공동으로 특활반 발표회를 했는데요, 많은 분들이 우리 수업에 관심을 가져주시고 좋은 말씀을 많이 해 주셨어요. 공유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했던 제 자신을 반성하며, 같이 하면 좀 더 풍요로워지고 즐거워진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웠습니다. 갈 길이 멀고, 그리고 방법을 몰라서 더디기도 합니다. 하지만 하나하나 찾아가는 과정이 의미 있고 재밌어서 다행입니다. 다음 학기에는 작은 이야기를 하나 만들어 보는 것이 목표에요. 각자 흥미로운 주제들을 제안해 주셨는데, 이것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또 살짝 고민이 되네요. 이 글을 읽고 몸짓에 관해 흥미를 느끼신 학생 분과 교사 분들, 모두 모두 함께해요~^^!


김미진3.jpg

김미진1.jpg

김미진5.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16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노들아 안녕] 꽃동네에서 나와 노들로       추경진 |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현재 평원재에서 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추경진입니다. 저는 1997년에 교... file
215 2016년 여름 108호 -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마이너』 기자 박정수입니다       박정수 | 수유너머에서 오랫동안 밥 먹고 공부하며 생활해왔다. 올해 3월부터 『비마이너』의 프리랜서(!) 기... file
214 2016년 여름 108호 - 노란들판의 꿈 노란들판의 꿈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12일 목요일 오후 7시에 노들장애인야학에서 『노란들판의 꿈』(『그럼에도 불구...
213 2016년 여름 108호 -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교단일기] 청솔 과학반이 일구는 노란들판       최재민 | 탈시설 운동하는 사람이다. 시설에서 생활하다 자립해서 잘사는 경남 누나를 보고 시설 따위는 없애야... file
212 2016년 여름 108호 -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노(怒)치아나! 놓치않아~!!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점심시간마다 낙산에 올라 제가 살고 있는 곳을 ... file
211 2016년 여름 108호 -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센터판의 독립과 이사, 그 새로운 출발점에서       서기현 | IT업계의 비장애인들 틈바구니에서 개고생하다 장판에 들어와 굴러먹은 지 어언 15여 년. 현재는 장... file
210 2016년 여름 108호 - 수연 언니 외박기 수연 언니 외박기       김지윤 | 수연 언니 활동보조인, 청솔1반 담임, 낮 수업 강사, ‘아싸클럽’ 및 ‘내 몸 찾기’ 모임 및 ‘노들인문학세미나’ 열혈 회원, 무엇... file
209 2016년 여름 108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자립생활을 향한 험난한 여정       강미진 | 요즘은 멍 때릴 시간도 없는, 이래저래 바쁘고 몸이 지쳐있어 다크서클이 턱밑 까지 내려온 ... file
208 2016년 여름 108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익숙해지는 시간       남다영 | 노들야학에 다니고 있는 최영은 언니와 일주일에 3일을 함께 지내고 있다. 어린 활동보조인을 찾은 영... file
207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노들야학 후원마당 ‘밥상이 나르샤’를 마치고       한혜선 오랜만에 국어수업을 맡아 학생들 얘기를 많이 듣는 게 즐겁습니다. 수업시간에 제 말은 좀 더 줄여볼... file
206 2016년 여름 108호 -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세월호 참사 2주기 ‘기억식’과 ‘진실을 향한 걸음’       박준호 | 전(前) 노들야학 상근자     2014년 4월 16일 아침, 나는 노들장애인야학의 학생 및 교사들과 ... file
205 2016년 여름 108호 -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우리 모두 내성천의 친구가 되어봅시다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작년 4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의 낮 수업과 만나 바람이 났습니다. 그... file
204 2016년 여름 108호 -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도대체 부정수급이 무어란 말이냐 우리를 부정수급자로 몰아가다니, 뿔이 난다!!       조은별 | 노들야학과 사랑에 빠져 수년째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수업 ... file
203 2016년 여름 108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 장애인의 벗, 이종각 선생님을 추억하며       조사랑 | 노들야학 휴직교사이자 전 상근활동가. 2009년부터 평원재 담당자로... file
202 2016년 여름 108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6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감광국, 강귀화,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
201 2016년 봄 107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안녕하세요, 김유미 활동가에 이어 『노들바람』 편집인을 맡게 된 노들야학 상근교사 김도현입니다. 노들야학은 제가 2000년에 첫 사...
200 2016년 봄 107호 -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알 수 있는 건, 모른다는 사실 하나! 노들장애인야학 신임 학생회장단 인터뷰       김진수 | 노들야학 상근 교사이고, 2016년 교사대표이기도 해요. 요새 취미는...
»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교단일기] 나의 몸짓을 찾아서     김미진 | 노들야학 연극반 교사. 연극이라는 도구를 통해 앞으로도 얼마나 잘 놀면서 사람들과 만날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 file
198 2016년 봄 107호 -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교단일기] 이러쿵저러쿵 방송국의 이런저런 이야기       허세준 | 노들야학에서 드문드문 수업을 한다.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하고 있지만 영화에 대해선 아무것... file
197 2016년 봄 107호 - 저 일등 먹었어요! 저 일등 먹었어요! AAC(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를 이용한 ‘2015 전국 뇌병변․언어장애인 의사소통 웅변 경진대회’ 참가기       이상우 | 1982년 전주에서 출생.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