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같이 불러요 

 ‘합창과 연대’ 수업과 ‘세월호 기억식’ 이야기

 

 

 이예인

월, 화, 수, 목, 금 센터판에서 일해요. 금요일 저녁에는 노들야학에서 합창 수업을 해요

 

 

 

 

이예인1.jpg

 

  기분 좋을 때는 가만히 있어도 노래가 나와요. 슬프면 노래가 잘 안 나와요. 말도 잘 안 나오고요. 세월호 참사를 생각하면 마음이 그렇게 돼요. 올해는 2024년이에요. 세월호 참사가 있은 지 10년이 지났대요. 세월호 참사 이후 10년을 떠올리면 입이 잘 떨어지지 않았어요.

 

  올해 노들야학에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합창수업이 생겼어요. 416연대에서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기억하려고 4160명이나 되는 합창단원을 모집한다고 했거든요. 수업은 매주 금요일 저녁이었어요. 교실 234에서, 선생님은 네 명이었어요. 학생분들은 3,4교시를 듣는 모두들이었는데 그보다 작게 모였어요.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뭘까 고민하다가 기억식에 나올 영상을 찍어 보내기로 했어요. 기억식날 안산에도 같이 가구요.

 

  개학식 하고서 첫 수업하던 2월에는 각자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을 꺼내봤어요. 뉴스를 봤던 이야기가 꽤 나왔어요. 티비를 봤는데 참사 소식이 나오고 있었다는 이야기들. 한 학생분이 그때 사진을 보면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우리에게 말해줬어요. 특강에 와준 선생님은 진상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지금에 대해 전해줬어요. 안산에 대해서도요. 그 다음부터 진짜로 합창을 했어요.

 

  네버 엔딩 스토리, 화인,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영상으로 찍어 보낼 노래는 이렇게 세 개였어요. “손 닿을 수 없는 저기 어딘가”를 떠올리며 시작하는 네버엔딩 스토리. “이제 사월은 내게 지난 날의 사월이 아니다” 되새기는 화인.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외치는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이렇게 세 곡을 쭉 들어봤어요. 익숙한 노래도 있었고 처음 듣는 노래도 있었어요. 들어보고 따라 부르고. 또 듣고 또 부르고. 그러면서 노란 리본 모양으로 포스트잇도 붙이고. 유리빌딩 2층 복도 천장에 노란 종이배도 달았어요.

 

  매번 수업이 끝나갈 때마다 합창 영상을 찍었어요. 바닥에 세워둔 핸드폰 카메라랑 마주보고 나란히 서 봤어요. 우리가 어떻게 부르고 있지? 알고 싶어져 수업에서 같이 보기도 했어요. 지금 이 글을 쓰면서 우리가 어떻게 불렀더라? 기억이 잘 안 났어요. 그래서 오랜만에 영상을 다시 봤어요. 틀어둔 피아노 반주가 나와요. “손 닿을 수 없는 저기 어딘가” 부터 시작이에요. 오른쪽 왼쪽 손 흔들면서 박자 맞추는 사람이 있어요. 가사지 없이 앞만 보고 부르는 사람도. 누구는 딴 데를 봐요. 어디 보는지는 모르겠어요. 목소리가 아주 잘 들리는 사람도 있고. 입을 움직이는 사람. 입을 닫은 사람. 다른 노래로 넘어가면서 조금씩 웃는 사람. 노래 중간에 나오는 반주에서 2절을 다 같이 시작해버리기도 해요. 노래 부르면서 조금씩 움직이다가 화면 밖으로 나가는 사람도 있어요. 이제는 아예 안 보이네요.

 

  우리가 하는 합창은 사람마다 음이 다 달라요. 박자도 가사도 다 달라요. 우리가 부르는 노래가 매일 다르니까 합창 시간을 더 기다렸던 거 같아요. 전부 다른 소리. 어떤 날은 굳고. 어떤 날은 힘이 나고. 매일 다른 금요일에 밥 먹고 나서 같이 노래 불렀어요. 그 금요일들을 모아 416연대에 영상을 보냈어요. 그리고 모두 같이는 아니지만 4월 16일 안산에 갔어요.

 

  그날 안산 기억식에는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였어요. 날씨가 맑았어요. 저는 조금 더웠고요. 도착했을 때 자리가 거의 차 있어서 휠체어 들어갈 곳을 찾아야 했어요. 앉을 수 있는 의자도 찾고. 자리 잡고 나서 추모의 말을 들었어요. 죽음을 슬퍼하는 시도 들었어요. 전체 합창 시간에는 그날 합창하는 사람들이 우르르 무대로 나갔어요. 합창단 뒤로 나오는 영상에 우리가 어디 나오나 샅샅이 봤는데. 다른 쌤이 화면 귀퉁이에 작게 나온 우리를 찾아줘서 기뻤어요.

 

  합창 수업을 하고서 나는 누굴 만나면 합창 수업에 오라고 말했어요. 금요일 저녁밥 먹고 수업에 와서 노래 연습하고 가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걸 알면서도요. 왜 자꾸 같이 부르자고 하고 싶을까요. 내년 4월에도 안산에 가서 같이 부르고 싶어요. 합창 수업에서 만났던 모든 분들아! 또 같이 불러요. 하고 싶은 말 있으면 만나서 하구요. 먹고 싶은 거 생기면 같이 먹어요.

 

이예인2.jpg

 

이예인3.JPG

 

이예인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4년 가을 139호 - 같이 불러요_‘합창과 연대’ 수업과 ‘세월호 기억식’ 이야기 / 이예인 같이 불러요   ‘합창과 연대’ 수업과 ‘세월호 기억식’ 이야기      이예인 월, 화, 수, 목, 금 센터판에서 일해요. 금요일 저녁에는 노들야학에서 합창 수업을 해... file
1135 2024년 가을 139호 - 2024 여기 닿은 노래 전시 리뷰_여전히 천천히, 즐겁게, 함께 / 고권금 2024 여기 닿은 노래 전시 리뷰  여전히 천천히, 즐겁게, 함께      고권금 몸과 장소가 맺고있는 관계를 탐구하는 <버티는몸 프로젝트>를 2020년부터 진행해오고... file
1134 2024년 가을 139호 - [노들야학 학생글방] 행복은 다음과 같은 순간이다 * 장애경 / 행복은 즐거움이다 * 김홍기 / 나는 라디오다 * 엄세현 / 힙합 안녕 * 박규형 노들야학 학생글방         행복은 다음과 같은 순간이다 -장애경 (청솔3반)     행복은 다음과 같은 순간이다.  이를테면 시설에서 나와 처음으로 옷을 샀을 때.... file
1133 2024년 가을 139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유치원은 처음이라 / 편집부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유치원은 처음이라      편집부           노들야학은 4월 17일, 경기 동탄에 있는 푸른초등학교 병설유치원으로 장애인권교육을 다녀왔다. ... file
1132 2024년 가을 139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내 스스로가 좋아 / 이승미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내 스스로가 좋아      이승미 노들야학 학생,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노동자           시설에서 많이 맞았어 자립하니까, 안 맞아서 좋아 자... file
1131 2024년 가을 139호 - 제9회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 / 지니 제9회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       지니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6월 21일, 많은 분들의 응원과 도움으로 제9회 종로장애인인권영화제가 무사히... file
1130 2024년 가을 139호 - 예술인과 함께한 들다방의 2024년 / 오하나 예술인과 함께한 들다방의 2024년         오하나 들다방 마감 & 청소 담당. 동물들이 편히 머물다 갈 수 있게, 작당하고 이것저것 이상한 포스터와 선전 문... file
1129 2024년 가을 139호 - 노란들판 소통모임 / 박정숙 노란들판 소통모임       박정숙 사단법인 노란들판 활동가           해마다 420투쟁을 시작으로 노란들판법인, 노들야학, 들다방, 센터판, 노들센터, 노란들판... file
1128 2024년 가을 13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그의 선물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그의 선물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둘러싼 전... file
1127 2024년 가을 139호 - [노들 책꽂이]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_폭발하고 엉키고 맞물리는 노들의 시간 / 린 노들 책꽂이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  폭발하고 엉키고 맞물리는 노들의 시간      린 책모임을 좋아합니다. 같이 읽으면 더 재밌어요         『페미니스트, 퀴... file
1126 2024년 가을 139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비건 빵으로 매달 만나는, 책빵자크르_하라경 님 인터뷰 / 영희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비건 빵으로 매달 만나는, 책빵자크   하라경 님 인터뷰       인터뷰 영희, 유미 정리 영희           노들야학에는 1~2달에 한 번씩... file
1125 2024년 가을 139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4년 7월 1일 ~ 9월 30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hamamura misato ...
1124 2024년 여름 13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한혜선 노들바람을 여는 창      한혜선 <노들바람> 편집인           노들바람을 받아 글을 읽는 시간과 노들바람 속 글의 시간에는 시차가 있습니다.      일 년에 네 ...
1123 2024년 여름 138호 -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김명학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안녕하세요.   계절은 어느덧 봄을 지나 여름으로 가... file
1122 2024년 여름 138호 - [노들아 안녕] 어제 교사회의에서 가져온 빵을 먹으면서 썼습니다 / 서린 노들아 안녕 어제 교사회의에서 가져온 빵을 먹으면서 썼습니다      서린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작년 4월 노들에 왔습니다. 빵에 땅콩버터를 발라 먹었습니다. ... file
1121 2024년 여름 138호 - 사진으로 보는 권.리.중.심.노.동.자.해.복.투. 이야기 / 편집부 사진으로 보는 권.리.중.심.노.동.자.해.복.투. 이야기   오세훈 서울시장, 권리중심공공일자리 최중증장애인 노동자 400명 해고 철회 및 원직복직 투쟁을 위한 ... file
1120 2024년 여름 138호 - [탈시설장애인당] 정당政黨 아닌 정당正當, 장애인권리를 향한 직접 민주주의 / 박주석 탈시설장애인당 정당政黨 아닌 정당正當, 장애인권리를 향한 직접 민주주의      박주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         탈시설장애인당 깃발과 차량  ... file
1119 2024년 여름 138호 - [탈시설장애인당] 안녕하십니까. 탈시설장애인당 종로구 전략공천 후보 이수미입니다 / 이수미 탈시설장애인당 안녕하십니까. 탈시설장애인당 종로구 전략공천 후보 이수미입니다  후보자 이야기      이수미 노들야학 총학생회장, 탈시설장애인당 종로구 전... file
1118 2024년 여름 138호 - [탈시설장애인당]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로: 유세차량 쏠라티 이야기 / 허신행 탈시설장애인당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로: 유세차량 쏠라티 이야기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노란들판 법인... file
1117 2024년 여름 138호 - [지하철 선전전] 나의 투쟁은 일상생활이다 / 박지호 지하철 선전전 나의 투쟁은 일상생활이다      박지호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개인대의원           나는 매주 두 번 정도 혜화역 아침 출근길 침묵 선전전에 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