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겨울 133호 - 11월 29일 삼각지역 139차 삭발결의자 / 김도현
2022.11.29.
삼각지역
139차 삭발결의자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이제 읽으려는 이 글은 투쟁결의문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긴 한데요, 단어의 본래적인 의미에서 보자면 이번 삭발을 제가 ‘결의했다’고 말하는 건 정확하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3월 말부터 시작된 이 릴레이 삭발 투쟁이 50회 차를 넘어가고 100회 차에 다가서면서, 만일 이 투쟁에 어느 날 구멍이 생긴다면 그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마다하지는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었던 것이죠. 그러고 보면 저에 앞서 일백 서른여덟 번의 삭발을 주말과 휴일을 빼면 하루로 거르지 않고 이어온 동지들의 투쟁이 저를 ‘결의시킨’ 것에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000년대 초반 이동권 투쟁을 시작하던 당시, 지하철 선로도 여러 번 점거했고, 또 지하철 타기 투쟁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20년이 지나 같은 방식의 투쟁을 같은 요구를 걸고 하게 되리라고는 사실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만큼 한국 사회의 변화는 형식적이었고,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기만하고 회피해 왔던 것이죠. 저는 과거 전장연에서 상근할 당시 주로 정책을 담당했었는데요, 그때 자주 했던 얘기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정책이 없어서 장애해방이 안 이루어지냐!’라는 말이었죠. 사실 우리의 요구는 매우 간명하고 또 단순합니다.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살아가는 것’, 여기에 무슨 엄청나게 대단한 정책이 필요할까요.
그런데 그 당연한 시민의 권리를 장애인이 보장받기 위해서는, 단지 정책 같은 차원의 것이 아니라 이 사회의 기본 질서 자체를 재구축해야 한다는 것, 그 질서를 규정하는 자본의 권력과 비장애중심주의적 권력을 해체해 나가야 한다는 것, 고병권 선생님 말을 빌리자면 “사회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학교조차 갈 수 없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지난 20여 년간 투쟁하면서 배우고 깨달아 온 사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2001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요구를 20년 넘게 외치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분명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고, 또 커다란 발전을 이루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당시에는 시설민주화를 이야기했다면 이제 우리는 ‘탈시설’을 이야기하고 있고, 당시에는 우리조차 상상하지 못했던 최중증장애인의 노동권을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통해 요구하고 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당시에는 한 달의 천막농성을 지킬 실무자가 없어 힘겨워 했지만, 이제는 1,842일간의 농성을 ‘조직적으로’ 사수해 낼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고, 또 이렇게 8개월에 걸친 삭발 투쟁을 매일 같이 결의해 낼 수 있는 동지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의 손을 맞잡은 단단한 우리가 있기에,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장애인권리예산을 기필코 쟁취해낼 수 있을 거라고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될 때까지 할 테니까요.
저는 현재 노들장애학궁리소라는 곳에서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장애인운동에 결합하고 있습니다만, 이번처럼 제게 요구되는 역할이 있다면 언제든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 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투쟁이 장애해방을 향한 새로운 질서를 열어가는 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더 치열하게 읽고, 고민하고, 쓰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투쟁하겠습니다. 투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