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2.6.30.

삼각지역

62차 삭발결의자

 

 

조재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조재범이 삭발한 머리 위에 \'장애인권리예산 쟁취\' 구호가 적힌 머리띠를 두르고 발언하고 있다.JPG

 

 

 

   5살 때 신촌세브란스병원 부설 연세재활원에 입원해 수술과 재활치료를 받고 초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재활원에 입원했을 때 가장 싫었던 건 가족과 떨어져 살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재활원에 가고 싶지 않았지만 부모님은 자세한 설명을 해주지 않고 절 재활원에 입원시켰습니다. 매일 밤 가족이 보고 싶어 많이 울었습니다. 혹시라도 부모님이 사고로 돌아가실까 봐 불안과 걱정에 시달렸습니다.

 

   재활원 생활에서 또 제일 싫었던 건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고, 똑같은 메뉴로 밥 먹고, 정해진 날에 목욕하고, 집에 갈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재활원은 저녁 8시에 자서 아침 6시에 일어나 오전 7, 12, 오후 5시에 아침, 점심, 저녁을 먹어야 했습니다. 가장 많이 나온 반찬은 멸치를 넣고 끓인 김치찌개입니다. 또한 매주 화요일 아침에 목욕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한 달에 두 번 토요일에 부모님이 미리 외출증을 써야 집에 갈 수 있었고 외출증이 없으면 집에 갈 수 없었습니다. 당시는 군사정권 시절이라 신촌 대학가에서 데모를 많이 해서 데모가 시작되면 차량통제로 집에 못 갈까 봐 걱정하는 날이 많았습니다.

 

   이런 삶이 시설에서의 제 삶이었습니다. 그런데 30~40년이 지난 지금도 시설에 사는 장애인은 이런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인권유린 사건이 일어나고 장애인이 죽어갑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는 일반 학교에 진학했습니다. 그때는 지금처럼 이동권이라는 말도 없던 시절이라 등교는 아버지가 출근길에 차로 시켜주셨고 하교는 같은 반 친구의 도움을 받아 택시로 했습니다.

 

   이런 생활은 대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계속됐습니다. 이나마도 그때는 목발로 보행해서 가능했습니다. 그 시절에 장애인 이동권이 잘 갖춰져 있었다면 택시를 탈 필요는 없었겠지요.

 

   지하철을 처음 타본 건 2001년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에서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할 때였습니다. 그때도 전장연은 정부에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투쟁했고 지금도 여전히 투쟁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하철 타기 투쟁을 해서 시민에게 불편을 주는 건 분명히 잘못된 일이고 죄송한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시민에게 불편을 주고 그로 인해 욕먹으면서까지 이렇게밖에 할 수 없는 건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이 나라의 모든 정부는 선거 때 우리에게 수없이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선거 끝나고 정권을 잡으면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기다리라고만 하고 약속을 지키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함부로 대해도 되는 존재가 아닙니다. 경찰은 우리가 지하철 타기 투쟁을 하는 게 불법이라며 처벌하겠다고 합니다. 우리는 처벌하면서, 법을 지키지 않은 정부는 왜 처벌하지 않나요?

 

   우리는 돈을 구걸하는 게 아니라 법이 보장한 권리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장애인권리예산은 우리에게 목숨이고 생명입니다. 지하철 타기 투쟁은 처절한 절박함의 표현입니다.

 

   우리의 당연한 권리가 보장될 때까지 동지와 끝까지 투쟁하겠습니다. 투쟁!

 

조재범이 삭발식 중에 눈물을 흘리고 있다.JPG

조재범 활동가가 삭발식 중에 눈물을 흘리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2년 여름 131호 - 6월 30일 삼각지역 62차 삭발결의자 / 조재범 2022.6.30. 삼각지역 62차 삭발결의자     조재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5살 때 신촌세브란스병원 부설 연세재활원에 입원해 수술과 재활치료를 ... file
903 2022년 여름 131호 - 7월 15일 삼각지역 71차 삭발결의자 / 장애경 2022.7.15. 삼각지역 71차 삭발결의자     장애경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노동자          저는 태어나면서 부터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file
902 2022년 여름 131호 - 지하철역에서 몸을 던지다 / 서기현 지하철역에서 몸을 던지다     서기현 센터판에서 '벽'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요즘에 '코딩'에 꽂혀있습니다. 나름 노후 준비일지도 모르지요? 센터판에서 노들판... file
901 2022년 여름 131호 - 장애인에게... 오체투지 투쟁이란... / 조재범 장애인에게... 오체투지 투쟁이란...     조재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안녕하세요? 저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권익옹호팀장을 맡고 있는 ... file
900 2022년 여름 131호 - 오체투지! 다시 시작이다 / 조상지 오체투지! 다시 시작이다     조상지 노들야학 학생. 중증장애인 권리중심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들야학 노동자 <장애인 왜 배워야 하나> 다큐 감독. 제 1회 박종... file
899 2022년 여름 131호 - 오늘도, 지하철을 탑니다 / 김미영 오늘도, 지하철을 탑니다     김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매일 아침 저녁 지하철을 이용하여 출퇴근을 합니다. 언제나 그랬듯 계단을 내려가 ... file
898 2022년 여름 131호 - 이것도 투쟁이다! / 조상필 이것도 투쟁이다!  '그러하기에 돌아가는' 공장의 투쟁선전물 제작기!     상필 노란들판 공장에 있습니다. 현수막을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사회적기... file
897 2022년 여름 131호 - 우리의 연대가 혐오를 이긴다 / 소성욱 우리의 연대가 혐오를 이긴다      소성욱 한국청소년청년감염인커뮤니티알의 활동가로서 성소수자 인권과 HIV/AIDS 인권에 대해 고민하고 활동하고 있다. 행동하... file
896 2022년 여름 131호 - 희망의 물리적 근거를 위한 신배공의 연대 / 김희주, 구도희 희망의 물리적 근거를 위한  신배공의 연대      김희주, 구도희 신촌홍대권역배리어프리공동행동          2022년 3월 31일, 신촌과 홍대 권역을 중심으로 활동...
895 2022년 여름 131호 - 지하철과 골목이라는 이름의 벼랑 끝에서 / 이종건 지하철과 골목이라는 이름의 벼랑 끝에서      이종건 옥바라지선교센터          지난 4월, 사회선교 단체인 옥바라지선교센터의 활동가 동료이자 이웃 신학교에...
894 2022년 여름 131호 - 우리가 저곳에 함께 가기 위하여 / 김희우 우리가 저곳에 함께 가기 위하여      김희우 돌곶이 포럼          이곳에서 저곳으로, 나의 방에서 광장으로, 일터로, 학교로, 주민센터로, 경찰서로, 친구들이...
893 2022년 여름 131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단식과 깡통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단식과 깡통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 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둘러싼...
892 2022년 여름 131호 - 박경석vs이준석 「썰전라이브」 후기 / 박정수 박경석vs이준석 「썰전라이브」 후기 "고장샘, 굿 잡!"      박정수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이지만 연구활동은 아주 조금만 하고 있고, 대신 전장연 지하철 시위... file
891 2022년 여름 131호 - 자기결정권은 탈시설의 전제가 아니라 목표다 / 김도현   자기결정권은 탈시설의 전제가 아니라 목표다      김도현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비마이너> 발행인          2020년 12월 ‘장애인 탈시설 지원 등에 ...
890 2022년 여름 131호 - 악랄하게 잊혀지지 않기 / 박경석, 서한영교   악랄하게 잊혀지지 않기   노들장애인야학 신입교사세미나 질의응답 시간 중에 박경석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이사장의 답         정리_서한영교   1 왜 이렇게... file
889 2022년 여름 131호 - [노들아 안녕] 어느 순간 같이 웃고 떠들고 의지하고 / 남대일 노들아 안녕 어느 순간 같이 웃고 떠들고 의지하고      남대일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 입사한 지 벌써 4개월이나 된 남대일입니다.      ... file
888 2022년 여름 131호 - [노들아 안녕] 함께 비를 맞는 사람 / 김지현 노들아 안녕 함께 비를 맞는 사람      김지현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신입 활동가 김지현이라고 합니다. 글을 쓰려고 보니 제가 ... file
887 2022년 여름 131호 - [노들아 안녕]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 권오성 노들아 안녕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권오성 권오성님이 손으로 쓴 원고가 있다.                          [대체텍스트]       사회 홈리스 행동 단체로 노... file
886 2022년 여름 131호 - [노들아 안녕] 무엇이, 무엇이 닮았을까 / 박유리   노들아 안녕 무엇이, 무엇이 닮았을까      박유리       ”처음 보는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나한테 반말해.“ “볼 일이 있어서 동주민센터를 갔는데, 내 말... file
885 2022년 여름 131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에 왔어요 / 박찬욱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에 왔어요      박찬욱          안녕하세요! 노들야학 찬욱입니다~~!!~! 올해 2월부터 우당탕탕 신입활동가의 일상을 보내다보니 4개월이...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