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들아 안녕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

 

 

최유진

유진.jpg

 

 

   안녕하세요~ 노들센터 신입 활동가 유진입니다! 새로운 권익옹호 담당자구요. 매일 매일이 투쟁인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제가 입사를 하면서 노들센터에는 유진이 2명이 되었네요. 유리빌딩으로 보면 유진이 더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유진이라는 이름이 정말 흔하고도 자주 겹치는 이름이라 입사하기 전에 활동명을 지어 봤는데요.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는 뜻에서 작은 소리입니다. 그런데 입사를 하고 활동을 하다 보니 유리빌딩에서는 조은소리님이 계셨더라고요! 그래서 센터 안에서는 한 달 동안 소리라는 활동명으로 불렸고, 외부에 연대단위로 참여할 때는 유진으로 활동을 했습니다. 유진이기도 소리이기도 해서 호칭이 애매할 때가 있지만 편하신 대로 불러주시면 됩니다.

 

   센터가 첫 직장이기는 하지만, 작년에 센터에서 2달 정도 업무보조를 했고, 노들야학에서 공공일자리 월, 금 강사로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저를 알아보시는 분이 조금 있기도 하네요. 모두 너무 반갑기도 합니다. 제과제빵 자격증이 있는 건 아니지만 빵을 좋아해서 작년 초에 간식을 만들어 나누었던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이사 떡 돌리는 것처럼 비건 빵을 만들어볼까 하다가 생각보다 어려워서 늦어지고 있네요. 조만간 비건 간식을 만들어 나눔을 해보도록 할게요! (언제가 될지는 모릅니다! ㅎㅎ)

 

   노들에서의 활동을 하면서 가장 나다운 순간이 언제인지 들여다보게 되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남긴 흔적을 찾기보다 나의 방식을 맞춰 보려고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많이 소심하고 활동에 자신이 없는 모습들이 있었지만 노들과 유리빌딩은 사람들의 진심이 가득한 공간이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에게도 활동에도 정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보았던 노들에서의 많은 사람들은 스치던 짧은 인연도 놓지 않았습니다. 같이 술 마시고, 투쟁하고, 일하면서 함께했던 날들이 즐거운 추억으로 남아있습니다. 물론 마냥 즐겁기만 했던 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노들의 이런저런 인간적인 부분들이 활동을 시작함에 영향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아직 모르는 게 많아서 질문도 많이 하고 싶고, 모두와 친해지고 싶기도 합니다. 친화력도 적고 성격이 소심하기도 해서 우물쭈물 하고 있더라도 먼저 말 걸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노들에서 활동을 시작할 수 있어서 너무 좋고, 감사합니다. 앞으로 잘 지내보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876 2022년 봄 13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노들바람>은 노란들판에 속한 단체들이 '노들 편집위원회'를 꾸려 만들고 있습니다. 각 단체 활동가...
875 2022년 봄 130호 -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 21주기_다시, 버스를 타자 / 한명희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 21주기 다시, 버스를 타자!     한명희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데에 파견된 2년차 신입활동가. 노들야학 모꼬지 같이 갈 생각을 자주 ... file
874 2022년 봄 130호 - 혜화역 지하철 출근 선전전 - 장애인도 지하철 타고 출근합시다! / 박미주   혜화역 지하철 출근 선전전 장애인도 지하철 타고 출근합시다!     박미주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들을 만나 장애인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노들과 함께라... file
873 2022년 봄 130호 - 시간을 멈추는 자들 / 유진우   시간을 멈추는 자들     유진우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새벽 4:00 핸드폰에서 알람이 울린다. 알람에 적힌 내용은 ‘선전전 가자’이다. 그렇다. 4:00에 ... file
872 2022년 봄 13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죄 없는 시민은 죄가 없는가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죄 없는 시민은 죄가 없는가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다.... file
871 2022년 봄 130호 -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다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들야학이 제 20회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 file
870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사람 사는 세상 노들세상 / 류재용   노들아 안녕 사람 사는 세상 노들세상     류재용          여기는 좀 다를 것 같긴 했다. 안경 쓴 풍채 좋은 선생님이 연신 싱글벙글 웃으며 나의 입학상담을 ... file
869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불현듯 / 서한영교   노들아 안녕 불현듯     서한영교       그러니까 그게, 요즘 제가 좀 이상합니다. 집에 돌아가는 지하철 통로. 걷다가 불현듯, 내 앞에 걷고 있는 무수한 사람... file
»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 / 최유진   노들아 안녕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     최유진        안녕하세요~ 노들센터 신입 활동가 유진입니다! 새로운 권익옹호 담당자구요. 매일 매일이... file
867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아는 당연함 속에 장애인은 없었구나 / 류재영   노들아 안녕 내가 아는 당연함 속에 장애인은 없었구나     류재영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운영지원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류재영입니다. ... file
866 2022년 봄 130호 - 2022년 학생회장단 인사와 각오 / 장애경, 조상지 2022년  학생회장단 인사와 각오                         장애경      학생회장.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들야학 권익옹호 ... file
865 2022년 봄 130호 - [교단일기] 장애인노동자가 어떨 때 힘든가를 묻고 해결해나가기 위해 / 정우준   교단일기 장애인노동자가 어떨 때 힘든가를 묻고 해결해나가기 위해     정우준  언젠가 또 복직할 야학 휴직교사이자 노동건강연대 활동가         왜 ‘노동과... file
864 2022년 봄 130호 - 이것은 노동일까, 수업일까 / 박임당 이것은 노동일까, 수업일까    : 노들야학 교사회에서 토론한 권리중심노동과 평생교육의 연결고리 찾기     박임당  어느 시점부터 계속 권리중심공공일자리만 <... file
863 2022년 봄 130호 - 납작하게 보지 않기 / 민푸름 납작하게 보지 않기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2022년 노들센터는 앞으로 3년간의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종로구 주거권 옹호활동’을 포... file
862 2022년 봄 130호 - 자립지원주택의 코로나19 모의훈련 / 최정희 자립지원주택의 코로나19 모의훈련      최정희 센터판 장애인자립생활주택 코디. 2015년 입사해서 체험홈, 자립생활주택 체험형, 다형을 쭉 코디로  활동하다가 ... file
861 2022년 봄 130호 - [욱하는 女자] (특수 케이스니까 추가요금이 든다고??? 왜???) / 박세영  욱하는 女자 특수 케이스니까 추가요금이 든다고??? 왜???      박세영 최근 새로운 목표를 가지고 도전해보고자 불끈불끈하고 있는 센터판의 고인물 박세영 입... file
860 2022년 봄 130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과 활동지원사의 고충을 소통해보아요 / 서기현, 이수현, 팀장님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과 활동지원사의 고충을 소통해보아요     정리_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기현 소장, 서비스지원팀 팀장, 이수현 활동가         활... file
859 2022년 봄 130호 - 노들센터의 조직문화 워크숍 후기 / 꼬비 노들센터의 조직문화 워크숍 후기      꼬비 어쩌다보니 노들센터 4년 차 활동가가 된 꼬비입니다.        여러분이 일하고 싶은 단체는 어떤 원칙을 가지고 있는... file
858 2022년 봄 130호 - 아 / 이승미 아      이승미                                 file
857 2022년 봄 130호 - 함께할 때 비로소 가능한 배움 <모두의 학교> / 김유미 함께할 때 비로소 가능한 배움 &lt;모두의 학교&gt;      김유미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일도 종종 하는 사람        &lt;모두의 학교&gt;   제작년도 : 2017년   감독 : 도시...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