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박영윤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실 비서관. 전 마을활동가.

 

 

 

 

   <약자의 눈>은 국회 최초 장애와 노인 관련 의원 연구 단체입니다. 

18년 만에 국회로 돌아온 김민석 의원이 “장애,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연구단체를 만들고 싶다고 했을 때 저는 제 귀를 의심했습니다. ‘마을활동가 출신인 나의 정무적 판단 능력을 의심해서 떠보는 걸까?’ 의원의 테스트에 절대 말려들지 않으리라 다짐한 저는 “민원은 골치 아프고, 실익은 없을 것이며, 전문가풀은 의정활동에 큰 도움이 안 될 것 같습니다. 긴 안목으로 본다면 외교 안보나 한반도 평화, 기후위기 같은 큼직한 연구주제가 어떻겠습니까?” 하고 되물었습니다. 

 

   하지만 의원은 만약 다시 정치를 시작한다면 “장애인과 노인”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고색창연한 아젠다보다 장애 청년과의 대화에서 심장이 뛰었다는 의원의 말을 듣고, 저는 밤새 잠을 설쳤습니다.

 

   20대 초반 장애인야학에서의 ‘행복했지만 몹시 힘들고 아팠던 기억들’이 새록새록 떠올랐습니다.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저는 5년간 장애인야학에서 일했습니다. 뜻하지 않은 개인사로 한국을 떠나 일곱 해를 나라 밖으로 떠돌 때까지 가장 치열했던 청년 시절을 장애인야학에서 보낸 셈입니다. 그래서 <약자의 눈>은 제겐 “20여년 밀린 숙제”처럼 느껴졌습니다.

 

   생각해보면 우리 헌법 제10조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며 보편적 인권과 행복권을 말하고 있음에도 사회적 약자들은 당연하지 않은 시대를 살고 있는 셈입니다. 

 

   비가 쏟아지던 이른 아침 약자의 눈 창립총회, 궂은 날씨에도 국회도서관 강당을 가득 메웠던 이들이 생각납니다. 준비한 방명록이 모자랄 만큼 예상치 못한 인파였습니다. 감사하기도 했고 감동이기도 했고 무엇보다 잘해야겠다는 무거운 책임감이 느껴졌습니다. 

 

   아마 그 마음은 우리 의원도 마찬가지였을 거라 생각합니다. 장애인의 자유로운 이동, 교육, 노동을 위한 연속 세미나에서 바쁜 일정 때문에 인사말만 하고 자리를 뜨기로 했던 의원은 3회 세미나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자리를 지켜 모두를 놀라게 했습니다. 사실 토론회 참석자가 행사 내내 착석을 하는 게 놀랄 일도 대단한 일도 아님에도 말입니다. 그럼에도 일정을 늦추면서까지 장애인 이동권, 중증장애인의 공공일자리, 장애인평생교육 등 낯설지 모를 연구주제에 열성과 관심을 가지는모습을 보면서 마음 한 켠이 따스해졌습니다. 

 

   먼 길을 돌아 아무도 가지 않는 길에서 우리들은 만났습니다. 그 길에서 우리는 함께할 친구를 얻고, 따스한 시선을 가진 정치인을 얻고, 20여년 만에 숙제를 제출할 기회를 얻은 것입니다. 아무도 차별받지 않고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꿈꾸어봅니다. 

 

 

IMG_7722.JPG      photo_2020-07-20_15-36-08.jpg

 

photo_2020-07-20_10-09-46.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0년 가을 124호 -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 박영윤       정치는 약자의 눈을 통해 미래의 눈이 되는 것입니다                 박영윤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의원실 비서관. 전 마을활동가.            &lt;약자의 눈&gt;... file
703 2020년 가을 12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약자의 눈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약자의 눈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 file
702 2020년 가을 124호 - 장애인 노동자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 정우준         장애인 노동자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2020년 5월 22일 조선우드에서 사망한 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을 기억하며                        정우준... file
701 2020년 가을 124호 - 이제 남은 것은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 김윤영           이제 남은 것은 ‘의료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를 위해 나아가자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 file
700 2020년 가을 124호 - 문재인 대통령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라는 약속을 지켜주세요 / 이형숙                     문재인 대통령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라는 약속을 지켜주세요         이형숙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하는 이형숙입니다. 사무실 ... file
699 2020년 가을 124호 - 전동행진, 멈추지 않는 투쟁의 길로 나아가자 / 변재원             전동행진, 멈추지 않는 투쟁의 길로 나아가자                     변재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초보 활동가. 투쟁의 현장에서는 활동가들에게 먹... file
698 2020년 가을 124호 - 3년 후 나는 장애가 나아집니다 / 서기현       3년 후 나는 장애가 나아집니다  정말입니다. 나라님들이 그랬...... 에휴......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어머니의 태몽에... file
697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자립하고 노들야학에서 배움을 시작했어요 / 이용수       [노들아 안녕] 자립하고 노들야학에서 배움을 시작했어요         이용수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귀염둥이 이용수라고 해요 저는 작년 11월 한... file
696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장판’의 역동성에 매력을 느꼈어요 / 유금문         [노들아 안녕] ‘장판’의 역동성에 매력을 느꼈어요      유금문                                                                                    ... file
695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 다시한번 노들아 안녕 / 안연주       [노들아 안녕] 다시한번 노들아 안녕                                                                         안연주                 공장에서 일하는... file
694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 돌아왔습니다 / 박준호            [노들아 안녕]   노들에 돌아왔습니다                                                           박준호            노들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4... file
693 2020년 가을 124호 - 상처 주고받으며 배움 쌓는 인권교육 / 허신행                     상처 주고받으며 배움 쌓는 인권교육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장애인근로지원사업, 복지일자리사업을 맡고 있습니다....
692 2020년 가을 124호 - [욱하는 女자] 그렇게 해서 다 $#$%##$ 있다면 진짜...어후!!!!! / 박세영       [욱하는 女자] 그렇게 해서 다 $#$%## 있다면 진짜...어후!!!!!!!!!!!!!!!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 file
691 2020년 가을 124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지금은 예쁜 집에서 혼자 살아요 / 김수지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지금은 예쁜 집에서 혼자 살아요           김수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자립생활주택에서 4년을 살았습 니다. ...
690 2020년 가을 124호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두 번째 만남 / 박선봉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두 번째 만남             박선봉 석관동 센터판 자립생활주택 다형 활동지원사                      큰 부담을 안고 첫 ... file
689 2020년 가을 124호 - 노들장애인야학 27년째 역사를 맞다 / 천성호                 노들장애인야학 27년째 역사를 맞다 개교기념식 행사 풍경             글  천성호 야학에서 함께 만나, 함께 꿈꾸고, 집회도 함께 하고, 가난한... file
688 2020년 가을 124호 - [교단일기] 결과보다 깎는 과정, 우드카빙 수업 / 최진학           [ 교단일기 ] 결과보다 깎는 과정, 우드카빙 수업 특활수업 목공반 3학기째인 최진학 선생님             이야기 질문과 정리: 정종헌               I... file
687 2020년 가을 124호 - 세상 끝까지 학사모를 던지자! / 김진수       세상 끝까지 학사모를 던지자! 노들야학 낮수업 졸업식               김진수 제 소개는 김종삼 시인의 ‘걷자’라는 시로 대신합니다. ‘걷자 방대한 공해 속... file
686 2020년 가을 124호 - 제5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하다!!! / 박세영         제5회 성북장애인인권영화제 개최하다!!!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고 ... file
685 2020년 가을 124호 - [동네한바퀴] 성숨통을 틔우는 해방운동, DxE / 은영         [동네 한 바퀴] 숨통을 틔우는 해방운동, DxE 동물권 직접행동 DxE 은영 님 인터뷰      대형마트 식육코너 앞에서 ‘음식이 아니라 폭력이 다’라는 구호...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