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0 노들야학 천막 교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 칩시다

 

김진수

요즘 가장 좋아하는 건 걷고 또 걷기

 

김진수_1.jpg

 

  5월의 어느 날, 노들야학은 1층 주차장에 노란 천막을 쳤다. 샛노란 천막은 그 자태만으로도 눈이 부셨는데, 봄 하늘이 주는 햇볕을 가득 머금어서 그런 듯했다. 어두웠던 주차장을 환히 밝히는 천막엔 어디서 알았는지 벌이며 나방이며 여러 벌레들이 날아들었다. 그때, 벌레를 본 한 선생님이 어릴 적 이야기를 꺼냈다. ‘내가 어릴 때 노란색 옷을 입고 개울가를 건넌 적이 있는데, 벌레들이 나한테 다 오더라구요. 벌레들은 노란색을 좋 아해요. 노란 천막을 보고 동네 벌레들이 많이 올 거에요.’ 그 많은 벌레들이 좋아하는 색이 노란색이라면 노란색은 세상에서 가장 많은 생물이 좋아하는 색일까? 라는 생각을 했다. 코로나로 인해 수업은 일주일에 두 번 임시수업 형태로 짧게 진행됐고, 오후 3시가 되면 학생들은 모이기 시작했다. 차량이 자주 오고 가는 주차장이라, 교사 두 명이 조를 짜 안전 지킴이를 했다. 안전 지킴이의 일이란 노란 조끼를 입고 차량이 들어오거 나 나갈 때마다 형광봉을 위아래로 흔들어 알리고, 학생들이 천막에 진입할 때까지 주위를 살피며 안내하는 것이다. 수업은 5시부터 6시반까지 네 동의 천막에 두 반을 나눠 진행했다. 방음이 안 되는 상황이라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래도 천막 야학이 끝날 때까지 수업은 별 탈 없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급식 은 배식 대신 들다방 도시락으로 대체했는데, 천막에서 함께 먹는 도시락은 사람들에게 색다른 기분을 느끼게 했다.

 

  비가 많이 내렸던 날이 있었다. 교사, 학생, 활동지 원인이 모두 모여 넉가래와 빗자루를 들고 주차장에 고여 있는 물을 쓸어내렸다. 그치지 않는 비에, 비를 쓸고 쓸어도 물은 차고 또 찼다. 비는 수업이 끝나고 한참이 지나서야 잦아들었고, 비가 잦아들자, 사람들은 천막이 비에 기울지 않도록,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천막 구석구석을 살피고 집으로 갔다. 집에 가는 길에 본 천막은 낮에 머금은 햇볕을 모두 토해낸 채 우두커니 서 있었다.

 

  노들야학이 주차장에 천막을 치게 된 건 5월부터 시작하는 엘리베이터 공사 때문이었다. 작년에 계획했 던 공사가 시공사의 일정으로 올해로 미뤄졌고, 갑자기 코로나가 터지면서 야학의 수업이 임시수업으로 진행 되는 틈을 타, 미뤘던 공사를 5월에 시작하기로 한 것이다. 주차장에 천막을 치자는 제안은 누구나 예상하듯, 예상하지 못한 답으로 문제를 타개하는 교장샘이 했다. ‘코로나로 인해 공간을 대여하기도 어렵고 우리 가 임시수업이라도 진행하려면 천막을 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는 말로 모두를 설득했다. 그렇게 결정된 천막 치는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대여하는 돈이나 사는 돈이나 거기서 거기여서 천막은 사기로 했다. 기존의 파랑 천막 대신 노란 천막을 사자는 제안으로 노란 천막을 주문했고 주차장 한 면을 다 채우기 위해 다섯 동을 치기로 했다. 그런 과정을 거처 5월 초 노들의 주차장엔 노란 천막이 들어서게 된 것이다.

 

  노들에게 천막을 친다는 것은 익숙한 일이다. 2008년 초 겨울 노들은 마로니에 공원에 천막을 치고 천막 야학을 했는데, 그 때의 천막 야학이 밑불이 되고 불씨가 되어 지금의 번듯한 공간을 얻을 수 있었다. 그렇기에 노들에게 천막은 수업을 지속하기 위한 공간으 로써의 의미뿐만 아니라 밑불, 불씨 같은 희망의 의미 일지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엘리베이터가 고장 나든 유리빌딩이 허물어지든, 어떤 ‘그럼에도’의 상황이 오더라도 불구(얽매여 구애되지 않는)하자는 의미를 가진다. 그런 의미에서 2020년 5월 노들의 천막야학은 2008년 노들 천막야학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우리는 언제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막을 치자는 의미에서 말이다.

 

 

김진수_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33 2020년 겨울 125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상원 의원과 전역 하사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상원 의원과 전역 하사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 file
732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그동안 없었던 수많은 질문과 느낌표가 생기다 / 양지연           노들아 안녕 그동안 없었던 수많은 질문과 느낌표가 생기다     양지연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비스지... file
731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낯설고 처음 접해보는 일들에 적응 중 / 허지혜         노들아 안녕 낯설고 처음 접해보는 일들에 적응 중     허지혜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익옹호 팀에서 일하고 있는 허지혜입니... file
730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무용(無用)’한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 /김윤교                 노들아 안녕 ‘무용(無用)’한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     김윤교             무용(無用)하다는 말은 가히 폭력적입니다. ‘쓸모없다’는 표현을 無...
729 2020년 겨울 125호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를 소개합니다 / 김상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를 소개합니다             김상현 저는 끌려와서 가만히 앉아있는 노동권위원회 공동위원장입니다. 이 글도 이현아...
728 2020년 겨울 125호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탈시설위원회 간사를 맡았습니다 / 김지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탈시설위원회 간사를 맡았습니다     김지윤 장애와 법을 공부하는 전직 노들야학 교사                          긴긴 코로나 &am...
727 2020년 겨울 125호 - [교단일기] 나는 ‘야매’ 선생입니다 / 정민구         교단일기 나는 ‘야매’ 선생입니다         정민구 타로반 ‘야매’교사 정민구(재밌게 사는 게 인생 목표입니다)                  나는 타로카드를 정식으... file
726 2020년 겨울 125호 - 박희용의 노동, 탈시설 + 근황 / 정종헌       박희용의 노동, 탈시설 + 근황 노들야학 청솔1반 박희용 인터뷰         진행, 정리 :정종헌 노들야학 교사. 내 삶의 답을 탐구하고 있다. “보이는 희망은 ... file
725 2020년 겨울 125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놀이터, 통 합 놀 이 터 만 들 기 / 김필순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놀이터 통 합 놀 이 터 만 들 기           김필순 통합놀이터 법개정 추진단                   페이스북을 하다보면 가끔 외국의... file
724 2020년 겨울 125호 - [욱하는 女자] 누구를 위한 인도...???? / 박세영               욱하는 女자 누구를 위한 인도...????                     박세영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완벽함을 좋아하지만 누구도 완벽한 사람이 없다... file
723 2020년 겨울 125호 - 치맥데이는 치맥데이일뿐, 오해하지 말자~♬ / 권민희         치맥데이는 치맥데이일뿐, 오해하지 말자~♬         권민희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게 아쉬운(?!) 바쁜 매일매일을 활동하는 센터판 사무국장 권민희(and ... file
722 2020년 겨울 125호 - 장애인파워싸커대회 우승을 꿈꾸며...^^;; / 조재범                   장애인파워싸커대회 우승을 꿈꾸며...^^;;               조재범 파워싸커가 패럴림픽 종목이 되길 고대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조재범    ... file
721 2020년 겨울 125호 - [뽀글뽀글 활보 상담소] 밥 값, 누가 내야 하냐고요?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밥 값, 누가 내야 하냐고요?         서기현 장애인자랍생활센터판                 왜 이 어렵고 민감한 얘기를 굳이 하려드는가... file
720 2020년 겨울 125호 -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 장주연           사람답게, 인간답게, 존중받고 싶었던 사람들 장애해방열사 교육을 듣고 나서         장주연 노들센터 주연. 안녕하세요, 하루하루 활동이 무엇인지 ...
719 2020년 겨울 125호 -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 치명타         ‘들다방과 단골들’이 만드는 ‘날 보고 싶다면’ 2020년 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이야기                                               치명... file
718 2020년 겨울 125호 -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 <장기자랑> 관람 연대기 / 천성호       세월호 가족극단 연극&lt;장기자랑&gt; 관람 연대기       천성호 노들야학의 국어 선생님. 더 넓고, 큰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살고 있다.            ...
717 2020년 겨울 125호 -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박정수                     온몸으로 흔들리는 사람 홍은전 : 『그냥, 사람』 북토크 참관기           박정수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두 학기 철학 수업 후 쉬고 있... file
716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 김도현         노들 책꽂이 장애의 시좌에서 재구성한 미국사 킴 닐슨, 『장애의 역사』, 김승섭 옮김, 동아시아, 2020         김도현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발행인... file
715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 김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노들의 온갖 ‘첫’ 일을 기억하는 사람, 김혜옥 『미래로 가는 희망버스 : 행복한 장애인』 펴낸 김혜옥 동문 인터뷰     인터뷰, ... file
714 2020년 겨울 125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님 / 김유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영만엄마’,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배우 이미경 님     인터뷰, 정리 : 김유미 편집위원                지난 11월 20...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8 Next
/ 58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