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최은화 │ 노란들판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멍하니 있는 것. 오랜 시간 걷는 것. 오랜 시간 잠자는 것을 좋아합니다. 느리지만 천천히 조금씩 더 나은 사람이 되고픈 사람입니다.

 

 

꾸미기_최은화_여기모여-노란들판.jpg

 

 

  얼마 전 한 여성 검사의 검찰 내 성추행 피해 사실 폭로를 시작으로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빠트렸던 유력 정치인의 비서 성폭행 사건(이 역시 피해 여성의 용기 있는 고발에 의해 밝혀진 사건)과 함께 검찰, 정치계, 연예계 할 것 없이 여기저기서 수많은 여성들의 성폭력 피해 사실들이 알려졌습니다. 용기를 낸 피해자들의 입을 통해 많은 가해자들이 폭로되었고,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위드유(With You,당신과 함께) 운동으로 피해자들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여성들의 연대의 물결 또한 거세게 일었습니다. 노란들판 ‘여기모여(노란들판 내 여직원들의 모임)’상반기 모임에서는 3월 8일 여성의 날을 기념하고 최근 일고 있는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의미로 우리들 각자의 미투(Me Too)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성’으로서 우리들이 겪었던 사소하지만 전혀 사소하지 않은 문제들을 이야기해보며 우리부터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며 가까운 곳부터 어떻게 변화시킬수 있을지 서로의 생각을 나눠보기 위한 자리였습니다. 금요일 밤, 업무시간이 끝난 후 노란들판 여직원들은 회의실에 빙 둘러 앉아 함께 저녁을 먹고, 한창 올라오고 있는 미투 관련 기사들에 대한 이야기부터 우리 주변에서 느꼈던 (혹은 겪었던) 일들을 이야기해보기 시작했습니다. 매스컴에서 보았던 불편한 상황들에 대한 이야기는 자연스레 내 주변에서 겪었던 이야기가 되었고, 또 자연스레 내가 겪었던 불편했던 이야기들이 되었습니다. 막상 어떤 이야기를 꺼내 놓아야 할지 머뭇거렸던 순간도 잠시 서로에게서 많은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시간이 어떻게 흐른 지도 모른 채 두 시간이 훌쩍 흘렀고, 밤 10시가 훨씬 넘어서야 이야기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많은 이야기들이 테이블 위에 쏟아졌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들 계속 되어야 할 것 같은 끝나지 않은 질문들과 답을 내리지 못한 해결책들은 여전히 그대로 남겨졌습니다. 별로 나는 할 말이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공감되는 이야기들이 너무 많아서 놀라웠다는 사람도,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위안을 받아서 좋았지만 한편으로 겪지 않으면 좋았을 일들을 조금씩 경험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는 사람도, 서로의 이야기를 나눈 것만으로도 위로를 받고 치유가 되었다는 사람도, 노란들판 내에서 성평등 문화를 위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함께 고민하고 노력했으면 좋겠다는 사람도, 저마다 더 나누지 못한 이야기에 아쉬움과 긴 여운을 남긴 채 한동안 자리를 떠나지 못했습니다.

 

이날 우리들의 미투가 누군가에겐 지극히 별 것 아닌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여자들의 이야기로 들릴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지금 우리들의 이야기는 그리고 지금 일어나고 있는 움직임은 ‘어떤 구조’에서 ‘약자’인 ‘여성’이 겪는 불편함과 부당함 앞에서 순응하고 무뎌지는 것이 아니라 예민함으로 나를 지키고, 용기있게저항하는 간절한 마음의 표현인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약자’는 장애를 가진 사람, 남성이지만 남성이 아닌 사람, 여성이지만 여성이 아닌 사람, 가난한 사람, 노인, 어린 아이, 권력 아래 억압받는 많은 사람들일 수도 있음을 알고 서로를 돌아볼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인 것임을. 이것은 결코 별 것 아닌 문제가 아닌 것임을. 프로듀서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사실을 밝힌 미국의 가수 레이디 가가는 자신의 경험을 담은 노래 Till It Happens To You에서 이런 말을 합니다

 

 

레이디가가 - Till It Happens To You

 

 

You tell me "it gets better, it gets better, in time"
당신은 저에게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거야"라고 말하죠.

 

You say "I'll pull myself together, pull it together, You'll be fine."
당신은 "넌 괜찮아질 거야"라고 말하며 고통에서 멀어지라고 말하죠.

 

"Tell me what the hell do you know,
다시 한번 말해보세요, 당신이 뭘 하나요?

 

How could you know
당신이 그걸 어떻게 알겠냐구요

 

Till it happens to you, you won't know.
당신기 겪기 전까지, 당신은 모를 거예요.

 

how it feels
그 고통이 어떤지

 

how it feels
그 고통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Cause until you walk where I walk,
제가 걸은 곳을 당신이 걷기 전까지

 

It's just no joke.
그 고통을 쉽게 생각하지 마세요.

 

Till it happens to you, you won't know how I feel
당신이 겪기 전까지, 당신은 제가 느끼는 고통을 모를 거예요.

 


용기를 낸 피해자에게 또 다른 폭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기를, 지금의 이 물결이 그녀들을 보호하고 지켜주기를, 가해자가 가해자로서 처벌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폭력과 억압으로 누군가의 삶을 함부로 짓밟을 수 없는 사회가 될 수 있기를 우리 모두는 바라고 또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436 2018년 여름 115호 - 「이동권」 / 김명학 「이동권」     김명학 │ 노들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2001년부터 시작된 이동권이 다시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동권 투쟁을 한 지도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
435 2018년 여름 115호 -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 최한별·박경석 TFT 전문가 PKS를 만나다     최한별 │ 비마이너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고양이,떡볶이를 좋아합니다. 사주는 거 대환영♥ 만들어주는 건 더 환영♥     ... file
434 2018년 여름 115호 - <부싯돌> 그리고 다시 박경석 / 장선정 &lt;부싯돌&gt; 그리고 다시 박경석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제가 자꾸만 ‘그 때를 아십니까?’류의 이야기만 하는 것 같아서 죄송하지만, 이번도 같... file
433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무브 페스테자와 노들음악대! 함께 불러오는 바람     화경, 무브 │ 하자작업장 학교 페스테자           쌀쌀하던 늦겨울에 시작된 수업이 어느새 4개월이 지나 수업... file
432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아 안녕]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 이동호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이동호 │ 저는 강원도 철원에서 온 이동호입니다. 제가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지 얘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전라도... file
431 2018년 여름 115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초심을 잃지 말자 /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최창문   초심을 잃지 말자 ▶ 初 心 不 忘 (초심불망): 처음에 다진 마음(초심)을 잊지 말라는 뜻.   누구나 알고 있는 명언... 내가 요즘 ... file
430 2018년 여름 115호 -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 명희 하루하루 살아가며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명희 │노들장애인야학         몇 주기가 되었는지 손으로 꼽아 봐도 여전히 믿기지가 않습니다. 평원재단에 이종... file
429 2018년 여름 115호 - 김호식을 추모하며 / 고병권 김호식을 추모하며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며, 인간학을 둘러싼 전투의 최전선... file
428 2018년 여름 115호 -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 조아라 저항으로 일구는 땅, 대항로 조아라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대항로로 정착한 후, 책상에 물건이 하나둘 쌓이는 게 뿌듯합니다. 글쓰기를... file
427 2018년 여름 115호 -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빚 진 마음에 벽돌을 놓습니다. 대항로 시대를 여는 벽돌 후원인 이야기   박정숙 │ 노들야학 한소리반 재학생이고 노란들판 상근 활동가입니다.       오십을 훌...
426 2018년 여름 115호 - [교단 일기]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 정석환 6년 만에 다시 시작한 미술수업   정석환 │노들 미술반 교사. 어쩌다 보니 전공과는 별 관계없는미술 교사를 맡고 있다.          원래 2011년부터 12년까지 대략... file
425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 민아영 노들피아드, 과거시험... 폭소수학대회? '야학 수학수업 교사들의 이야기'       민아영 │ 노들장애인야학 자원교사이면서,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상근하고 있습... file
424 2018년 여름 115호 -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우웨~ 우웨~"에 갈 거야~~~~" / 윤제원 노들야학 발달장애인 낮활동 &quot;우웨~ 우웨~&quot;에 갈 거야~~~~&quot;       윤제원 │ 장애인거주시설 인강원장. 25년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로서 근무했지만 ...
423 2018년 여름 115호 -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 박시백 백야 속의 한줄기 어둠 CDC디자인학교!     박시백 │ 글 첫 줄에 나오듯이 12년차 노란들판 디자이너. 노란들판에서 맥주맛을 아는 유일한 존재. 시크한 따스함을... file
422 2018년 여름 115호 -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 진영인 장애와 인권 발바닥행동 × 노란들판 진영인│노란들판에서 전화 받고 있습니다. 진지한 글쓰기에는 재주가 없습니다.     #만남 일시 : 4월 13일 금요일 오후 7시 ... file
421 2018년 여름 115호 -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 김동림·천성호 동림과 성호의 좌충우돌 인권 교육   김동림 │노들야학의 학생이며 여러분과 함께 할 김동림입니다. 천성호 │노들야학을 통해 노란들판을 만들어가는 천성호입니... file
» 2018년 여름 115호 -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 최은화 여기모여 - 우리들의 미투     최은화 │ 노란들판에서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멍하니 있는 것. 오랜 시간 걷는 것. 오랜 시간 잠자는 것을 좋아... file
419 2018년 여름 115호 - 끝나지 않은 2009년! / 탁영희 끝나지 않은 2009년!     탁영희 │ 처음 노들바람에 글을 쓰게 되어 어색해요. 저는 올해 20살이 되었어요. 요즘 오산과 서울을 왔다 갔다 하며 두 집 살림하는 ... file
418 2018년 여름 115호 -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정창조  ‘때맞지 않음’의 ‘때맞음’ 영화 &lt;공동정범&gt; 공동상영회 후기     정창조 │ 집보다 노들에 있는 시간이 더 많다. 길게 잠을 자고 싶어 한다.   사건은 흔적을 남... file
417 2018년 여름 115호 -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 하금철 미셸 푸코와 함께 장애를 읽다 '장판에서 푸코 읽기' 강좌 후기     하금철 │ 두 발은 분주하고 마음은 평화로운 사람이 되고 싶지만, 현실은 그저 유리빌딩 기생...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