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3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는 곳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공부를 ‘궁리’라고 부릅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궁리’(窮理)에는 ‘이치를 끝까지 따진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장애’를 규정하는 근거에 대해서 바닥까지, 아니 그 아래까지 따져 묻고자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궁리’가 ‘장애’를 타자화함으로써 자신을 정립하는 ‘비장애성’(nondisability)―소위 ‘정상성’―의 근거를 파헤치는 일이기도 하다는 것을 압니다. 장애에 대한 물음은 우리 자신의 규정에 대한 물음이자 그 규정이 깨지는 곳에 대한 물음입니다. ‘궁리’란 거기까지 공부를 밀고 가겠다는 우리의 이론적 다짐입니다.


다음으로, ‘궁리’(窮理)에는 ‘상황을 타개할 실천적 전략’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장애’라는 이름 아래서 우리를 억압하고 병들게 하는 온갖 삶의 형식들을 부수어나갈 운동의 지혜와 전략을 ‘궁리’할 생각입니다. 고립, 배제, 방치, 포기, 시
혜 등의 부정적이고 예속적인 삶의 형식을 타파하고, 자율적인 공동의 삶을 위한 전략들을 궁리하겠습니다. ‘궁리’란 공부를 투쟁으로 만들겠다는 우리의 실천적 다짐입니다.


노들장애학궁리소는 우리 사회의 장애인들이 던진 무수한 말들, 때로는 고함으로 때로는 신음으로 때로는 몸짓으로 던졌던 그 말들, 대부분 사회화되지 못한 채 바깥에서만 맴돌다 사라져버린 그 말들 위에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그 소중한 말들이 살아나는 그런 장(場)을 만들어가겠습니다. 말들이 만나는 장, 개념이 생겨나는 장, 새로운 삶의 형식이 구상되는 그런 장을 만들어가겠습니다. 이를 위해 말하고 쓰는 일, 생각을 옮기고 실천을 알리는 일을 열심히 하겠습니다.


우리는 한국 장애인운동의 경험 속에서 ‘자율적 삶’을 향한 투쟁이 결국 ‘함께 하는 삶’을 향한 투쟁이었고, ‘함께 하는 삶’을 통해서만 ‘자율적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공부, 우리의 ‘장애학-하기’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장애학-하기’를 ‘장애학-함께하기’로 고쳐 부릅니다. 장애학을 함께 생각하고 실천하고, 살아가는 것. 장애/비장애의 분할을 넘어선 공동의 존재로 우리 자신을 변형시키고, 장애를 산출하는 세계를 변혁하기 위해 투쟁하는 것. 그러나 노
들장애인야학 교가의 노랫말처럼, 우선은 밑불이 되고 불씨가 되는 것. 장.애.학.함.께.하.기. 이것이 노들장애학궁리소가 여러분에게 보내는 다짐이고 선언이며 초대입니다.


여러분, 함께 해요!


노들장애학궁리소 웹사이트 주소 http://goongree.ne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64 2017년 봄 110호 - [노들 책꽂이]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 노들 책꽂이 】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콜린 반스 외 엮음,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김도현 옮김, 그린비, 2017.) 박정수 | 20... file
» 2017년 봄 110호 -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는 곳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공부를 ‘궁리’라고 부릅...
262 2017년 봄 11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 노 들 은 사 랑 을 싣 고 】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전 야학 상근자, 고양이 집사, 특수교사 최한별 | 밥보다 맥주를 좋아한다. 와인도 좋아한다. 비마이너... file
261 2017년 봄 110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3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원,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미2, 강정자, 강주성, ...
26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독자 여러분들도 다들 그렇게 생각하시겠지만, 2016년 겨울은 아마도 대한민국의 현대사에서 말 그대로 ‘역사적인’ 사건이 발생했던 시...
259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다섯 살 율이의 조기교육 이야기 다섯 살 율이의 조기교육 이야기       허신행 | 2010년 학교 졸업 후 상근자로서 줄곧 노들야학에 있다가 올해 2월 독립(?)을 하였다. 현재는 주식회사 생각의 ... file
25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모꼬지의 변 모꼬지의 변       조은별 | 술을 매우 좋아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노들은 점점 술을 마시지 않는 추세. 모꼬지 때 내 마음만큼 술을 궤짝으로 샀다가, 엄청 남았... file
25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 모꼬지를 다녀와서 노들 모꼬지를 다녀와서       김진석 | 노들야학 불수레반 학생입니다.     2016년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강원도 양양 광진리해수욕장으로 노들야학에서 주최하... file
25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과 함께 한 ‘불확실한 학교’ 노들과 함께 한 ‘불확실한 학교’       최태윤 | 작가이자 교육자. 2013년 뉴욕에 School for Poetic Computation(시적연산학교)를 공동 설립하여 운영과 교육을 ... file
25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세 개의 피플퍼스트 대회 세 개의 피플퍼스트 대회       한혜선 | 노들야학에서 상근자자로 일하며, 수학5반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노들의 수업과 급식을 사랑합니다.     피플퍼스트(Pe... file
25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두 번째 ‘노란들판의 꿈’을 마치고 두 번째 ‘노란들판의 꿈’을 마치고       송정규 |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보 코디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작년 『노들바람』 가을호에 처음으로 글을 ... file
25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배추맘 배추파파 프로젝트, 보고합니다 배추맘 배추파파 프로젝트, 보고합니다       박정수 | 2016년 3월에 『비마이너』 객원 기자로 일하러 왔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기사 쓰는 대신 꽃 가꾸고 농... file
25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의 새 식구들을 소개합니다 [노들아 안녕] 노들야학의 새 식구들을 소개합니다       [이희은]   문: 먼저 간단히 자기소개 좀 해주세요. 답: 안녕하세요~ 노들야학에 회계 담당으로 함께 일... file
25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아 안녕] 센터 판의 신입 코디 심보름입니다 [노들아 안녕] 센터 판의 신입 코디 심보름입니다       심보름 | 어울리기를 좋아하며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 아직도 장애인이 겪고 있는 차별적 구조와 인식을 ... file
25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교단일기] 천천히 즐겁게 함께 [교단일기] 천천히 즐겁게 함께       박여의 | 야학 1년차 교사이자 최유리 학생의 활동보조인. 6년째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는데 적성에 안 맞아서 큰일. 싫어... file
249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현수막공장의 하루] 노란들판의 2016년 하반기는요 [현수막공장의 하루] 노란들판의 2016년 하반기는요       노란들판 | 장애인/비장애인 노동자들이 함께 현수막을 만드는 사회적 기업이에요.     현수막공장 노... file
24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2016년 노들장애인권교육센터 이야기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2016년 노들장애인권교육센터 이야기   *간담회 속기: 현정민 / 진행 및 정리: 배승천    (어느 해가 그렇지 않았을까마는) 다사다난하고 ... file
24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광화문농성 1,500일, 일상으로의 초대 광화문농성 1,500일, 일상으로의 초대       박누리 | 노들야학의 상근교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농성 1500일, 2박 3일 투쟁캠... file
24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유코디, 전국장애인운동활동가대회에 가다!? 유코디, 전국장애인운동활동가대회에 가다!?       유지영 |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에서 활동보조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유코디로 불리며,... file
24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휠훨 날아라, 꽃님 기금! 휠훨 날아라, 꽃님 기금!             김정하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어느 날부터 탈시설 운동에 꽂혀서 15년 넘게 주구장창 탈시설만 이야기하며 다니...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