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다섯 살 율이의 조기교육 이야기

 

 

 

허신행 | 2010년 학교 졸업 후 상근자로서 줄곧 노들야학에 있다가 올해 2월 독립(?)을 하였다. 현재는 주식회사 생각의 마을에서 사회복지 관련 출판, 연구 컨설팅(개인 및 단체의 연구 작업을 돕는 일)을 하고 있다.

 

허신행1.jpg

 

지난 611, 2016 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기 위해서 다섯 살 난 아들 율이와 함께 시청 광장을 찾았다. 아이와 함께하는 퀴어축제는 이번이 두 번째다. 작년 퀴어축제에서 피켓을 들고 행진했던 것을 상당히 즐거워한 아이는 그날을 기억하고 있었고(예전 사진을 보고 기억한다고 착각했을 수도 있다), 이번에도 같이 가겠느냐는 나의 제안에 흔쾌히 찬성했다.


세발자전거에 짐까지 잔뜩 이고 간 그 날, 하필이면 소나기가 쏟아졌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아닌 타 단체 부스에 황급히 몸을 피하고 있다가, 비가 어느 정도 그치자 밖으로 나왔다. 아직 정신이 없는 상황에서 주변을 어슬렁거리고 있을 때 K신문의 모 기자가 다가와 인터뷰를 청했다. 기자는 우리 둘의 사진도 찍고 축제에 참여한 이유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인터뷰도 진행했다. 그때만 해도 3분간 진행한 짧은 인터뷰가 몰고 올 파장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


축제에 참여한 후 집으로 돌아가는 전철 안에서부터 지인들에게 카톡이 왔다. 너와 네 아들이 기사에 나왔다고. 처음에는 신문 기사에 아들과 함께 실리게 된 것이 은근히 기쁘기도 했고, 추억거리로 나중에 아들에게 보여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댓글들이 달리면서 산뜻했던 기분은 이내 사라졌다. K신문 사이트에서는 댓글이 별로 없었는데, 네이버에는 120여 개, 다음에는 3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그리고 댓글은 대부분 악플이었다. “정신 나간 부모들이 애들을 망치고 있다”, “나중에 지 아들이 며느리로 머슴아 데리고 왔을 때 땅을 치고 후회할 것인가?”, “미친것들... 애 데리고 글케 갈 데가 없나?!”와 같이 부모인 나를 비롯한 축제 참여자들과 성소수자들을 비난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사실 이것보다 수위가 높은 것도 많았으나 지면에 옮기기엔 부적합한 것들이라 걸러냈다.


집에 와서 아내에게도 한 소리를 들었다. 인터뷰 내용 중에 아이의 조기 교육차원에서 함께 나왔다는 발언을 해서 혐오 세력에게 더 욱하는 마음을 들도록 한 것 같다, 아이와 내 사진이 노출되어서 나중에 해코지를 당할 가능성이 있지 않겠냐는 취지의 이야기였다. 걱정하는 마음은 이해가 되었지만 괜히 내 잘못인 것처럼 이야기해서 뭐라 대꾸를 해주고 싶었다. 물론 하지 않았다.


그런데 생각보다 그들의 악플이 나에게 상처를 주지는 못했다. 오늘 일이 실수로 느껴지지 않았고 그들의 반응이 오히려 조금 재미있기도 했다. 뻔한 스토리와 무논리로 혐오의 감정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에 대응하는 것 자체도 무의미하거니와, 내가 듣고서 상처를 받을 만한 지점이나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꿰뚫는 그런 글은 없었던 것이다. 아이가 악플의 대상이 된 점은 난감한 면이 없지 않으나 잘못한 바가 없으니 문제없다. 그런데 그렇게 생각하고는 있으나, 마음 한 편에서는 수구 기독교 세력의 퀴어축제 반대집회에서 혐오 문구가 쓰인 피켓을 들고 있던 아이들을 바라보던 나의 안타까운 시선을 우리 아들도 받았을 거라 생각하니 묘한 기분은 든다.


여러 사람의 우려와 안타까움에도 나의 조기 교육은 계속될 예정이다. 이는 아이가 어떻게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부모의 교육관과 연관이 깊다. 나는 아들이 모두가 함께 즐거운 세상에서 살아갔으면 좋겠고, 그런 세상을 만드는 데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 가장 좋은 것은 만남을 갖는 것 같다. 성소수자도 만나고, 장애인도 만나고, 투쟁하는 노동자도 만나는 것이다. 그들이 딴 세상에 사는 이방인이 아닌 내 친구가 되고 내 동료가 되면, 자연스레 그들과 연대하고 같이 잘 사는 방안을 궁리하기 마련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지금까지는 나름의 효과가 있는 것 같기는 하다. 아이가 노들야학에 여러 차례 놀러 오고 학생이나 교사들과 만나다 보니, 장애를 특별함이나 거리감 없이 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가끔은 자기도 휠체어를 타고 싶다는 말로 아빠의 말문을 막히게 하기는 하지만, 그 당황스러움은 곧 아이가 잘 크고 있다는 안도감으로 바뀐다.


2주 정도 jtbc뉴스를 보더니 박근혜 대통령 당장 나가라는 구호를 자기도 외치고 싶다는 이야기를 몇 차례 했다. 지난 1112일 총궐기에 데려간다고 약속했는데, 출발 직전부터 열이 38도 넘게 오르는 바람에 함께 가지 못했다. 이번 주말에는 아이와 함께 단단히 채비하고 민주주의 조기 교육을 하러 현장 학습에 나서야겠다.


허신행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76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나에게 노들은 편안함이다.   나에게 노들은 편안함이다 노들을 추억하며 박소영 | 사회복지사, 평생교육사. 서울시 도시재생본부 신택리지 활동가로 근무 중 사회복지 실습처를 찾아 여기저... file
275 2017년 봄 노들바람 100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꿈도 꾸지 못했을 지금, 자유   【 자 립 생 활 을 알 려 주 마 】 꿈도 꾸지 못했을 지금, 자유 장희영 | 시설에서 나와 장애인문화예술판에서 연극배우로,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 file
274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노동에 관하여, 풀리지 않는 질문 【 나 는 활 동 보 조 인 입 니 다 】 노동에 관하여, 풀리지 않는 질문 나경 | 활동보조 5년 차. 현재 이용자로 만났던 J와 함께 다큐를 제작 중이다.   얼마 전... file
273 2017년 봄 노들바람 110호 - [대학로야 놀자] 세상의 중심은 나와 너라는 것 【 대 학 로 야 놀 자 】 세상의 중심은 나와 너라는 것   허 정 | 학생부회장이자 권익옹호 활동가 허정입니다. 노들에서 바라는 꿈, 나는 한 가지 꿈이 있다면 ... file
272 2017. 봄 노들바람 110호 - 15회 정태수상 수상자 김명학 동지! 15회 정태수상 수상자 김명학 동지! 박승하 | 장애해방열사_단에서 활동합니다.   장애해방운동가 정태수열사추모사업회에서는 매년 3월을 여는 첫 행사로 3월 1... file
271 2017. 봄 110호 - 별이 된 현이에게... 별이 된 현이에게... 2016년 12월 22일 우리 곁을 떠난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박현을 추모하며   미소 |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상임활동가.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file
270 2017. 봄 110호 - 나에게서 당신이 빠져있습니다 나에게서 당신이 빠져있습니다 고(故) 이종각 선생님을 추모하며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야학에서 상근 활동을 했다. 노들의 오... file
269 2017. 봄 110호 - 내 친구 피터 내 친구 피터 고(故) 김호식 1주기를 맞아 고병권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 file
268 2017년 봄 110호 - 그 어떤 음식보다 따뜻했던 카레 4160그릇 그 어떤 음식보다 따뜻했던 카레 4160그릇 2016년 12월 31일 밤에 열린 ‘세월호 가족들의 심야식당’ 박정환 | 운동이라면 몸을 쓰는 운동도 사회를 바꾸는 운동... file
267 2017년 봄 110호 - 함께 소리쳐요! 우장창창!! 함께 소리쳐요! 우장창창!! 영희 | 휴직 교사. 두 아이의 아빠가 되고 나서 좀 더 예쁜 세상을 꿈꾸고 있다. 최근, 하던 일을 휴직하고 전업주부가 되었음. ^^ ... file
266 2017년 봄 110호 - 장애인 독립진료소 5 + “3주년”을 맞아 장애인 독립진료소 5 + “3주년”을 맞아 김지민 | 장애인 독립진료소 운영위원, 참의료실현 청년한의사회 정책차장 세월호가 침몰하기 3일 전, 평소처럼 노들야학... file
265 2017년 봄 110호 - 민들레 10년을 말하다 민들레 10년을 말하다 『노들바람』에 등 떠밀려 박장용 | 민들레에서 일하고 있어요. 연극을 좋아하고, 보드게임을 좋아합니다. 2018년도부터는 부모님으로부터... file
264 2017년 봄 110호 - [노들 책꽂이]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 노들 책꽂이 】 장애학, 장애를 다시 정의하는 혁명을 시작하자 (콜린 반스 외 엮음, 『장애학의 오늘을 말하다』, 김도현 옮김, 그린비, 2017.) 박정수 | 20... file
263 2017년 봄 110호 -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요? 노들장애학궁리소는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는 곳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공부를 ‘궁리’라고 부릅...
262 2017년 봄 11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 노 들 은 사 랑 을 싣 고 】 안소진에 대한 탐문 조사 전 야학 상근자, 고양이 집사, 특수교사 최한별 | 밥보다 맥주를 좋아한다. 와인도 좋아한다. 비마이너... file
261 2017년 봄 110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7년 3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병완, 강복원,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미2, 강정자, 강주성, ...
26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독자 여러분들도 다들 그렇게 생각하시겠지만, 2016년 겨울은 아마도 대한민국의 현대사에서 말 그대로 ‘역사적인’ 사건이 발생했던 시...
»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다섯 살 율이의 조기교육 이야기 다섯 살 율이의 조기교육 이야기       허신행 | 2010년 학교 졸업 후 상근자로서 줄곧 노들야학에 있다가 올해 2월 독립(?)을 하였다. 현재는 주식회사 생각의 ... file
25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모꼬지의 변 모꼬지의 변       조은별 | 술을 매우 좋아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노들은 점점 술을 마시지 않는 추세. 모꼬지 때 내 마음만큼 술을 궤짝으로 샀다가, 엄청 남았... file
25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 모꼬지를 다녀와서 노들 모꼬지를 다녀와서       김진석 | 노들야학 불수레반 학생입니다.     2016년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강원도 양양 광진리해수욕장으로 노들야학에서 주최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