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특집1_2016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고 현재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하고 있습니다. 누워서 밥을 먹고, 영화를 보는 일을 굉장히 좋아합니다. 추리소설과 로맨스소설을 읽는 것 또한 굉장히 좋아합니다. 멍 때리고 하늘을 보는 것을 좋아하지만, 잘하지 못해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특히 햇빛이 강하지 않은 날, 야외에서 눈 감고 드러눕는 걸 좋아합니다.

 

 

민아영3.jpg


지난 2015, 정부에서는 복지재정을 효율화하겠다는 명목으로 지방자치단체를 옥죄는 지침을 내렸습니다. 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그것은 받지 말아야할 사람이 복지서비스를 받고 있을 때 이를 색출해 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말로만 들으면, 누군가는 끄덕끄덕 할 수 있는 내용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정부가 말하는 받지 말아야할 사람들이란 예산을 미리 정해놓고 나서 그 범위를 넘어가버린 이들이었습니다. 사회적 구조에 의해 열악한 삶을 살 수밖에 없는 사람들을 줄 세우고는 그 안에서 누가 누가 살기 팍팍한 가를 저울질하는 것이죠.

복지서비스를 지원하는 주체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있습니다. 특히 기초지자체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고,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가 지원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와 필요한 부분을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방자치단체는 어떻게 하면 우리 지역 주민들의 삶을 증진 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지방자치단체의 상황을 보면 중앙정부의 지침을 운운하며 장애인의 생존권인 활동보조서비스 예산을 줄이거나, 없애는 일들을 벌이고 있습니다.

장애인운동의 현주소는 아직까지도 장애인의 기본적인 이동권, 활동보조서비스, 주거권, 소득 등을 보장하지 않는 지역사회 내에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있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는 것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지요. 이에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는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하여,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대투쟁을 선포하였습니다.

강남구를 시작으로 자치구 순회투쟁 선포 기자회견이 이어졌습니다. 서울시 산하 25개 자치구의 예산안들을 들여다보면, 일회성 행사에도 몇 천만 원씩 사용하면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예산은 2천만 원 남짓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구민들의 문화적 향유를 위한 행사에 예산을 쓰지 말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장애인의 날 치르는 관변 행사에 예산을 편성하는 것에는 아무런 거리낌이 없으면서도,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예산을 지원하는 데에는 어찌 그리 옹색한지요. 장애인에 대한 동정과 시혜의 이데올로기를 자치구에서 이용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민아영1.jpg


12개의 자치구에 대한 순회투쟁을 진행하다보니, 많은 공무원들을 만나고 구청장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논리는 늘 비슷했습니다. 하고 싶어도 예산이 부족하여 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도 활동보조서비스 시간이 부족해서 사람이 죽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예산 문제 운운하는 것이 과연 맞을까요? 실상 우리의 요구들에 소요되는 예산은 각 자치구 전체 예산의 1%도 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논의는 쉽지 않았습니다. 그 내용들이 너무도 기본적이고 당연히 지원되어야 하는 것이었음에도 말입니다. 이에 우리의 순회 투쟁은 단순히 장애인의 복지를 위한 예산의 편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예산을 편성하는 기준 자체를 뜯어고치는 활동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각 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다보면 수많은 욕설을 듣게 됩니다. 아마 그들에게는 우리의 외침이 과격해보이거나 뜨악스러우니 그렇게 반응을 했던 것 같습니다. 우리가 왜 이러한 이야기를 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지 그 구체적인 내용과 맥락은 거세된 채, 잠시의 불편함을 참지 못하고 욕설로 반응을 합니다. 그렇지만 그들에게 우리가 두통과도 같은 존재로 느껴졌던 것이라면, 저는 한편으로는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아픔을 알고도 말하지 못하는 사회, 타인의 아픔을 경시하는 사회는 그 자체로 아픈사회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투쟁이 그들에게 두통이 되어 우리 사회가 많이 아프구나라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경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자치구 순회 투쟁은 장애인의 삶에 가장 가까이 있는 공공기관에서부터 변화를 만들어가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아래에서부터 조금씩 지평을 넓혀가다 보면, 좀 더 높은 곳을 향한 투쟁에서도 단단한 힘을 모아낼 수 있지 않을까요? 한 줌의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하고 목소리를 냈던 그 소중한 36. 자치구 순회 투쟁이 마무리 된 것처럼 보이겠지만, 필요하다면 우리는 또 언제든 우리의 이야기를 하러 갈 것입니다. 동정과 시혜가 아닌 권리로서, 인간다운 삶이 보장될 때까지, 투쟁입니다.


민아영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40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권익옹호활동가를 아시나요?       김필순 | 하루를, 그리고 한주를 정리하면서 아주 빠른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활동을 만들어간다는 어려움과 가치를 알려... file
239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수연 언니의 자립체험기 (그리고 박임당의 활동보조 분투기)       박임당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노들의 1년 살이를 알 듯 말 듯 한 사람.     생존, 그것이 단... file
238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관계성으로 비추어 본 장애인활동보조의 빈틈       장은희 | 장애여성공감 활동지원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제 활동 만 3년차에 접어... file
237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조금은 다른 불안을 위하여       정창조 | 노들야학 고장선생님 활동보조로 돈을 번다. 철학을 공부하고 있긴 한데 잘 하지는 못한다. ... file
236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의 비마이너] 트럼프와 대의제, 지식인에 대한 단상       고병권 | 오랫동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에서 밥 먹고 공부해왔으며, 작년 여름부터 무소속 연구... file
235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1017 빈곤철폐의 날, 이렇게 싸웠습니다!       정성철 |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합니다. 탄산음료와 초콜릿, 운동과 키스, 담배와 데모를 좋아합니다. 술과 권위 ... file
234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수백억의 더러운 유착은 병들고 죽어간 삼성 노동자들의 피눈물 박근혜는 퇴진하라! 최순실과 삼성 이재용을 처벌하라!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하라!     권영은 |... file
233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선감도 인권역사 기행을 다녀와서 저 야산에 묻힌 원혼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하금철 | 어쩌다보니 장판에 들어왔다. 어쩌다보니 또 기자가 되었다. ... file
232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선동의 외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 file
231 2016년 가을․겨울 109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강남훈, 강문형, 강미진, 강병완, 강복원, 강복현, 강성윤, 강수혜, 강영미, 강영...
230 2016년 여름 108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노들바람을 여는 창]     이번 『노들바람』 108호에 실린 글들에서는 ‘○○를 그리며’, ‘○○를 보내며’, ‘○주기’, ‘○○를 추억하며’와 같은 문구들이 유독 눈에 많...
229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차차차 단원, 주원과 혜진의 이야기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 file
228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나는야 ‘폐지당’의 당당한 비례대표       이상우 | 1982년생 전주에서 출생. 충북 음성 꽃동네 희망의집에서 23년간 생활... file
»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불편하겠지만 불편해야 할 이야기 우리는 서울시 자치구 순회투쟁을 왜 해야만 했을까?       민아영 | 노들야학의 교사이... file
226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희망의 ‘노란들판’을 함께 꿈꾸어요       이상엽 |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집행위원장     강남역에서 한 무고한 여성이 ... file
225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특집1_2016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국현 씨를 그리며      현정민 | 노들야학에서 방송반 특활수업 교사와 더불어 장애인권교육 담당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file
224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국회의원들에게 드리는 보고 노들야학 학생 故김호식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카프카 作) 패러디 작품   ※ 지난 4월 7일... file
223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던 사람, 김호식       노규호 | 철학반 교사로 노들장애인야학과 더불어 살고 있... file
222 2016년 여름 108호 -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특집2_노들의 벗, 김호식을 보내며] 나의 깃발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 file
221 2016년 여름 108호 -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형님 한 말씀]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별을 했습니다       김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올 사월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곁을 영영 떠났습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