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조회 수 9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당신들의 평화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다. 도서관에 앉아 멍 때리며 일기 쓸 때가 제일 행복하다. 데모 잘하는 사람을 좋아해서 구교현과 결혼했는데 테러방지법이 통과돼 버려서 걱정이다.


홍은전3.jpg

 

서울 서대문형무소에는 벽관이라는 것이 있었다. 벽에 서 있는 관이라는 뜻이지만 죽은 사람이 아니라 산 사람을 넣었다. 갇히면 다리가 저리고 허리가 잘릴 듯 아프며 정신이 돌아버렸다. 사회주의 운동가 이재유는 일제의 재판에 불복하여 항소하려다 이곳에 갇힌 지 14시간 만에 그 뜻을 접었다. 노들야학 학생이었던 조아무개는 꽃동네에 산다. 8년째 침대 밖을 벗어나 본 적이 거의 없다. 밥도 누워서 먹는다. 반찬을 잘게 다져 국에 말아 준다. 작은 일은 소변줄로, 큰 일은 관장으로 해결된다. 엉덩이가 저려올 즈음 직원이 체위를 바꿔준다. 정신이 돌아버릴 때쯤 자원봉사자들이 찾아온다. 이것은 지속 가능한 벽관이다.


입소 후 4년 만에 만난 그는 우리에게 배가 고프다했다. 감자탕을 양껏 먹은 후 그는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어 달라 했다. 그리운 목소리를 들으며 늑대처럼 , 소리를 냈다. 감당할 자신이 없었으므로 우리는 끝내 그에게 나가고 싶으냐묻지 않았다. 대신 지낼 만하느냐고 물었고, 그는 힘없이 긍정했다. 초등학교 입학을 거부당한 후 그를 반겨주는 곳은 어디에도 없었다. 서른이 넘어 술을 배웠고 장애는 빠르게 악화되었다. 그럴수록 더욱더 술을 찾았다. 거리에 널브러져 있는 그를 경찰이 가난한 어머니에게 인도하는 일이 반복되었다. 얼마 후 그는 시설에 보내졌다.


연말정산 철마다 그를 찾았다. 그리고 작년 겨울 그가 결국 말하고 말았다. “나가고 싶어.” 시설 쪽은 가족의 허락을 전제했다. 가족은 물론 반대할 것이다. 그럼에도 나가고 싶다는 그에게 나는 열 번 스무 번 고쳐 물었다. “정말 할 수 있겠어요?” 사실 그는 가족의 허락 없이도 퇴소할 수 있고 주거와 정착금도 받을 수 있다. 시설이 그것을 모를 리 없다. 이 벽관의 문이 오래전에 풀렸다는 걸 갇힌 사람들만 모른다. 그러니 질문은 실상 나를 향한 것이다. 벽관 앞을 가로막고 있는 저 앙상한 어머니를 밀칠 자신이 있는지. 문을 열면 곧장 나를 덮쳐올 그를 업고 얼마간 전력 질주할 체력이 있는지. 그의 손에 술이 아닌 다른 것을 쥐게 할 대안이 있는지. 나는 자신이 없었다.


어머니는 우리를 피했다. ‘잘 지내고 있는 사람 흔들지 말라는 애원은 점점 호통으로 변했다. 닫힌 문 너머에 어머니의 일상이 있었다. 그것 또한 지켜져야 했으므로 나는 얌전히 돌아섰다. 그에겐 어쩔 수 없다전하고 다음번 연말정산 철을 기약할 작정이었다. 그때 함께 간 동료가 문틈으로 편지를 밀어 넣었다. “허락지 않으셔도 우리는 하겠습니다.” 순간 나는 그녀가 벽관의 문을 여는 것을 보았다. 내가 온갖 사람들의 평화를 계산하는 동안 그녀는 그 계산에서 빠진 단 한 사람을 보며 그저 신발 끈을 묶었다. 부끄러웠고 부러웠다. 그녀는 멋있었다. 그런 방식으로 수십 명의 탈출을 도와온 그녀는 싸움닭처럼 세상을 들이받으며 시설 바깥에 그들의 자리를 만들어냈다.


소록도 100주년을 맞아 전남 고흥군이 40여 년간 한센인들을 돌보았던 마리안느와 마가렛 수녀를 노벨평화상에 추천한다고 한다. 한센병력으로 인해 격리된 사람들의 섬 소록도는 오랜 세월 차별과 폭력, 단종과 학살이 자행된 인권의 사각지대이자 침묵의 땅이었다. 수녀님과 같은 이들이 있어 갇힌 사람들은 고통을 덜었을 것이나, 덕분에 그 고통은 100년이나 지속되었다. 그 지속 가능함은 분명 어떤 평화에 기여했을 것이나, 그것은 실상 갇힌 사람들이 아니라 가둔 사람들, 소록도가 아니라 소록도에서 바라본 육지의 것이 아니었던가. 오래전에 깨어지는 게 더 좋았을 당신들의 평화말이다.


홍은전2.jpg

홍은전1.jpg

홍은전4.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4 2016년 봄 107호 -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삶의 동반자 [나는 활동보조인입니다] 장애인과 활동보조인은 삶의 동반자       박은영 | 활동보조인 일을 시작한지 이제 만 1년이 되어가는 초심자 활동보조인. 산행을 좋아... file
183 2016년 봄 107호 - 삼성의 폭력과 착각 삼성의 폭력과 착각 “내 30대 인생을 빼앗아간 삼성, 그들에게 무릎 꿇고 보상받지 않겠다.”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 위한 농성, 한혜경․김시녀 모녀를 만나다    ... file
» 2016년 봄 107호 - 당신들의 평화 당신들의 평화       홍은전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불수레반 담임이다. 2014년 7월 야학 상근활동을 그만두는 순간 기본소득 지지자가 되었다. 도서관에 앉아 ... file
181 2016년 봄 107호 - 노들야학에서 만난 세월호 사람들 노들야학에서 만난 세월호 사람들 2016년 1월 26일, 416세월호와 노들야학 집담회       김유미 | 야학 급식과 낙산 산책을 좋아한다. 야학을 휴직하고 몸보신하... file
180 2016년 봄 107호 - [대학로야 같이 놀자] 누구를 위한 편의시설인가요? [대학로야 같이 놀자] 누구를 위한 편의시설인가요? 2015년 종로구 편의시설 모니터링과 전시회를 마치고       송무림 | (사)노들 소속 활동가이며, 응급알림e, ... file
179 2016년 봄 107호 -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공무원 인권교육을 다녀와서 [장애인권교육 이야기] 공무원 인권교육을 다녀와서       김동림 | 석암재단(현 프리웰)에서 운영하는 시설에서 오랫동안 생활하다 2009년에 자립한 탈시설 7년... file
178 2016년 봄 107호 - 나는야 여러분의 친구, 야마가타 트윅스터~ 나는야 여러분의 친구, 야마가타 트윅스터~       한받 | 자립음악가. 야마가타 트윅스터라는 이름으로 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두리반에 연대한 이후 거리로 내... file
177 2016년 봄 107호 - 우리는 누구일까요? 우리는 누구일까요?       이정훈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에서 활동한지 8개월 째 접어든 장애인입니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무슨 욕을 먹더라도 해야 ... file
176 2016년 봄 107호 -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당’에 함께해요!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이 함께 살기위한 장애등급제․... file
175 2016년 봄 107호 -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태수야2’ 음반을 소개합니다       김종환 | 1989년 결성된 성남지역 노동자 노래모임 ‘아우성’의 멤버였고, 이후 전국장애인한가족협회 노래패 ‘노둣돌’, ‘장애... file
174 2016년 봄 10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알고 보니 후원인, 노들야학 댄스반 교사 원해선!       한명희 | 노들야학에서, 그리고 광화문 지하역사 2층에서 가난한 사람과 장... file
173 2016년 봄 107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6년 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 후원인 Oh Sung Choy,감광국,강경완,강귀화,강문형,강미진,강병완,강복원,강성윤,강수혜,강영...
172 2015년 겨울 10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내년에는 책을 많이 읽어보려고 하는데요. 읽기 순서 1,2위를 다투는 책으로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프란츠 파농이라는 사람의 책이고, ...
171 2015년 겨울 106호 -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엉망진창 낮 수업을 고발합니다 서둘러, 사납게, 따로 X 천천히, 즐겁게, 함께 O 박임당 | 수유너머N에서 주로 공부하고 있다가 지난 4월의 어느 날 노들의 낮 ... file
170 2015년 겨울 106호 - [교단일기]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 교단일기 】 쓰리고에 피박을 면하려면 생활수학 임영희 | 동건이랑 유리랑 살고 있음. 뽀뽀와도 곧 함께 살게 될 예정. 이 사람 저 사람 다 살기 좋은 세상... file
169 2015년 겨울 106호 -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피플퍼스트가 대체 무어란 말인가 일본 피플퍼스트 대회 참가기 김유미 | 노들야학에서 일하며 노들바람을 만든다. 장애인운동에 기웃대며 십년을 보냈는데 요즘... file
168 2015년 겨울 106호 -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2015년 노란들판의 꿈 이야기 니(you)! 나(me)! 노(노란들판)! 【 2015 노란들판의 꿈 - 모아 】 너와 나와 노란들판이 꿈꾸는 자리 김진수 | 야학교사 진수입니... file
167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종로노들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하나 】 종로 노들 보치아 여섯 번째 대회를 해냈다 김문주 | 저는 노들센터 김문주 활동가입니다. 노들센터에서 권익옹와 자립생활팀 ... file
166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의료는 인권이다! 【 2015 노란들판의 꿈 - 둘 】 의료는 인권이다! 장애인주치의제도 실현을 위한 시민한마당 박누리 | 노들 법인 소속으로 노들야학 교사를 하고 있는 누리입니... file
165 2015년 겨울 106호 - [2015 노란들판의 꿈 - 셋]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 2 0 1 5 노 란 들 판 의 꿈 - 셋 】 우리가 했던 말을 기억해주세요! 학생 글 발표 ‘노란들판에서 자라는 꿈’ 가나 | 야학에서 세 학기 째 국어수업을 하고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