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교단일기]

사랑하는 나의 노들극장을 소개합니다

 

 

 임미경

‘씨앗’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이고, 노들야학 연극반 ‘노들극장’ 교사이며, 장애인권강의 담당자이고, 노들음악대 매니저이기도 하다.

 

 

 

임미경1.jpg

 

 

  2022년에 목요일 3, 4교시 특활반으로 시작한 ‘노들 목요극장-나를 세상에 외치다’는 올해 월요일 1, 2교시로 시간대를 옮기고 구성원도 두 배로 늘어나면서 매번 뜨겁고 즐겁게 만나고 있습니다. 노들극장은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나’와 만나는 시간이자 장소입니다. ‘플레이백 씨어터’라는 장르를 표방하지만 언제나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라 ‘이야기’에 있습니다.

 

  몇 살 때였는지조차 잘 기억나지 않는 과거 어느 시설에서의 한 장면, 며칠 전 집에서 있었던 사소한 이야기, 실제로 본 적은 없지만 늘 꿈에서 만나는 가족의 이야기, 아무도 몰래 마음속에 품어왔던 은밀한 꿈 이야기. 우리가 나누는 이야기는 때로 동화책이 되기도 하고, TV 드라마가 되기도 하고, 오늘 아침에 만난 풍경이 되기도 하고, 지금 당장 이 자리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되기도 합니다.

 

  월요일 오후 5시가 되면 한 주 동안 있었던 이야기와 서로의 안부를 묻는 것으로 시작하여, 가벼운 동작들을 따라하며 몸을 풀고 사물과 감정들을 동작과 소리로 나타내는 연극 놀이를 하면서, 우리는 나를 표현하고 세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을 바라보고 세상을 바라봅니다.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연극 놀이는 두 사람씩 짝을 짓거나 또는 그룹으로, 어느 때는 혼자서 음악을 느끼며 춤―그냥 몸부림이라 해도 좋을 자유로운 몸짓―을 추는 것입니다. 때로는 ‘신체 어딘가를 접촉한 채로 움직이세요’, ‘두 눈을 마주보며 그 시선을 절대 놓치지 마세요’, ‘여기가 드넓은 바다 위에 떠 있는 배의 갑판 위라 상상하고 교실의 빈 공간을 메꾸면서 움직이세요’와 같은 결코 쉽지 않은 미션이 주어지기도 합니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멈추지 않고 각자 음악을 느끼는 대로 계속 움직이는 것입니다. 음악을 느낀다는 것은 가사여도 좋고, 멜로디를 따라가도 좋고, 박자만을 쫓아도 좋고, 그냥 그 무엇이든 내 안으로 들어오고 느껴지는 모든 것을 따라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 움직임에 대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또 제가 좋아하는 연극 놀이는 거울 놀이입니다. 나태주 시인의 『꽃을 보듯 너를 본다』는 시집 제목처럼, 세상에 다시없을 소중한 존재로 찬찬히 머리부터 발끝까지 너를 들여다보는 내가, 어느덧 내 안의 나를 보는 네가 되어 1초의 시차도 없이 똑같이 움직이는 순간의 희열. 나를 비우고 채우며 제안과 수용의 경험으로 우리가 하나가 되는 순간을 기다립니다. 기존의 정형화된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누군가의 이야기에 대한 공감을 즉흥적으로 모두가 같이 드러내어 보이는 훈련을 통해, 서로를 한 번 더 찬찬히 바라보고 한 번 더 귀 기울여 들어보려고 합니다.

 

  두 번째 학기가 되면서 요즘은 동작과 소리 위주의 훈련에서 조금씩 대사도 시도하고 호흡이 긴 장면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직은 감정이든 사물이든 어떤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가 서툴고 두려울 때도 있지만, 우리 노들극장의 배우들은 기꺼이 도전하고 즐거이 함께 오늘도 연극을 합니다. 우리는 모두 인생이라는 무대 위에서 소리 내어 말할 이야기로 가득 빛나는 배우들이니까요.

 

임미경2.jpg

 

임미경3.jpg

 

 

※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er)란?

 

플레이백 씨어터는 관객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들과 악사가 즉석에서 몸짓과 음악으로, 곧 연극으로 펼쳐 보이는 즉흥극입니다. 이야기를 제공한 당사자에게는 물론 모든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과 치유의 순간을 선사하며, 공연 현장의 모든 이들을 유대와 공동체의 장으로 이끌어 줍니다. 사람들은 모두 고유한 역사와 서사를 품고 있습니다. 플레이백 씨어터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 곧 예술의 주제이며, 평범한 삶의 이야기야말로 예술적으로 대우받을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플레이백 씨어터를 시작한 조나단 폭스의 말로 소개를 마무리할까 합니다.

 

“저는 삶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연극을 믿습니다. 저는 어디에서든 펼쳐질 수 있는 연극을 믿습니다. 저는 누구든, 모든 이를 위한 연극을 믿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3년 봄여름 134호 - [교단일기] 사랑하는 나의 노들극장을 소개합니다 / 임미경 [교단일기] 사랑하는 나의 노들극장을 소개합니다      임미경 ‘씨앗’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이고, 노들야학 연극반 ‘노들극장’ 교사... file
1003 2023년 봄여름 134호 - 오늘도 우리는 수업합니다 / 탁영희 오늘도 우리는 수업합니다       탁영희 노들장애인야학의 수업은 학생들만 땡땡이 치고 싶은 게 아니라 교사도 땡땡이 치고 싶다. 그런 야학 교사 중 한 명이다.... file
1002 2023년 봄여름 134호 - 우리는 서울시 적이 아니다! / 박찬욱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우리는 서울시 적이 아니다!      박찬욱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           3월이면 이곳 유리빌딩은 안 그래도 정신없... file
1001 2023년 봄여름 134호 -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위한 사생결단 Disability Pride! / 조은소리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위한 사생결단 Disability Pride!      조은소리 전국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협회(아래... file
1000 2023년 봄여름 134호 -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 순회투쟁기 / 박유철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 순회투쟁기      박유철 전국장애인부모연대 활동가입니다. 부모연대에 처음 들어오면서 했던 말... file
999 2023년 봄여름 134호 - 서로의 자부심이 되도록! / 연윤실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서로의 자부심이 되도록!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창립대회       연윤실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간사이자 회원들의 수줍은 팬... file
998 2023년 봄여름 134호 - 성북 420투쟁 & 420 1박 2일 투쟁 / 조재범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성북 420투쟁 & 420 1박 2일 투쟁      조재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활동가           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 file
997 2023년 봄여름 134호 - 열차는 어둠을 헤치고 장애해방의 종로구로 나아가지요 / 민푸름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열차는 어둠을 헤치고 장애해방의 종로구로 나아가지요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장애인 당사... file
996 2023년 봄여름 134호 -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다큐 「일로 만난 사이」로부터 / 박임당 [특집_2023년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다큐 「일로 만난 사이」로부터      박임당 권리중심 공공일자리의 각종 미션 수행 중           태... file
995 2023년 봄여름 134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서울시의 악질적인 장애인단체 표적 조사를 바라보며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서울시의 악질적인 장애인단체 표적 조사를 바라보며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최근 서울시가 장애인의 권리를 ... file
994 2023년 봄여름 134호 - 그 봄, 우리가 경찰서를 드나들었던 이유 / 남호범 그 봄, 우리가 경찰서를 드나들었던 이유 서울시 경찰서 편의시설 전수조사 후일담      남호범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           지난 2월 20일 오전 9시, ... file
993 2023년 봄여름 134호 - 중증장애인 당사자의 힘으로 차별 없는 세상을! / 이수미 중증장애인 당사자의 힘으로 차별 없는 세상을!      이수미 노들장애인야학 학생이자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이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개...
992 2023년 봄여름 134호 - 화살을 같이 맞아줄 정치가 그리워집니다 / 박경석 화살을 같이 맞아줄 정치가 그리워집니다  제4회 노회찬상 수상 소감문      박경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 file
991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들 책꽂이] 도대체 전장연이 왜 그러는지 궁금하다면 / 장혜영 노들 책꽂이 도대체 전장연이 왜 그러는지 궁금하다면       장혜영 탈시설 발달장애인 동생과 함께 살고 있는 비장애 형제자매. 다큐멘터리 「어른이 되면」을 ... file
990 2023년 봄여름 134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지은이 이규식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지은이 이규식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 저런 책을 써왔다. 인간학을 둘러... file
989 2023년 봄여름 134호 - 그들의 투쟁이 우리의 대의를 일깨우고 있다 그들의 투쟁이 우리의 대의를 일깨우고 있다         *편집자 주: 국내의 진보적 연구자들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의 지하철 행동을 지지하는 선... file
988 2023년 봄여름 134호 - 좋아하는 사람, 하늘, 고양이 / 박소민 좋아하는 사람, 하늘, 고양이      박소민 작가는 도구에 따라 그림의 형태를 다르게 합니다. 색연필 혹은 사인펜으로는 주로 형태가 있는 대상을, 물감으로는 도... file
987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들야학 30주년 슬로건이 정해졌어요! / 남호범 노들야학 30주년 슬로건이 정해졌어요!   “노들오래대다노들좋다노들쭉가자”      남호범 노들장애인야학 상근활동가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 file
986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란들판이 세상을 구한다! / 허신행 노란들판이 세상을 구한다!   2023 노란들판 활동가 전체 워크숍 보고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노란들판은 노들장애인... file
985 2023년 봄여름 134호 - 노란들판에도 성평등 내규가 만들어졌습니다! / 노란들판 성평등위원회 노란들판에도 성평등 내규가 만들어졌습니다!     노란들판 성평등위원회         성폭력은 성별 권력관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폭력 행위를 말하며, 개인의 동의 ...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