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인권리예산,

이제 정치가 책임져라!

 

 

 정다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2021년 12월 3일부터 시작된 출근길 지하철 투쟁에 100회 이상 참여했다.

 

 

정다운_정치가책임져라_필자사진.jpg

 

 

  지난 9월부터 정기국회가 시작됨에 따라 ‘23년도 정부 예산안이 국회의 심의 절차를 가진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가 작년 12월부터 외쳐왔던 ’23년 예산 요구가 반영될 것인지, 아니면 국회의 정치 다툼 속에 휴지조각이 될지, 곧 판가름이 나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의 국회 예산 심의 과정을 돌이켜보면 국회가 과연 제 역할을 할지 걱정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국회는 예산 ‘심의’ 권한을, 기획재정부는 예산 ‘편성’ 권한을 갖고 있다지만, 기획재정부가 반대하면 실제로 증액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국민이 선출한 권력보다 기획재정부라는 관료 권력이 더 상위에 있는 것만 같다. 면담을 통해 예산 요구를 할 때면, 여당은 야당이 반대해서, 야당은 여당이 반대해서 안 되는 거라고, 서로의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어떤 해에는 국회의원들이 서로 헐뜯고 정치 다툼을 하느라 회의가 개최되지 않아 예산 심의 자체가 없어지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23년 예산도 어떤 운명을 맞이할지 쉽사리 예측하기엔 어렵지만, 우리는 국회가 제 역할을 다 하도록 정치의 책임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투쟁을 그저 이어나갈 수밖에 없다.

 

  장애인권리예산에는 △특별교통수단 운영비에 대한 국비 지원 △장애인평생교육시설 운영비에 대한 국비 지원 △활동지원 수가 및 월 평균시간 확대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추가 월 240시간 보장 △근로지원인 확대 및 동료지원가 사업 개편 △발달장애인 24시간 지원체계 구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예산 요구를 가지고 전장연은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기본소득당 등 모든 원내 정당에 장애인권리예산을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 여당인 국민의힘만이 면담 요구에 대한 어떠한 회신도 없는 상황이다. 10월에만 3차례에 걸쳐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통해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의 면담을 촉구했다.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사를 통해 ‘대한민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라고 했건만.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은 장애인 예산이 OECD 최하위라는 사실을 언제까지 외면할 것인가. 이뿐만이 아니다. 국민의힘 이준석 전 당 대표와 권성동 전 원내대표는 장애인권리예산이 전장연이라는 특정 단체만 요구하는 예산이라며 절대로 들어주면 안 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장애인권리예산은 대한민국이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여전히 차별하기 위해 정파 논리를 뒤집어씌운 것이다.

 

  장애인권리예산에 대한 요구는 역대 정권 내내 계속되어 왔다. 헌법 제11조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 차별 받지 아니한다.’는 헌법의 가치는 지금껏 장애인들에게는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산 없는 권리, 공허한 부도 수표만 남발되었다. 파란당이 집권했을 때도, 빨간당이 집권했을 때도 일관되게 요구했는데 들어주지 않아놓고 이제 와서 딴소리를 하는 정치 권력의 뻔뻔함에 화가 난다. 역대 정부 중에 장애인의 권리를 예산으로 책임 있게 보장한 정부가 있었다면, 이 시위는 장기화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니 지금까지 집권했던 정치권력 모두 장애인권리예산의 책임에서 절대로 자유로울 수 없다. 지금 정치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이제라도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 장애인의 권리를 예산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11월 중순이 되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소위원회가 가동되어 예산 심의가 구체화된다. 전장연은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통해 삼각지역(윤석열 대통령 용산 집무실)에서 국회의사당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동의 여파로 지하철 운행이 지연되고,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이 불편을 야기하는 권력에 함께 책임을 물어주셨으면 한다.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연대와 참여를 촉진하는 직접 행동이기도 하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모르고 살았던 비장애인 시민들이 지하철에서 ‘장애인권리예산 요구’를 맞닥뜨렸을 때, 99%는 욕을 할지도 모르지만, 1%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자각하게 될 것이다. 장애인을 차별하는 사회를 더 이상 방관하지 않겠다는 시민들이 분명 조금씩 늘어날 것이다. 더 많은 시민들이 함께 불편함을 겪으면서, 이 불편을 멈추기 위한 정치의 책임을 함께 촉구해줄 것이라고, 그렇게 이 사회가 변화를 향해 한 걸음을 내딛을 것이라고 믿는다.

 

정다운_정치가책임져라.jpg

 

정다운_지하철타기.jpg

 

정다운_지하철타기2.jpg

 

정다운_지하철타기3.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956 2022년 겨울 133호 - 우리의 대응과 투쟁은 한국에서도 계속된다 / 최한별  우리의 대응과 투쟁은 한국에서도 계속된다  한국 장애계, 제네바에 가다 2      최한별 다른 나라에서도 우리처럼 장판 운동이 뜨거울까?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 file
955 2022년 겨울 133호 -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한 약속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 조상지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한 약속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조상지 노들야학 학생회 부회장.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들야학 권익옹호 ... file
954 2022년 겨울 133호 - 이태원 참사, 참사‘들’, 그리고 사회적 애도의 가능성 / 정창조 이태원 참사, 참사‘들’, 그리고 사회적 애도의 가능성   애도를 거부한 사람들을 위한 변명      정창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 노들장애학궁리소...
953 2022년 겨울 133호 - 내가 잘 그려줄게 / 신현상 내가 잘 그려줄게      신현상 신현상. 나는 작가다. 인터뷰도 했고. 탈시설. 인강원                 file
952 2022년 겨울 133호 - 연극 〈등장인물〉 이야기 조각모음 중 / 박임당 연극 〈등장인물〉 이야기 조각모음 중     박임당 권리중심공공일자리 문화예술노동을 지원하기 우해 문화예술 소양을 쌓는 중               2022년 하반기 노... file
951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예술로 활동기(1) 노들은 나에게도 학교였다 / 오혜린 노들예술로 활동기 (1) 노들은 나에게도 학교였다       오혜린 리더예술인         2022년 3월의 어느 날, 겨우내 서울에 잘 가지 않아서 오랜만에 지하철을 타... file
950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예술로 활동기(2) 듣기 위해 기울여지는 / 자청(이선화) 노들예술로 활동기 (2) 듣기 위해 기울여지는       자청(이선화) 참여예술인         “노들”의 이름을 알게 된 지는 꽤 되었다. 지금은 멀어진 친구가 야학에서 ... file
949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 책꽂이] 깨지는 말들 / 이지훈 노들 책꽂이 깨지는 말들  정용준 소설, 『내가 말하고 있잖아』, 민음사, 2020     이지훈 국문학 연구자. 대학원에서 한국소설을 공부하고 있다. 장애를 재현하... file
948 2022년 겨울 133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성장통, 가장 큰 배움이 된 노들 / 김명학,해방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성장통, 가장 큰 배움이 된 노들 20년 전 노들을 지키던 해방, 현 김포야학 활동가 인터뷰      인터뷰 * 명학 〈노들바람〉 편집위원      ... file
947 2022년 겨울 133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2년 12월 31일 기준)        CMS 후원인 (주)피알판촉 강경희 강나은 강남훈 강명...
946 2022년 가을 132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선생님 이제 이거 말고 가을 꺼…” 제가 야학에서 <노들바람>을 함께 읽는 수업을 맡은 뒤로 <노...
945 2022년 가을 132호 - 8월 8일 삼각지역 86차 삭발 결의자 / 박주원 2022.8.8. 삼각지역 86차 삭발결의자     박주원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리중심공공일자리 노동자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리중심공공일자리에서 ... file
944 2022년 가을 132호 - 8월 31일 삼각지역 101차 삭발 결의자 / 박누리 2022.8.31. 삼각지역 101차 삭발결의자     박누리 노들장애인야학 활동가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활동하는 대추(박누리)입니다. 이 자리... file
943 2022년 가을 132호 - 9월 7일 삼각지역 105차 삭발 결의자 / 이상용 2022.9.7. 삼각지역 105차 삭발결의자     이상용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 이... file
942 2022년 가을 132호 - 9월 8일 삼각지역 106차 삭발 결의자 / 김민정 2022.9.8. 삼각지역 106차 삭발결의자     김민정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         안녕하세요. 노들센터에서 권익옹호 활동가로 활동하는 김민... file
941 2022년 가을 132호 - 9월 14일 삼각지역 107차 삭발결의자 / 박지호 2022.9.14. 삼각지역 107차 삭발결의자     박지호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권익옹... file
940 2022년 가을 132호 - 9월 20일 삼각지역 110차 삭발결의자 / 이상우 2022.9.20. 삼각지역 110차 삭발결의자     이상우 노들장애인야학 학생,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 활동가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자립생활... file
» 2022년 가을 132호 - 장애인권리예산, 이제 정치가 책임져라! / 정다운 장애인권리예산, 이제 정치가 책임져라!      정다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2021년 12월 3일부터 시작된 출근길 지하철 투쟁에 100회 이상 참여했다.  ... file
938 2022년 가을 132호 - 지구 끝까지 투쟁하겠다! / 유진우 지구 끝까지 투쟁하겠다!      유진우 앞으로 국가의 한계, 자본의 한계, 인간의 한계에 대한 공부를 오랫동안 할 생각이다. 해방의 길을 향해 찾아 헤매다가 정... file
937 2022년 가을 132호 - 우영우가 되지 못한 사람들의 죽음 / 정창조 우영우가 되지 못한 사람들의 죽음     정창조 장판에서 이런저런 일들을 한다. 노는 게 가장 좋지만 마냥 놀지만은 못하고, 대항로 건물 3층 한구석에서, 싸움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