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과 활동지원사의

고충을 소통해보아요

 

 

정리_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기현 소장, 서비스지원팀 팀장, 이수현 활동가

 

 

뽀글뽀글상담소-.png

 

 

활동지원사 입장  가사도우미, 집사 아니에요~! 장애인활동지원사입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는 다양한 장애유형과, 연령대가 포함되어있어 장애인 각 특성에 맞는 전문적 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인력입니다. 장애인과 활동지원사는 서로 배려하며 돕는 관계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서로의 배려와 상식에만 기대기에는 입장 차이로 인행 어려움이 꽤 발생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래의 사례들이 대표적이며, 이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고 센터와 협의해 이용인의 부적절한 요구를 철회하도록 해야 합니다.

 

OO : 오늘 김장한다고 가족들꺼 50포기를 하래요. 이러면 안되는 거 아닌가요?

 

OO : 제가 지원하는 이용자는 15살 청소년인데, 가족들 빨래, 청소, 가사일까지 하라고 해서 당황스러워요.

 

OO : 이용자랑 계약한 시간이 있는데 갑자기 지원이 필요없다고 출근을 하지 말래요. 저는 당연히 근무할 줄 알고 예상 급여도 계획하고, 주말 시간을 빼놨는데 조금 당황스러워요.

 

OO : 이용자가 식당을 운영하는데 활동지원서비스가 아니라 식당 종업원일을 하게 되었어요. 이게 맞는 건가요?

 

OO : 이용자의 반려견을 돌봐주는 일이 많아요. 한 마리면 모르겠는데 네 마리나 되어서 너무 힘들어요. 산책, 목욕, 애견 미용실 가기 등 제가 장애인 활동지원사인지 반려견 활동지원사인지 모르겠어요.

 

 

 

장애인 입장  활동지원사님, 장애인의 역할을 대변해주세요.

 

   장애인은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자립하기 위해서는 활동지원사의 도움이 필요한 건 현실입니다. 장애인이 그동안 하고 싶었지만 할 수 없었던 자식, 부모, 직장인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실현하고 싶습니다. 활동지원사가 저의 역할의 지원을 실현해주길 바란다면 욕심인가요.

 

   여기 장애여성 A와 비장애인 남성 B 부부가 있습니다. A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시간이 월 200시간이 있습니다. 실직자였던 BC 활동지원사께 되도록 본인 빨래나 가사지원이 부담이 되지 않도록 신경쓰며 집안일을 같이 도왔습니다. 그렇지만 B가 취업을 하게 되면서 상황이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A는 활동지원사에게 가사지원을 해야 하는 주부로서의 역할을 부탁합니다. 활동지원사 역시 그전보다 업무가 과중되기 때문에 난감해졌습니다.

 

 

 

입장 vs 입장  활동지원사, 장애인의 역할 어디까지 지원해줘야 할까?

 

서기현 소장 : 융통성은 있어야 하나, 기준은 있어야 한다. 그 기준은 장애인 당사자가 중심이 되어야 하고, 당사자의 조직, 회사, 가족안에서의 역할에 따라 활동지원 영역은 달라져야 한다.

 

활동지원사 전담인력1 : 그럼 이용자가 원하면 다 하라는 말로 들리네요. 무리하지 않게 지원을 요청해야 하는 것 같아요. 일상생활 지원영역이 아닌, 과도하게 업무를 많이 시키는 경우가 있어요.

 

활동지원사 전담인력2 : 그렇죠. 그렇다고 해도 활동지원사는 급여가 깎이거나,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 때문에 이로 인해 거부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어요. 그리고 이용자가 지원요청을 별도로 하지 않고, 대기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기하는 시간도 노동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을 안하는 분들도 있는 것 같아요.

 

활동지원사 전담인력1 : . 활동지원사가 대기시간도 없이, 근무일에 과중되어 일을 하시는 경우도 많아요.

 

활동지원사 전담인력2 : 결론적으로 이용자의 가족, 회사, 조직, 환경, 학교 등에 따라 지원 영역 및 정도는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활동지원사 전담인력1 : . 활동지원사와 이용자 모두가 공통적인 기준을 잡는 것이 조금 힘든 부분인 것 같아요. 지원하기 힘들거나, 과하다고 생각해서 이용자에게 힘들다 라는 얘기를 하면 앞에서 말하신 것처럼 생계와 직결되는 부분이라 이용자의 지원요청에 잘 따라야 해고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해서 그래서 더욱 말 못하고 속앓이를 많이들 하고 있으시더라구요. 그래서 그러다 결국 그만두시는 경우가 있어서 마음이 좀 아프더라구요.

 

서기현 소장 : 그럴수록 활동지원사와 이용자가 소통을 많이 하고,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로의 관계를 잘 유지하려면, 어떤 기준 안에서 융통성도 발휘해야 하고, 어떠한 선도 가급적으로 지켜야 하고, 힘들지만 서로 노력하면서 맞춰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876 2022년 봄 13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노들바람>은 노란들판에 속한 단체들이 '노들 편집위원회'를 꾸려 만들고 있습니다. 각 단체 활동가...
875 2022년 봄 130호 -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 21주기_다시, 버스를 타자 / 한명희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참사 21주기 다시, 버스를 타자!     한명희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데에 파견된 2년차 신입활동가. 노들야학 모꼬지 같이 갈 생각을 자주 ... file
874 2022년 봄 130호 - 혜화역 지하철 출근 선전전 - 장애인도 지하철 타고 출근합시다! / 박미주   혜화역 지하철 출근 선전전 장애인도 지하철 타고 출근합시다!     박미주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들을 만나 장애인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노들과 함께라... file
873 2022년 봄 130호 - 시간을 멈추는 자들 / 유진우   시간을 멈추는 자들     유진우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새벽 4:00 핸드폰에서 알람이 울린다. 알람에 적힌 내용은 ‘선전전 가자’이다. 그렇다. 4:00에 ... file
872 2022년 봄 13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죄 없는 시민은 죄가 없는가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죄 없는 시민은 죄가 없는가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다.... file
871 2022년 봄 130호 -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다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노들야학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다     김명학  노들야학에서 함께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들야학이 제 20회 정태수 상을 수상했습니... file
870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사람 사는 세상 노들세상 / 류재용   노들아 안녕 사람 사는 세상 노들세상     류재용          여기는 좀 다를 것 같긴 했다. 안경 쓴 풍채 좋은 선생님이 연신 싱글벙글 웃으며 나의 입학상담을 ... file
869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불현듯 / 서한영교   노들아 안녕 불현듯     서한영교       그러니까 그게, 요즘 제가 좀 이상합니다. 집에 돌아가는 지하철 통로. 걷다가 불현듯, 내 앞에 걷고 있는 무수한 사람... file
868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 / 최유진   노들아 안녕 세상의 작은 목소리들을 잘 담아보자     최유진        안녕하세요~ 노들센터 신입 활동가 유진입니다! 새로운 권익옹호 담당자구요. 매일 매일이... file
867 2022년 봄 130호 - [노들아 안녕] 내가 아는 당연함 속에 장애인은 없었구나 / 류재영   노들아 안녕 내가 아는 당연함 속에 장애인은 없었구나     류재영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운영지원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류재영입니다. ... file
866 2022년 봄 130호 - 2022년 학생회장단 인사와 각오 / 장애경, 조상지 2022년  학생회장단 인사와 각오                         장애경      학생회장.      서울형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노들야학 권익옹호 ... file
865 2022년 봄 130호 - [교단일기] 장애인노동자가 어떨 때 힘든가를 묻고 해결해나가기 위해 / 정우준   교단일기 장애인노동자가 어떨 때 힘든가를 묻고 해결해나가기 위해     정우준  언젠가 또 복직할 야학 휴직교사이자 노동건강연대 활동가         왜 ‘노동과... file
864 2022년 봄 130호 - 이것은 노동일까, 수업일까 / 박임당 이것은 노동일까, 수업일까    : 노들야학 교사회에서 토론한 권리중심노동과 평생교육의 연결고리 찾기     박임당  어느 시점부터 계속 권리중심공공일자리만 <... file
863 2022년 봄 130호 - 납작하게 보지 않기 / 민푸름 납작하게 보지 않기      민푸름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2022년 노들센터는 앞으로 3년간의 중장기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종로구 주거권 옹호활동’을 포... file
862 2022년 봄 130호 - 자립지원주택의 코로나19 모의훈련 / 최정희 자립지원주택의 코로나19 모의훈련      최정희 센터판 장애인자립생활주택 코디. 2015년 입사해서 체험홈, 자립생활주택 체험형, 다형을 쭉 코디로  활동하다가 ... file
861 2022년 봄 130호 - [욱하는 女자] (특수 케이스니까 추가요금이 든다고??? 왜???) / 박세영  욱하는 女자 특수 케이스니까 추가요금이 든다고??? 왜???      박세영 최근 새로운 목표를 가지고 도전해보고자 불끈불끈하고 있는 센터판의 고인물 박세영 입... file
» 2022년 봄 130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과 활동지원사의 고충을 소통해보아요 / 서기현, 이수현, 팀장님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과 활동지원사의 고충을 소통해보아요     정리_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기현 소장, 서비스지원팀 팀장, 이수현 활동가         활... file
859 2022년 봄 130호 - 노들센터의 조직문화 워크숍 후기 / 꼬비 노들센터의 조직문화 워크숍 후기      꼬비 어쩌다보니 노들센터 4년 차 활동가가 된 꼬비입니다.        여러분이 일하고 싶은 단체는 어떤 원칙을 가지고 있는... file
858 2022년 봄 130호 - 아 / 이승미 아      이승미                                 file
857 2022년 봄 130호 - 함께할 때 비로소 가능한 배움 <모두의 학교> / 김유미 함께할 때 비로소 가능한 배움 &lt;모두의 학교&gt;      김유미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일도 종종 하는 사람        &lt;모두의 학교&gt;   제작년도 : 2017년   감독 : 도시...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