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능력주의, 경쟁중심 교육과

사회를 바꾸는 과정

: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특수교육법 개정을 목표로 양대법안 투쟁을 하는 이유

 

 

 

 

 

조희은

3월부터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의날의 시작을 알리듯, 지난 420일 오전 국회에서 장애인평생교육법발의 기자회견이 진행되었다.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에서 활동을 시작하게 되면서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장애인 교육권, 특히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되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평생교육법, 장애인평생교육법까지 특히 법제정 투쟁 과정에 대해서 많이 공부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나도 장애인평생교육법이 오히려 장애/비장애 이분법을 강화하는 것은 아닌가 했지만 겉으로만 알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많은 인권법이 그렇듯, 장애인 권리를 보장한 여러 법들 또한 장애인 차별의 역사를 인정하고 그동안 사회에서 보장되지 못했던 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해 치열한 투쟁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인종차별철폐, 여성차별철폐, 고문방지, 아동권리, 장애인권리 등을 명시한 UN의 여러 권리협약들 또한 그렇다. 장애인평생교육법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에서 고등교육 의무화가 논의되는 동안, 헌법에 모든 국민의 교육권이 보장되어 학교에 가고 수업을 듣는 것이 너무 당연해서 권리로 명시되어 있는지도 몰랐을 동안, 장애인 인구 절반은 여전히 중학교 졸업 이하에 머무르고 있었다.

 

 

      대한민국 헌법 제31조에는 모든 국민이 교육 받을 권리, 국민의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할 국가의 의무에 대해 적고 있으며, 평생교육법에도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왜 장애인평생교육법을 만들어야 할까? 지금의 평생교육법으로는 장애인평생교육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며, 현재의 지원체계로는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작년 코로나 상황이 심각했을 때 지원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방역 물품조차 지원받지 못한 장애인야학들이 있었고, 야학들은 야학을 유지하기 위해, 교육받을 권리를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 교육청에 투쟁을 해야 했다.

 

 

      대학은 한국사회에서 장애인을 배제하고 소외시키는 대표적인 장소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은 한국 경쟁교육의 산실이 되어, 장애인을 배제해왔다. 국립교육대학교에서 중증장애를 이유로 성적을 조작한 것이 불과 2017년의 일이다. 이것이 한 대학과 개인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대학에 입학하더라도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다. 대학 내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인력, 전문성을 보강하고, 대학과 국가의 장애대학생 지원에 대한 책무를 강화하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된 이유이다.

 

 

 

 

차별 없이 이동하고, 배우고, 노동하고 부딪히면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비장애인중심사회에 균열을 내기 위해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개정

투쟁은 계속될 것이다.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에 반대하는 사람들조차도 법을 제정하는 취지에는 동감한다고 말한다. 장애인의 교육권이 제대로 보장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이다. 휠체어 접근성조차 보장되지 않는다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평생교육법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장애인의 평생교육을 권리로 보장한 장애인평생교육법의 발의는 평생교육법이 장애인평생교육권리를 보장하지 못했다는 반증이며, 이는 국가와 평생교육계가 반성해야 할 문제이다.

 

 

     사실 아직도 교육은 어렵기만 하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모두에게 차별과 배제 없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법이 제정된다고 끝이 아니라 그것은 장애인 지역사회통합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이 투쟁은 능력주의, 경쟁중심 교육과 사회를 바꾸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차별 없이 이동하고, 배우고, 노동하고 부딪히면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 비장애인중심사회에 균열을 내기 위해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개정 투쟁은 계속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21년 여름 127호 - 능력주의, 경쟁중심 교육과 사회를 바꾸는 과정 / 조희은             능력주의, 경쟁중심 교육과 사회를 바꾸는 과정 :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특수교육법 개정을 목표로 양대법안 투쟁을 하는 이유           조희은 3...
783 2021년 여름 127호 - 접근성, 여전히 인지하는 중입니다. / 아영               접근성, 여전히 인지하는 중입니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활동가의 접근성 토로기           아영 영화제가 끝나고 나면 세상이 갑자기 아름다워...
782 2021년 여름 127호 - 동정의 땅에서 권리의 들판으로, 종로구에 경종을 울리자! / 가을             동정의 땅에서 권리의 들판으로, 종로구에 경종을 울리자!  : 2022년 종로구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보장 및 예산 요구 기자회견      가을  노들야학 ... file
781 2021년 여름 127호 - 호식, 종각 다섯 번째 추모제 <봄이 온다면, 당신도 와준다면>       호식에게 꽃을 드리는 정숙, 병권, 준호샘               호식, 종각 다섯 번째 추모제   봄이 온다면, 당신도 와준다면         호식 만나보고 점심시간, ... file
780 2021년 여름 127호 - [교단일기] 그냥 라인 수업 -코로나 시대 노들야학 온라인 수업 적응기- / 김진수           교단일기 그냥 라인 수업 : 코로나 시대 노들야학 온라인 수업 적응기     진수  통통하게 살고 있습니다. 통통!-                코로나로 인해 노들... file
779 2021년 여름 127호 - 멜로디제거 반키올림 반키내림 / 고지선           멜로디제거 반키올림 반키내림       고지선                고지선 자필원고 내용 노들야학 안녕하세요  저 고지선이예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고... file
778 2021년 여름 127호 -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좋아하는 것이 참 많아요!             자립생활을 알려주마 좋아하는 것이 참 많아요! 나의 자립이야기 : 황임실     황임실  안녕하세요. 저는 노들센터 여성자립생활주택에서 살고 있는 ... file
777 2021년 여름 127호 - [욱하는 女자] 공간 하나 구하기 겁나 힘드네... / 박세영     [욱하는 女자] 공간 하나 구하기 겁나 힘드네...             박세영 가끔(?) 욕도 하고...가끔(?) 승질도 부리고...가끔(?) 음주가무를 좋아하는 센터판의 ... file
776 2021년 여름 127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활동지원서비스 중 발생되는 비용은 누가 부담하는 것이 맞을까?(두번째 이야기) / 허신행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활동지원서비스 중 발생되는 비용은 누가 부담하는 것이 맞을까? 두 번째 이야기             허신행 사단법인 노란들판에서 활동...
775 2021년 여름 127호 - 함께 들어요~ ‘날 보고 싶다면’ / 박임당               함께 들어요~ ‘날 보고 싶다면’ ‘들다방과 단골들’의 프로젝트           박임당  '날 보고 싶다면' SNS홍보팀                   지난해 노들야학... file
774 2021년 여름 127호 - 『죽은 자의 집 청소』 읽기를 추천합니다. / 다독다독       『죽은 자의 집 청소』 읽기를 추천합니다.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도서위원회 ‘다독다독’   책읽기 모임 후 각자의 생각을  모아보았습니다.           ... file
773 2021년 여름 127호 - [노들 책꽂이] 돌봄의 시대, 왜 돌봄은 계속 실패하는가? / 박정수       [노들 책꽂이] 돌봄의 시대, 왜 돌봄은 계속 실패하는가? ‘돌봄’에 관한 두 권의 책 『매일 의존하며 살아갑니다』, 『동자동 사람들』     박정수 노들장... file
772 2021년 여름 127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운동에 함께하고픈 사람들, ‘밖으로’ / 김진수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탈시설운동에 함께 하고픈 사람들, ‘밖으로’ 밖으로 나간다는 당연한 일상이 시설에 있는 사람들에겐 여전히 꿈같... file
771 2021년 여름 127호 - 고마운 후원인들     고마운 후원인들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1년 6월 30일 기준)             CMS 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주)피알판...
770 2021년 봄 126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lt;노들바람&gt; 편집인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영화 &lt;아가씨&gt;에 나오는 대사...
769 2021년 봄 126호 - [기획]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 교장이취임식                   [기획]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2021년 2월 박경석 고장선생님이 24년의 교장 활동을 마무리했습니다. 김명학, 천성호 두 분이 ...
768 2021년 봄 126호 - [기획]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 고장쌤과 야학이 함께 한 날들 -1                      박경석 고장쌤과  노들장애인야학이 함께 한 날들             1996년 노들야학 총학생회에 참석한 박경석 고장쌤.           1997년 야학...
767 2021년 봄 126호 - [기획]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 고장쌤과 야학이 함께 한 날들 -2                    박경석 고장쌤과  노들장애인야학이 함께 한 날들 (2011-2020)                     2011년 2월 사단법인 노란들판을 시작하는 총회에서 노들... file
766 2021년 봄 126호 - 노들장애인야학은 저의 인생에서 가장 깊고 넓은 소중한 선물입니다 / 박경석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1-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노들장애인야학은 저의 인생에서 가장 깊고 넓은 소중한 선물입니다        ... file
765 2021년 봄 126호 - 박경석 교장의 퇴임식을 성취한 노들을 축하하며 / 고병권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쟁취 투쟁기 2-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 박경석 교장의 퇴임식을 성취한 노들을 축하하며   고병권  맑스, 니...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