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교단일기

나는 ‘야매’ 선생입니다

 

 

 

 

정민구

타로반 ‘야매’교사 정민구(재밌게 사는 게 인생 목표입니다)

 

 

 

 

 

 

     나는 타로카드를 정식으로 배운 적이 없기에 나의 타로수업은 말하자면 ‘야매’다. 어느 날 문득 타 로를 배우고 싶어 유튜브에서 관련 영상을 찾아가며 공부한 것이 전부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업을 준비 하며, 그리고 수업을 진행하며 나도 같이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수업에 임한다. (‘강학정신’이라고 우겨 볼...까?) 처음 수업 계획을 짤 때 가장 중요한 목표는 ‘타로카드를 통한 스토리텔링’이었다.

 

 

     첫 번째 수업목표, 타로카드를 통한 스토리텔링

     유니버셜 웨이트 타로카드는 78장의 카드로 구성돼 있다. 크게 ‘메이져 카드’와 ‘마이너 카드’로 나뉘 는데 메이져 카드는 삶과 죽음, 그리고 살아가는 과정에서의 굵직한 사건, 사고 등에 대한 상태와 조언을 담고 있다면 마이너 카드는 인간관계에서 벌어지는 상대적으로 소소한 사건, 사고, 감정 등에 대한 상태 와 조언 등이 담겨 있다. 즉 사람이 살아가며 겪는 크고 작은 일들에 대한 지혜와 조언이 78장의 카드 안 에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런 타로카드를 공부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우리의 이야기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것이 이 수업의 첫 번째 목표이기도 하다.

 

 

‘내가 연애를 할 수 있을까요?’

‘지금 하고 있는 공공 일자리가 너무 좋은데 앞으로도 계속 할 수 있을까요?’

‘활동지원사를 바꾸는 게 좋을까요?’

 

 

     수업을 하다보면 누가 물어 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고민을 말하게 되고 함께 타로점을 해석 하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어느덧 집단상담의 분위기가 형성된다. 학생분들이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던 고민을 털어 놓으면 나는 있는 힘껏 그들이 듣고 싶어 하는 얘기를 하며 자신감을 불어 넣는다. 어떤 카드 가 나오건 상관없다. 듣고 싶어 하는 얘기를 최대한 크게 부풀려서 하는 것이 나의 역할이다

 

 

     타로카드는 여러 장의 카드를 뽑았을 때 전반적인 상황과 앞뒤 카드의 비치, 방향에 따라 다르게 해 석 가능하다. 해석하는 사람의 주관이 강하게 들어간다는 말이다. 그 점이 아주 마음에 든다. 내가 하고 싶은 얘기를 타로의 탈을 쓰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유니버셜 웨이트 타로카드는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하다. 그리고 500년 전에 만들어진 카드인 만큼 비유와 상징이라는 것이 구시대적 편견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정된 여성성과 남성성이 존재한다. 여성은 풍요와 부드러움으로, 남성은 진취적이며 용감함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심지어 메이져 카드의 시 작은 ‘THE FOOL(바보)’ 카드이다. 바보가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스토리가 시작된다. 교실에는 발달장애 가 있는 학생분도 계시기에 카드의 이름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상황이 이러하기에 타로카드 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은 이 수업의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카드에 내포된 고정 관념에 대해 얘기 나누다 보면 우리 안의 편견도 슬며시 고개를 내민다. 그렇게 너와 나의 생각을 나누는 것. 이것이 타로 수업의 중요한 포인트이다.

 

 

     세 번째, 타로상담가 양성

     내가 수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건 장애인 ‘타로상담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년 정도 타로 수업을 하며 이론을 다지고 나면 마로 니에 공원에 나가 ‘타로버스킹’을 해볼 생각이다. 무 료로 타로점을 봐주며 실력과 경험을 쌓고 들다방 한쪽 켠에 타로상담 부스를 만들어서...(앗. 이건 들 다방 사장님한테 비밀) 물론, 나 혼자만의 생각이 다. 하지만 상상해 보라. 영애누나가 휠체어에 누워 타로상담해 주는 모습을. 너무 멋지지 않은가. 나중 에 시간이 아주 많이 흘러서 ‘대학로’ 하면 ‘연극’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타로상담’을 떠올리게 될지 누가 아나. 한 치 앞도 모르는 인생이기에 ‘점’ 보는 거 아닐까. 

 

 

 

 

 

 

정민구_교단일기.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744 2021년 봄 126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 학생들과 제주도 여행을 멋지게 해보고 싶습니다 / 이상엽, 김유미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노들 학생들과 제주도 여행을 멋지게 해보고 싶습니다 삼달다방 이상엽 후원인 인터뷰     정리_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위원   ... file
743 2021년 봄 126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21년 4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CMS 황희준 황혜전 황하연 황진미 황정희 황연국 황소은 황성윤 황보술 황무초(무...
742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노들바람> 편집인         요 몇 년 동안 연말연시의 특별한 날마다 어느 낯선 빌딩 농성장이나 천막 지...
741 2020년 겨울 125호 - 1.나도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조상지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1.나도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상지 노들장애인야학 재학, 현 서울시 권리... file
740 2020년 겨울 125호 - 2.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너무나도 뜨거운 / 박임당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2.권리중심 공공일자리,  너무나도 뜨거운 : 2020 서울형권리중심의중증장애인'  맞춤형공공일자리 시범사업의 현장에서    ... file
739 2020년 겨울 125호 - 3.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둘러싼 논쟁은 더 확장되어야 / 정창조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3.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둘러싼 논쟁은 더 확장되어야    :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란 무엇인가> 차담회를 마치며         정... file
738 2020년 겨울 125호 - [형님 한 말씀] 2020년을 보내면서 / 김명학                           [형님 한 말씀] 2020년을 보내면서...           김명학 ;노들장애인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20년 한 해가 서서... file
737 2020년 겨울 125호 - 평등한 밥상과 코로나19는 공존할 수 있는가? / 박임당         평등한 밥상과 코로나19는 공존할 수 있는가? : 2020 학생무상급식기금마련 평등한밥상 후기       박임당 노들야학에서 활동 중. 제 아무리 코로나19가 ... file
736 2020년 겨울 125호 - 비대면 시대를 맞이한 노들야학 체육대회 / 안연주         비대면 시대를 맞이한 노들야학 체육대회     안연주 하루종일 망고만 보고싶은 망고누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노들에는 많은 변화... file
735 2020년 겨울 125호 - 현수막공장 노란들판에서 안부를 전합니다 / 진영인             현수막공장 노란들판에서 안부를 전합니다           진영인 공장에서 지각을 몇 년 담당하다가 얼마전에 지각대장 자리를 조상필에게 넘겨주었습니... file
734 2020년 겨울 125호 - 누구도 남겨두지 않으려면 / 박은선                 누구도 남겨두지 않으려면 리슨투더시티와 노들야학이 진행한 ‘장애포괄 재난 워크샵’을 통해 본 장애와 재난           박은선 리슨투더시티 디... file
733 2020년 겨울 125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상원 의원과 전역 하사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상원 의원과 전역 하사         고병권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 file
732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그동안 없었던 수많은 질문과 느낌표가 생기다 / 양지연           노들아 안녕 그동안 없었던 수많은 질문과 느낌표가 생기다     양지연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서비스지... file
731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낯설고 처음 접해보는 일들에 적응 중 / 허지혜         노들아 안녕 낯설고 처음 접해보는 일들에 적응 중     허지혜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권익옹호 팀에서 일하고 있는 허지혜입니... file
730 2020년 겨울 125호 - [노들아 안녕] ‘무용(無用)’한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 /김윤교                 노들아 안녕 ‘무용(無用)’한 것을 고민하는 사람들     김윤교             무용(無用)하다는 말은 가히 폭력적입니다. ‘쓸모없다’는 표현을 無...
729 2020년 겨울 125호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를 소개합니다 / 김상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노동권위원회를 소개합니다             김상현 저는 끌려와서 가만히 앉아있는 노동권위원회 공동위원장입니다. 이 글도 이현아...
728 2020년 겨울 125호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탈시설위원회 간사를 맡았습니다 / 김지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탈시설위원회 간사를 맡았습니다     김지윤 장애와 법을 공부하는 전직 노들야학 교사                          긴긴 코로나 &am...
» 2020년 겨울 125호 - [교단일기] 나는 ‘야매’ 선생입니다 / 정민구         교단일기 나는 ‘야매’ 선생입니다         정민구 타로반 ‘야매’교사 정민구(재밌게 사는 게 인생 목표입니다)                  나는 타로카드를 정식으... file
726 2020년 겨울 125호 - 박희용의 노동, 탈시설 + 근황 / 정종헌       박희용의 노동, 탈시설 + 근황 노들야학 청솔1반 박희용 인터뷰         진행, 정리 :정종헌 노들야학 교사. 내 삶의 답을 탐구하고 있다. “보이는 희망은 ... file
725 2020년 겨울 125호 -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놀이터, 통 합 놀 이 터 만 들 기 / 김필순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놀이터 통 합 놀 이 터 만 들 기           김필순 통합놀이터 법개정 추진단                   페이스북을 하다보면 가끔 외국의...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