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랍니다. 이런저런 책들을 찾아 읽던 중 <장애학의 도전>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좋은 책을 써주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어 이 글을 씁니다. <장애학의 도전>이 너무 좋아서 도현 님이 앞서 쓰신 책들도 찾아 읽고 있는 중이랍니다.

 

 

저는 사범대를 나와 교직에 몸담고 있다가 아이의 자폐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표를 던지고 나왔습니다. 고쳐야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요. 아이의 다름을 고쳐야 할 질병으로만 여겼지 장애라고는 생각하지 못하던 때였습니다. 아마 지금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전국의 많은 부모님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계시리라 짐작합니다. 저 또한 최선을 다해 노력하면 자폐증 정도는 극복할 수 있고 완치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12년이 지난 지금, 아이한테만 온 에너지를 쏟고도 (당연히) 자폐증을 치료하지는 못했어요. 그리고 이제 아들이 열두 살이 되어서야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며 장애에 대한 여러 책들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전까지는 오직 자폐증 치료나 자폐증과 관련된 책들만 보았지요.

 

 

<장애학의 도전>을 접하기 전 장애와 관련된 다른 책들을 먼저 읽게 되었습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는 여러 엄마들과 함께 공부 모임을 꾸렸지요. 한 책에서는 장애를 극복의 대상이 아닌 자기 정체성과 미적 영역의 차원에서 얘기했습니다. 하나의 매력으로요. 이런 걸 장애 자부심이라고 하나보다, 나름 신선한 충격을 받으며 그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본인이 장애인이기도 했기에, 이 책을 열심히 읽으면 발달장애의 전 생애에 대한 우리들의 고민도 해결되겠거니 싶었지요. 그런데 그 책에서도 다른 장애에 대해서는 프라이드를 세워주시는데, 발달장애에 대해선 사실 나도 모르겠다!’여서 우리 엄마들끼리 책을 읽으며 웃었거든요. ‘거봐라, 다른 장애는 다 가능해도 발달장애는 어쩔 수 없어.’ 이런 자조 섞인 웃음이었지요. 발달장애는 어디서든 열외구나 싶기도 하고, ‘알 수 없어 죄송해요라는 저자의 솔직한 고백에 재밌기도 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장애학의 도전>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 속담 있지요?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학교 다닐 때 공부했던 내용, 아이들 가르치면서 경험한 교육 현실, 아이 치료와 교육에 매달리면서 읽었던 책, 특수교육의 현실, 주위에서 주워들은 발달장애에 대한 온갖 정보, 장애인 복지 정책에 대한 방향과 그 변화 등, 복잡하게 얽혀 겉돌던 수많은 지식들이 도현 님 책 한 권으로 싹 정리가 되었습니다. 개명천지의 기분을 느끼게 된 거지요. 모든 문제를 파생시킨 핵심 문제 하나를 해결하면 나머지는 절로 풀리는, 그 매듭 지점을 찾은 느낌이랄까요.

 

 

책머리에서부터 “‘보는 자리[시좌]’(position of view)가 달라지면 풍경(landscape) 자체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면서, 도현 님이 제가 선 자리를 스윽 알려주시는 게 아니겠어요? 발달장애 자녀와 함께 사는 엄마로서 제가 그동안 보면서도 보지 못했던 풍경들이 새롭게 열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정말 엄청난 집중력으로 <장애학의 도전>을 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각주와 참고문헌, 심지어 찾아보기까지 줄치면서 읽었다면 얼마나 열심히 읽었는지 짐작이 가실는지요?^^ 그 다음 제가 환호한 지점은 발달장애인을 포함해서, 아니 심지어 중심에 두고 모든 장애 영역을 아우르는 접속-성찰-전환-도전의 장애 연구를 해주셨다는 점입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시시포스가 아닐까 생각하며 살았는데, 관점이 바뀌고 장애와 비장애를 횡단해 서로 연결되면 무거운 바위도 솜사탕이 될 수 있겠구나, 가슴이 뛰었답니다.

 

 

보통 책을 읽고 후기를 쓸 때는 비판적인 얘기도 좀 있어야 할 텐데요, 저는 아직 <장애학의 도전>에 푹 빠져 있는 상태라 거기까지는 좀 어렵겠네요. 어쨌거나 제가 이 편지를 쓴 이유는 도현 님이 이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뿌듯함을 느끼셨으면 해서랍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한 엄마가 이토록 열광하며 당신의 책을 읽었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고, 이를 에너지 삼아 그 다음 도전을 또 시작해주셨으면 하는 욕심도 있고요. 제 삶과 저희 아이에게 새로운 좌표를, 당당하고 아름다운 시좌를 선물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평택에서 김성희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616 2019년 겨울 121호 - 그래서 우리는...... / 장선정 그래서 우리는......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기로에 서 있어요, 노란들판이.   2015년, 10주년을 지나면서 버는 돈과 쓰는 돈이 비슷한 정도가 되었...
615 2019년 겨울 121호 -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형님 한 말씀] 후원자님께 드립니다.   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2019년 한 해도 이젠 서서히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엊그제 ... file
614 2019년 겨울 121호 - 이 사람들 정말 문학이 체질이다! ‘백일장이 체질’ 심사 소감 / 박정수 이 사람들 정말 문학이 체질이다! ‘백일장이 체질’ 심사 소감         박정수 |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원이라는 멋진 직함을 갖고 있지만 연구는 안 한다. 가끔씩... file
613 2019년 겨울 121호 - 2019 노들야학 백일장 “백일장이 체질” 수상작 여섯 편 대공개 2019 노들야학 백일장 “백일장이 체질”       ★수상작 여섯 편 대공개★     수상작 1_끝사랑 *이영애   수상작 2_일자리 *김희자   수상작 3_비 와도 눈 와도 *이... file
612 2019년 겨울 121호 - [교단일기] 바야흐로 대세는 BTS가 아니라 NTS다! / 야마가타 트윅스터 [교단일기] 바야흐로 대세는 BTS가 아니라 NTS다! 노들테크노전사들과 함께한 일년을 돌아보며     야마가타 트윅스터 | 자립음악가 한받의 테크노투쟁음악 분신... file
611 2019년 겨울 121호 - 전국 피플퍼스트 참가기 / 박송이 전국 피플퍼스트 참가기     박송이 | 노들야학 교사. 언론사에서 뉴미디어를 담당합니다. 아날로그적 삶을 지향해요. 노들과 함께 울고 웃고 싶습니다. 피쓰-   ... file
610 2019년 겨울 121호 - 처음 가본 노들야학 모꼬지가 좋았습니다 / 김상현 처음 가본 노들야학 모꼬지가 좋았습니다     김상현 | 깊은 생각 없이 노들 야학에 한 번 왔다가 올 때마다 충격을 받으며 점점 빠져들고 있는 신입 교사입니다.... file
609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아 안녕] 사람이 사람에게 / 가을 [노들아 안녕] 사람이 사람에게       가을     ‘가을아 왜 전화를 안 받아. 노들바람 원고 좀 써줘. 써줄 수 있지?’ ‘네 그럼요.’   노들야학의 큰형님. 명학형... file
608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아 안녕] 탈시설하고, 노들을 만나서 너무나 기뻐요 / 최원진 [노들아 안녕] 탈시설하고, 노들을 만나서 너무나 기뻐요   최원진       안녕하세요. 저는 최원진입니다. 20년 가까이 인강원이라는 거주시설에서 생활을 하다가... file
607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발버둥치는 중 / 박상희 [노들아 안녕] 노들에서 발버둥치는 중     박상희     안녕하세요.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지원팀 박상희입니다. 2019년 2월 겨울의 끝자락 노들을 만나, ... file
606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아 안녕] 저는 들다방 바리스타 윤준한입니다 / 윤준한 [노들아 안녕] 저는 들다방 바리스타 윤준한입니다   윤준한       자기소개서   안녕하세요? 저는 들다방 바리스타 윤준한입니다. 제 나이는 24살입니다. 들다방... file
605 2019년 겨울 121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새롭게, 함께 보내는 8시간 / 임해정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매일 새롭게, 함께 보내는 8시간     임해정 | 연옥 수진 활동지원인       집에만 콕 박혀있던 저에게, 친구가 세상에 한 발짝만 나오... file
604 2019년 겨울 121호 - 전동휠체어 처방전을 받기 위한 질문! 100 빼기 7은? / 김상희 전동휠체어 처방전을 받기 위한 질문! 100 빼기 7은?       김상희 | 노들센터 김상. 얼마 전에 읽었던 소설에 나온 문장이 너무 멋져서 옮겨 봅니다. “혼자라는 ... file
603 2019년 겨울 121호 -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모색 토론회’를 다녀와서 / 서기현 [뽀글뽀글 활보상담소] ‘장애인활동지원제도 개선 모색 토론회’를 다녀와서         서기현 | 7년동안 집안에서 거지꼴로 살다 IMF때 반강제 자립(자립생활 아님 ...
602 2019년 겨울 121호 - 열사와 지속가능한 운동 / 박상빈 열사와 지속가능한 운동     박상빈 | 시민사회단체 근처에서 기웃거리기만 하다가 노들장애인야학을 시작했습니다.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평생 사회운동을 할 수...
601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 책꽂이] <장애학의 도전>과 함께 장애학에 도전해 보자! / 허신행 [노들 책꽂이] &lt;장애학의 도전&gt;과 함께 장애학에 도전해 보자!       허신행 |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4년간 광야를 떠돌다 노들의 소중함을 깨닫고 12월부터 다시... file
» 2019년 겨울 121호 -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 김성희 &lt;장애학의 도전&gt;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
599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_박여송 인터뷰 / 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인터뷰_야학 휴직교사 박여송 님     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명학 : 안녕하... file
598 2019년 겨울 121호 -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 조재범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밥묵차 대표 유희 님 인터뷰   조재범 |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자립생활지원팀장... file
597 2019년 겨울 121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 명희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노들바람_고마운 후원인] 허클베리 핀 인터뷰(12.16) 이기용(기타, 코러스), ...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9 Next
/ 59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