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료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랍니다. 이런저런 책들을 찾아 읽던 중 <장애학의 도전>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좋은 책을 써주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어 이 글을 씁니다. <장애학의 도전>이 너무 좋아서 도현 님이 앞서 쓰신 책들도 찾아 읽고 있는 중이랍니다.

 

 

저는 사범대를 나와 교직에 몸담고 있다가 아이의 자폐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표를 던지고 나왔습니다. 고쳐야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요. 아이의 다름을 고쳐야 할 질병으로만 여겼지 장애라고는 생각하지 못하던 때였습니다. 아마 지금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전국의 많은 부모님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계시리라 짐작합니다. 저 또한 최선을 다해 노력하면 자폐증 정도는 극복할 수 있고 완치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12년이 지난 지금, 아이한테만 온 에너지를 쏟고도 (당연히) 자폐증을 치료하지는 못했어요. 그리고 이제 아들이 열두 살이 되어서야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며 장애에 대한 여러 책들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전까지는 오직 자폐증 치료나 자폐증과 관련된 책들만 보았지요.

 

 

<장애학의 도전>을 접하기 전 장애와 관련된 다른 책들을 먼저 읽게 되었습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는 여러 엄마들과 함께 공부 모임을 꾸렸지요. 한 책에서는 장애를 극복의 대상이 아닌 자기 정체성과 미적 영역의 차원에서 얘기했습니다. 하나의 매력으로요. 이런 걸 장애 자부심이라고 하나보다, 나름 신선한 충격을 받으며 그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본인이 장애인이기도 했기에, 이 책을 열심히 읽으면 발달장애의 전 생애에 대한 우리들의 고민도 해결되겠거니 싶었지요. 그런데 그 책에서도 다른 장애에 대해서는 프라이드를 세워주시는데, 발달장애에 대해선 사실 나도 모르겠다!’여서 우리 엄마들끼리 책을 읽으며 웃었거든요. ‘거봐라, 다른 장애는 다 가능해도 발달장애는 어쩔 수 없어.’ 이런 자조 섞인 웃음이었지요. 발달장애는 어디서든 열외구나 싶기도 하고, ‘알 수 없어 죄송해요라는 저자의 솔직한 고백에 재밌기도 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장애학의 도전>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 속담 있지요?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학교 다닐 때 공부했던 내용, 아이들 가르치면서 경험한 교육 현실, 아이 치료와 교육에 매달리면서 읽었던 책, 특수교육의 현실, 주위에서 주워들은 발달장애에 대한 온갖 정보, 장애인 복지 정책에 대한 방향과 그 변화 등, 복잡하게 얽혀 겉돌던 수많은 지식들이 도현 님 책 한 권으로 싹 정리가 되었습니다. 개명천지의 기분을 느끼게 된 거지요. 모든 문제를 파생시킨 핵심 문제 하나를 해결하면 나머지는 절로 풀리는, 그 매듭 지점을 찾은 느낌이랄까요.

 

 

책머리에서부터 “‘보는 자리[시좌]’(position of view)가 달라지면 풍경(landscape) 자체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면서, 도현 님이 제가 선 자리를 스윽 알려주시는 게 아니겠어요? 발달장애 자녀와 함께 사는 엄마로서 제가 그동안 보면서도 보지 못했던 풍경들이 새롭게 열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정말 엄청난 집중력으로 <장애학의 도전>을 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각주와 참고문헌, 심지어 찾아보기까지 줄치면서 읽었다면 얼마나 열심히 읽었는지 짐작이 가실는지요?^^ 그 다음 제가 환호한 지점은 발달장애인을 포함해서, 아니 심지어 중심에 두고 모든 장애 영역을 아우르는 접속-성찰-전환-도전의 장애 연구를 해주셨다는 점입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는 시시포스가 아닐까 생각하며 살았는데, 관점이 바뀌고 장애와 비장애를 횡단해 서로 연결되면 무거운 바위도 솜사탕이 될 수 있겠구나, 가슴이 뛰었답니다.

 

 

보통 책을 읽고 후기를 쓸 때는 비판적인 얘기도 좀 있어야 할 텐데요, 저는 아직 <장애학의 도전>에 푹 빠져 있는 상태라 거기까지는 좀 어렵겠네요. 어쨌거나 제가 이 편지를 쓴 이유는 도현 님이 이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뿌듯함을 느끼셨으면 해서랍니다. 발달장애 자녀를 둔 한 엄마가 이토록 열광하며 당신의 책을 읽었다는 것을 기억해주시고, 이를 에너지 삼아 그 다음 도전을 또 시작해주셨으면 하는 욕심도 있고요. 제 삶과 저희 아이에게 새로운 좌표를, 당당하고 아름다운 시좌를 선물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 평택에서 김성희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2019년 겨울 121호 - <장애학의 도전>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 김성희 &lt;장애학의 도전&gt; 저자에게 보내는 편지 이 책이 꼭 더 많은 이들에게 읽힐 수 있기를       김도현 님, 안녕하세요. 저는 평택에서 자폐증이 있는 아들을 키우고 ...
599 2019년 겨울 121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_박여송 인터뷰 / 명학 [노들은 사랑을 싣고] 야학에 파묻혀 지낸 20대 청춘, 이후 인터뷰_야학 휴직교사 박여송 님     명학 | 노들야학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명학 : 안녕하... file
598 2019년 겨울 121호 -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 조재범 [동네 한 바퀴] 투쟁 현장 동지들 밥 챙기는 ‘십시일반 밥묵차’ 밥묵차 대표 유희 님 인터뷰   조재범 | 안녕하세요?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에서 자립생활지원팀장... file
597 2019년 겨울 121호 -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 명희 [오 그대는 아름다운 후원인]   현장에서 자주 뵈었어요! 록밴드 ‘허클베리핀’   [#노들바람_고마운 후원인] 허클베리 핀 인터뷰(12.16) 이기용(기타, 코러스), ... file
596 2019년 겨울 121호 - 고마운 후원인들   2019년 12월   노들과 함께하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CMS후원인   (주)머스트자산운용 강경희 강남훈 강명 강미자 강미진 강미희 강병완 ...
59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바람을 여는 창 / 김유미 노들바람을 여는 창 김유미 | &lt;노들바람&gt; 편집인 석암재단이 운영하는 베데스다요양원에 살던 이들이 시설 내부의 비리를 폭로하고, 시설 권력에 문제 제기하는 ... file
594 2019년 가을 120호 -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 장선정 어디선가 길을 잃고 헤맬지라도   장선정 | 사회적기업 노란들판     당신이 잘 계시다면 잘 되었네요. 나는 잘 지냅니다. Si vales bene est, ego valeo -&lt;라틴...
593 2019년 가을 120호 -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 고병권 [고병권의 비마이너] “한 번은 아무것도 아니다”     고병권 | 맑스, 니체, 스피노자 등의 철학,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책을 써왔으... file
592 2019년 가을 120호 -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 노들 편집위원회 [장판 핫이슈] 장애등급제 폐지가 “가짜”라던데 진짜인가요? &lt;여러분의 궁금증을 팩트체크 해보았습니다.&gt;     노들 편집위원회         축하해!!             갑... file
591 2019년 가을 120호 -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 기억 기록 석암비대위, 노들, 발바닥 멤버들의 이야기   노들 편집위원회           ‘2009 임소연’ 임소연에게 이야기를 청하자, 자신이 2009년에 ... file
590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 명희 [노들은 사랑을 싣고] 석암투쟁 10년 그리고, 기옥과 용남의이야기     명희 | 애쓰며 삽니다.      8/12(월) 기옥과 용남네 집에서 명희가 만났습니다. 인터뷰의... file
589 2019년 가을 120호 -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 노들 편집위원회 탈시설자립생활운동가 故 황정용을 보내며     노들 편집위원회     석암투쟁 10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마치고, 7월 13일 석암비대위 황정용 님이 유명을 달리했습... file
588 2019년 가을 120호 -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 홍은전  어느 발달장애인의 생존기록   홍은전 | 노들야학 휴직교사입니다. 노들야학 스무해 이야기 &lt;노란들판의 꿈&gt;을 썼고요, 그 책을 쓴 덕분에 이러저러한 인권 기록... file
587 2019년 가을 120호 -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 박미주 새로운 도전이었던, 어느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에 대하여   박미주     이제는 나에게 너무 익숙한 이름이 돼버린 언니를 처음 만난 건, 2019년 5월, 지금으로부... file
586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 박경인 [노들아 안녕] 목요일이 기다려져요   박경인 | 노들야학 학생입니다.     저는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26살 박경인입니다. 저는 태어났을 때부터 부모에게 버... file
585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 박상빈 [노들아 안녕] 노들과 상빈의 만남   박상빈 | 사회적 기준에 따른 삶을 살다가 가치관이 변해 대안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현재 노들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면... file
584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 박영일 [노들아 안녕] 산재운동에서 장판으로!     박영일       나는 1998년 4월 17일 오전 9시 57분 인천 남동공단 내에 있는 한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250T 프레스라... file
583 2019년 가을 120호 -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 한예인 [노들아 안녕] 노란 : 들판   한예인 | 이것저것 다 하느라 바쁜 와중에 노란들판 입사해서 더 바빠진 무지개 예술맨(현직 디자이너, 5개월 차).       노란색이 ... file
582 2019년 가을 120호 -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 정지원 [나는 활동지원사입니다] 활보로 자립하고 공감하다   정지원     나는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할 시간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 file
581 2019년 가을 120호 - [교단일기] '선'과 '속도' / 충근 [교단일기] ‘선’과 ‘속도’     충근 | 디자인하는 것을 좋아하는 디자이너. 사회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들에 의문을 품고,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이를 시각... fil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4 Next
/ 54
© k2s0o1d5e0s8i1g5n. ALL RIGHTS RESERVED.
SCROLL TOP